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Statistics Korea Commissioner Han Hoon speaks during an interview with The Korea Times, Aug. 4. Korea Times photo by Shim Hyun-chul 4일 코리아타임스와의 인터뷰에서 한훈 통계청장이 말하고 있다. |
Statistics can help to find right spot to start business
통계, 사업 시작에 적합한 장소 찾기 도울 수 있어
By Yoon Ja-young
Let's say someone wants to open a fried chicken restaurant near his home. Is it a good location to start the business? The person can get some idea by visiting the Statistical Geographic Information Service (SGIS) offered by Statistics Korea, where diverse kinds of information, such as the number of residents, whether they are in their 20s, 30s, or 40s, how each demographic group changes at certain times, and even the number of competitors in a five to 20-minute driving radius, are available.
누군가가 집 근처에 치킨집을 열고 싶어 한다고 가정해보자. 과연 그 장소는 사업을 시작하기 좋은 장소일까? 사업 구상자는 통계청이 제공하는 통계지리정보서비스(SGIS)를 방문해 대략적인 감을 잡을 수 있는데, 이 서비스는 거주자 수 및 20대, 30대, 40대 여부, 각 연령대 인구가 시간대에 따라 달라지는 방식, 심지어는 차로 20분 거리 반경에 경쟁자가 얼마나 있는지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한다.
"We will advance the SGIS, which combines statistics with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technology to assist individuals and companies in making evidence-based decisions to initiate or operate their business," Statistics Korea Commissioner Han Hoon said in an interview with The Korea Times.
한훈 통계청장은 코리아타임스와의 인터뷰에서 "개인이나 기업이 사업을 시작하거나 운영할 때 증거 기반 결정을 돕기 위해 통계를 지리 정보 시스템(GIS)과 결합한 SGIS를 발전시킬 것"이라고 전했다.
Having served as deputy minister at the Ministry of Economy and Finance, Han has witnessed how crucial statistics are in the decision making of not only policymakers but also businesses and even individuals. He says he virtually "lived with statistics" while working as the deputy minister, a field manager of the country's internal economic policies.
기획재정부 차관보로서 근무했던 한 청장은 의사 결정 과정에서 국회의원뿐만 아니라 기업, 심지어는 개인에게도 통계가 얼마나 중요한지를 목격해왔다. 그는 국내 경제 정책의 감독 격인 기획재정부 차관보로서 근무하며 사실상 "통계와 살았다"고 전했다.
On the first day of each month, for instance, he would get statistics on the previous month's exports and imports. After a couple of days comes the consumer price data and then the job market statistics come in the middle of the month. Then comes the statistics on industrial output. Statistics, including these, provide "the concrete evidence needed in supporting the operation of the government," he says.
예를 들어, 한 청장은 매달 첫날 지난달 수출입 통계를 확인했다. 며칠 후에는 소비자 물가 자료가 도착하고 매달 중순에는 고용 시장 통계를 확인한다. 이후 산업생산 통계가 도착한다. 그는 위 내용을 비롯한 통계가 "정부 운영을 지원하는데 필요한 자세한 증거"를 제공한다고 밝혔다.
His position has now changed, from a consumer of statistics to a supplier of statistics. Thanks to his experience as a consumer, he is very much aware of what consumers want from statistics and how they are used.
현재 그의 역할은 통계 소비자에서 통계 생산자로 바뀌었다. 통계 소비자로서 지내온 경험 덕분에 그는 소비자들이 통계로부터 무엇을 원하는지, 그리고 통계 자료가 어떻게 사용되는지 매우 잘 알고 있다.
That's why he is very much interested in using "experimental statistics," produced from big data such as mobile telecommunications and credit card use.
이것이 그가 휴대폰 및 신용카드 사용과 같은 빅데이터로부터 만들어진 ‘실험적 통계' 활용에 지대한 관심을 가지는 이유이다.
"In the case of industrial output data, the June figure is released around the end of July. That is not fast enough when the government must urgently find out which sectors are hit by the pandemic, which requires support measures and relief fund allocations. Statistics have limitations in terms of their timeliness. As such, we aim to leverage 'experimental statistics,' using big data for more effective decision making," he said.
한 청장은 "산업생산 데이터의 경우, 6월 수치가 7월 말 즈음에 발표되었다. 어떤 부문이 코로나19 팬데믹으로 타격을 입어 지원 정책과 구호 기금 배분이 필요한지 정부가 긴급하게 알아야 하는 때에 충분히 빠르지 않다. 통계는 적절한 시기가 있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 이에 통계청은 더 효과적인 의사 결정에 빅데이터를 사용한 ‘실험적 통계' 활용을 목표로 한다"고 덧붙였다.
The statistics agency thus purchases credit card spending data from a credit card company and releases it every week after processing it. It is useful not only for policymaking but also for businesses and anyone in the private sector who needs quickly to grasp sales trends.
그래서 통계청은 신용카드사로부터 신용카드 소비 데이터를 구입해 매주 가공한 후 공개한다. 이는 정책 입안뿐만 아니라 사업 혹은 사적 영역에서 판매 동향에 대한 빠른 이해가 필요한 개인에게도 유용하다.
KEY WORDS
■ diverse 다양한
■ demographic 인구 통계의
■ advance 증진되다
■ initiate 개시되게 하다, 착수시키다
■ experimental 실험적인, 실험의
■ figure 수치
■ urgently 급히
■ allocation 할당
■ timeliness 적시, 시기적절함
■ process 가공하다, 처리하다
■ policymaking 정책 입안
■ grasp 완전히 이해하다, 파악하다
기사 원문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