By Kim Tae-jong
Hyundai Motor and its labor union have agreed to abolish the overnight shift and instead introduce two consecutive shifts per day with all workers to be off the lines by 1:10 a.m. at the latest, the automaker said Thursday.
The decision came after the two parties held long discussions on wages and working conditions for this year. It will also put an end to the ongoing strikes that have led to production losses. The tentative agreement is subject to approval from the labor union members through a vote scheduled for Monday.
Hyundai officials said it is a historical step as the agreement will put an end to the overnight shift system that has been maintained for 45 years since the opening of the carmaker’s Ulsan plant in 1967.
“This will drastically help reduce or even abolish overnight work in the auto industry including for parts companies and enhance the working conditions for employees,” a Hyundai official said.
The end to the overnight shift has been a pending issue since 2003 when a task force was organized, as the two parties failed to narrow their differences.
Under the agreement, the automaker will replace the current two 10-hour shifts with eight- and nine-hour shifts, starting March 4 next year. A two-week test run for the new system is scheduled for January.
Currently, the first shift begins at 8 a.m. and ends at 6:50 p.m. and the second shift runs from 9 p.m. to 8 a.m. This will change to the first shift beginning at 6:40 a.m. and ending at 3:20 p.m. with the second between 3:20 p.m. and 1:10 a.m.
But despite the deduction in total working hours, the union agreed to maintain current production volumes by improving productivity.
The management also promised to invest 300 billion won to help enhance productivity through new facilities and programs.
The management and labor union also agreed on other terms such as wages. They agreed to an increase of 98,000 won in basic pay.
An increase to the social contribution fund by 1 billion won to 5 billion won in a bid to support the development of local communities will also take place.
The plants will now return to full operations as Hyundai workers have gone on strike 27 times since July.
The automaker previously expressed concern that the strikes may result in a supply shortage overseas amid growing demand in the U.S. and European markets.
The number of parts made and shipped in Korea plunged 25.3 percent to 94,576 in July from 126,541 in June, according to the carmaker.
“Through negotiations, the management and labor union agreed to cooperate in order to overcome the internal and external economic crisis,” the Hyundai official said. “Getting rid of the overnight shift will help enhance the health and quality of life for workers and thereby help improve the quality of our products.”

현대차 주간2교대 합의…車업계 영향은
현대자동차 노사가 45년 만에 밤샘근무를 없애는 주간 연속 2교대제 시행과 월급제 도입에 합의해 자동차 업계 전체에 큰 영향을 끼칠 전망이다.
현대차 노사 교섭대표가 30일 오전 마련한 잠정합의안에는 내년 3월 4일부터 현행 주야 2교대(10시간+10시간)에서 주간 2교대(8시간+9시간)로 근무형태를 전환하는 내용이 포함됐다.
기존에는 1조 오전 8시~오후 6시50분, 2조 오후 9시~이튿날 오전 8시(주야 2시간 잔업 포함) 일했으나 1조 8시간(오전 6시40분~오후 3시20분), 2조 9시간(오후 3시20분~이튿날 오전 1시10분, 잔업 1시간 포함) 근무로 바뀌게 된다.
현대차 측은 "생산성 향상과 임금 보전이란 두 전제에 대해 노사가 공감대를 형성했다"고 의미를 설명했다.
특히 근무 시간이 3시간 줄더라도 시간당 생산대수(UPH)를 높이고 조회, 안전교육 등 기존 비가동시간 일부를 작업시간으로 조정하는 등 공장별 인력 운영을 바꾸면 기존의 생산능력 유지가 가능하다고 회사 측은 강조했다.
업계 맏형격인 현대차에서 일부 특수공정을 제외한 전 공장에서 사실상 밤샘 근무를 폐지하기로 하면서 다른 업체에도 파장이 이어질 전망이다. 다른 완성차 공장은 물론이고 상당수 부품 업체가 완성차 라인에 맞춰 심야 근무를 포함한 근무 형태를 유지하고 있다.
당장 현대차와 한지붕 아래 형제인 기아차에서도 비슷한 조건으로 주간 연속 2교대제가 도입될 것으로 예상된다.
그룹 한 관계자는 "기아차 노사가 아직 협상 중이나 그동안 선례를 보면 근로조건과 관련해서는 현대차와 기아차는 비슷하게 가곤 했다"고 전했다.
이달 중순 임단협 잠정합의안을 마련했다가 조합원 찬반투표에서 부결된 한국지엠의 노사간 협의도 영향을 받게 됐다.
앞서 한국지엠은 주간 연속 2교대제와 관련해 별도의 추진위원회를 노사 공동으로 구성해 내년 1분기 내에 이 근무제를 시범 시행하고 내년 2분기에 본격적인 시행 시기를 정하기로 잠정 합의했다.
그러나 노조가 잠정합의안 부결로 임단협 재협상을 요구한 만큼 조만간 26차 교섭으로 협상이 재개되면 주간 연속 2교대제를 포함한 임단협을 다시 논의하게 됐다.
다만 밤샘 근무를 없애고 주간 연속 2교대제로 전환한다는 기본 방향에는 노사가 동의하고 있어 시행 시기와 방식의 문제가 남아 있는 상황이다.
회사 측 한 관계자는 "임단협에 사무지회에 대한 단협 적용 등 다른 쟁점들이 있는데다 주간 연속 2교대제의 해법에 대해서도 노조 내에서도 여러 의견이 있다"며 "논의 단계이므로 세부 시행방안은 더 기다려야 나오겠지만, 업계 맏형이 주간 연속 2교대제를 본격적으로 시행하면 그 영향은 분명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르노삼성자동차와 쌍용자동차는 주간 연속 2교대제의 영향권에서 약간 비껴 있다.
르노삼성은 이미 밤샘 근무를 하지 않는 데다 시급제가 아닌 월급제를 시행하고 있다.
이 때문에 주간 연속 2교대제보다는 복수노조 문제와 희망퇴직 문제가 주요 쟁점으로 논의되고 있다. 최근 금속노조 지회인 기존 노조 외에 사원대표위원회가 노조 전환을 결정하면서 교섭권 대표 설정 문제가 남아 있다.
회사 관계자는 "기존 노조와 임단협 협상을 진행하면서 복수 노조 체제에도 대비할 것"이라고 말했다.
쌍용차는 아직 경영 정상화가 되지 않은 상황이라 교대 없이 라인을 운영하고 있다. 8시간 근무에 잔업 3시간이 추가되는 근무형태로, 시급제다.
쌍용차 관계자는 "중장기 발전 전략에 따라 2014년에 생산 물량을 더 확보해야 2교대제로 돌릴 수 있을 것"이라며 "2교대제를 운영할 때가 되면 현대차를 비롯해 타업체 근무 환경의 영향도 받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업계는 현대차의 주간 연속 2교대 제도 도입에 따라 완성차 업체는 물론이고, 완성차 공장 라인에 맞춰 근무환경이 정해지는 부품업체까지 산업 전반에 걸쳐 변화가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자동차업계의 한 관계자는 "심야 근무를 비롯해 노동강도가 지나치면 위험하다는 사회적 인식이 분명하고 정부 정책과 여론도 흐름이 정해진 만큼 기업도 더는 생산성 핑계만 댈 수는 없다"며 "각 업체가 노사 양보를 통해 생산성을 어느 정도 유지하는 선에서 주간 연속 2교대제를 도입하려는 생각을 하고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