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보건 위기를 자력으로 해결할 수 없어
North Korea appears to be facing a more serious COVID-19 situation than previously thought. On Sunday, it reported 15 additional deaths from the coronavirus and 296,180 more people with fever symptoms detected between Friday evening and 6 p.m. Saturday. The tally came three days after the North announced its first official COVID-19 cases since the pandemic began over two years ago.
북한이 당초 예상보다 심각한 코로나19 사태에 직면한 것으로 보인다. 북한은 코로나로 인한 추가 사망자는 15명이고 금요일 저녁부터 오후 6시 사이에 발열 증상이 발견된 사람이 296,180명 더 있다고 일요일 밝혔다. 이 같은 집계는 2년 전 코로나 대유행이 시작된 이후 북한이 처음으로 공식적인 코로나19 확진자 수를 발표한 지 3일 만에 나온 것이다.
According to the North's official Korean Central News Agency (KCNA), the new cases increased the total number of deaths to 42. The number of patients showing fever symptoms since late April also rose to 820,620. Among them, 496,030 have recovered and 324,550 are being treated, the agency said.
북한의 관영 조선중앙통신에 따르면, 신규 확진자 수는 42명으로 증가했다. 4월 말 이후 발열 증상을 보이는 환자의 수도 820,620명으로 늘었다. 이들 가운데 496,030명은 회복됐으며 324,550명은 치료를 받고 있다고 조선중앙통신은 전했다.
Medical experts in South Korea are questioning the accuracy of the numbers, since the North suffers a lack of testing kits and other equipment to confirm infection. For the same reason, the North has used the expression "fevered persons" instead of coronavirus patients or confirmed cases. This may imply that many more North Koreans have come down with COVID-19. The North could have also tried to deflate the numbers in a bid to downplay the seriousness of the public health crisis for political reasons.
남한의 의료 전문가들은 북한이 감염을 확인할 수 있는 검사 도구와 여타 장비가 부족하기 때문에 북한 발표의 정확성에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같은 이유로 북한은 코로나바이러스 환자나 확진자 대신 ‘열병 환자'라는 표현을 써왔다. 이것은 더 많은 북한 사람들이 코로나19에 감염되었다는 것을 내포할 수 있다. 북한은 또 정치적 이유로 보건 위기의 심각성을 줄이기 위해 집계된 수치를 낮추려 했을 수도 있다.
Some critics argue that North Korean authorities have acknowledged the COVID-19 outbreak belatedly, as the pandemic is turning into an endemic in many countries. Now the question is whether the North can bring the spread of the virus under control without any assistance or cooperation from the international community. Pyongyang claims that it can do that by going it alone. But many experts point out that the reclusive country has no capacity for overcoming the crisis on its own.
일부 비평가들은 코로나19가 많은 나라에서 풍토병으로 전환되고 있기 때문에 북한 당국이 뒤늦게 코로나19 발생을 인정했다고 주장한다. 이제 문제는 북한이 국제 사회의 도움이나 협조 없이 코로나19의 확산을 막을 수 있느냐 하는 것이다. 북한은 자력으로 코로나19를 차단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많은 전문가들은 북한이 홀로 코로나19 위기를 극복할 능력이 없다고 지적하고 있다.
5월 16일자 사설
KEY WORDS
■ tackle 해결하다
■ detect 발견하다
■ tally 집계
■ imply 내포하다
■ deflate 줄어들게 하다
■ downplay 경시하다
기사 원문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