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The water playground at the Climate Change Theme Park in Gimhae is run by power generated via photovoltaic panels on the rooftop of Jangyu City Library, seen behind. Korea Times photo by Ko Dong-hwan 김해시에 위치한 기후 변화 테마파크 내 물놀이터는 뒤에 보이는 김해시립장유도서관 옥상에 설치된 광전지 패널에서 생산한 에너지로 가동된다. |
Gimhae City invests in climate education for residents, visitors with help of central gov't
김해시, 중앙 정부와 협력해 거주민 및 방문객 대상 기후 교육에 투자
By Ko Dong-hwan
Gimhae, South Gyeongsang Province ― In the scorching heat, children frolic in a playground located inside the Climate Change Theme Park in this southeastern city. With a giant bucket sitting atop a ladder splashing water down every few minutes and water jets shooting out of the ground, the playground is a lively section of the park.
경상남도 김해시 – 모든 것을 태워버릴 듯한 더위 속 아이들은 이 남동쪽에 위치한 도시의 기후 변화 테마파크 안에 위치한 놀이터에서 즐겁게 뛰논다. 몇 분 마다 물을 아래로 끼얹는 사다리 꼭대기에 큰 양동이가 있는 한편 바닥에 있는 물 분사기에서 물을 쏘는 이 놀이터는 테마파크의 활기 넘치는 구역이다.
Gimhae City Government, which opened playground in 2015 and has been managing it since, uses electricity generated by solar panels on the rooftop of Jangyu City Library next door to run the theme park.
2015년 놀이터를 개장해 현재까지 운영하는 김해시는 테마파크를 운영하기 위해 놀이터 옆에 있는 김해시립장유도서관 옥상에서 태양광 패널이 생산해낸 전기를 사용한다.
Besides the playground, visitors to the park ― the city government's strategic hub to educate both city residents and visitors about the climate crisis ― can also play inside the Climate Tunnel, a structure at a corner of the park inside which people can play augmented reality-style video games to learn which pollutants harm the atmosphere and which animal species are under the threat of extinction.
놀이터 외에도 기후 위기에 대해 거주민과 방문객을 교육하기 위한 김해시의 전략적 중심지인 공원의 방문객들은 공원 모퉁이에 있는 기후 터널에서 증강 현실 비디오 게임을 통해 어떤 오염 물질이 대기를 손상시키는지 또는 어떤 동물이 멸종 위기에 처해있는지 배우며 놀 수 있다.
A stroll away from the tunnel, a cluster of several low walls artfully decorated in a three-dimensional fashion forms a place for children to sit around, learn and discuss by exhibiting which manmade phenomena cause climate change, what kind of natural consequences result from it and what people can or should do to prevent them.
터널에서 떨어진 곳에는 3D 방식으로 아름답게 꾸며진 낮은 돌담길 여러 개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곳에서 아이들은 둘러 앉아있거나 어떤 인공적 현상이 기후 변화를 유발하는지, 그로 인한 자연 결과는 무엇인지, 그리고 이를 방지하기 위해 사람들이 할 수 있는 혹은 해야 하는 일들을 전시하면서 배우고 논의할 수 있다.
But some parts of the park are in need of repairs. A group of pinwheels that are supposed to demonstrate the power of wind look worn out due to time. Spinning machines on which riders, by pedaling, can generate enough power to turn on lights connected to the machines, are broken.
그러나 공원 내 몇몇 부분은 수리가 필요하다. 풍력을 보여주기로 되어있는 여러 바람개비는 시간이 흘러 낡은 것처럼 보였다. 탑승객들이 페달을 밟으며 기계와 연결된 전등을 켜기 위해 충분한 전기를 생산해낼 수 있는 회전식 기계는 고장이 났다.
There are also a couple of square meters of unused patches of lawn the park could make use out of to become more attractive and serve its educational purpose better.
또한 더 매력적으로 변화하고 교육적 목적을 더 잘 수행하기 위해 공원이 활용할 여지가 있는 사용하지 않는 잔디밭이 몇 제곱미터 있었다.
"As you can see, some of these things need a good fixing up," Kim Hyang-won, the park manager from a company commissioned by the city government to manage the place and educate visitors about climate change, told The Korea Times.
김해시로부터 장소 관리 및 기후 변화에 대해 방문객을 교육하는 업무를 의뢰 받은 김향원 김해시기후변화테마공원 관리자는 코리아타임스와의 인터뷰에서 "보시다시피 몇몇 부분은 잘 세심한 수리가 필요하다"고 전했다.
Luckily, the city has already secured 200 million won ($150,000) from the central government to refurbish the site. In July of this year, the city government won a bid for a project funded by the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along with 15 other local governments across the country, to demonstrate carbon neutral practices using local properties.
다행히 김해시는 정부로부터 장소 재단장을 위한 특별교부세 2억 원을 확보했다. 올해 7월 김해시는 지역 시설물을 활용한 탄소 중립 정책 입증을 위해 행정안전부가 재정적 지원을 한 프로젝트에 전국 15개의 다른 지자체와 함께 최종 선정되었다.
Together with another 86 million won from the city, the city government will invest in upgrading the broken spinning machines into a newer version of the Energy Playground where visitors can experience how to generate power by pedaling or stepping up ladders. The aged pinwheels will also be replaced with more modern tools with which visitors can experience producing power with renewable energy resources, including solar panels and windmills.
김해시의 자금 8600만 원에 더해 김해시는 고장난 회전식 기계를 방문객이 페달을 밟거나 사다리를 오르면서 어떻게 에너지를 생산하는지 경험할 수 있는 더 새로운 형태의 에너지 놀이터로 개선하는 데 투자할 계획이다. 오래된 바람개비는 방문객들이 태양광 패널이나 풍차 터빈을 포함한 재생 가능한 에너지 자원으로 에너지 생산을 경험할 수 있는 더 현대적인 도구로 대체될 예정이다.
KEY WORDS
■ scorching 모든 걸 태워 버릴 듯이 더운
■ frolic 즐겁게 뛰놀다
■ besides 게다가, 뿐만 아니라
■ augment 늘리다, 증가시키다
■ stroll away 거닐다, 산책하다
■ manmade 인공의
■ consequence 결과
■ repair 수리 작업
■ demonstrate 증거[실례]를 들어가며 보여주다
■ worn out 닳아서 못 쓰게 된
■ commission 의뢰하다
■ secure 얻어 내다
■ refurbish 새로 꾸미다
■ neutral 중립의
■ renewable 재생 가능한
기사 원문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