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 적극적인 제재 조치를 취해야 한다
The United States and its Western allies are stepping up their sanctions on Russia over its comprehensive invasion of Ukraine. In his first State of the Union address Tuesday, U.S. President Joe Biden said he would ban Russian aircraft from U.S. airspace in retaliation for the aggression in Ukraine. "When dictators do not pay a price for their aggression, they cause more chaos."
미국과 서방 동맹국들은 우크라이나에 대한 포괄적인 침공에 대해 러시아에 대한 제재를 강화하고 있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화요일 첫 연두교서에서 우크라이나의 침략에 대한 보복으로 러시아 항공기를 미국 영공에서 금지한다고 밝혔다. "독재자들이 침략에 대한 대가를 치르지 않을 때, 그들은 더 많은 혼란을 야기한다."
In bids to further isolate Russia, the allies plan to provide Ukraine with weapons and medical goods and expel Russia from various sports events. Global efforts coupled with the strong resistance of the Ukrainians are certainly becoming increasingly frustrating challenges for Russia, who then doubled down by announcing their "nuclear threat," desperate to survive these recent military setbacks.
러시아를 더욱 고립시키기 위해 동맹국들은 우크라이나에 무기와 의료품을 제공하고 러시아를 각종 스포츠 행사에서 추방할 계획이다. 우크라이나인들의 강력한 저항과 더불어 국제적인 노력으로 러시아는 최근 군사적 실패를 겪고 이를 만회하기 위해 ‘핵 위협'을 발표함으로써 좌절감이 증폭 되었음을 드러냈다.
Despite such global efforts, the recent moves by the Moon Jae-in administration have been disappointing at large. Earlier, the Korean government said it would not join the envisioned sanctions on Russia, having become the only U.S. ally to do so. As Russia launched an invasion, it then belatedly expressed willingness to join the sanctions.
이런 세계적인 노력에도 불구하고 최근 문재인정부가 취한 행보는 크게 실망스럽다. 앞서 한국 정부는 미국의 동맹국 중 유일하게 러시아에 대한 계획된 제재에 동참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러시아가 침략에 나서자 뒤늦게야 제재 동참 의사를 밝혔다.
On Feb. 28, Korea announced a set of retaliatory measures, banning exports of strategic materials and joining the move to exclude Russia from the Society for Worldwide Interbank Financial Communication (SWIFT). The government said it had had prior consultations with the U.S. before doing so. Yet, it has come under fire for its slowness in implementing the move, which apparently prompted the U.S. to exclude Korea from its priority list of 32 allies.
한국은 지난 달 28일 전략물자 수출을 금지하고 러시아를 세계은행간금융통신협회(SWIFT)에서 배제하려는 움직임에 동참하는 등 일련의 보복 조치를 발표했다. 정부는 이에 앞서 미국과 사전 협의를 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미국이 한국을 32개 동맹국 우선협상대상에서 제외한 데서 보듯 이행이 지지부진하다는 비판을 받았다.
The U.S. Department of Commerce announced plans to prohibit shipments of high-tech items to Russia on Feb. 24, affecting companies from third countries as well as the U.S., if their products use U.S. technology and software. If these countries want to export them to Russia, they need to get prior approval from the U.S. in accordance with the revised Foreign Direct Product Rules (FDPR) regulation.
미 상무부는 지난달 24일 첨단기술 제품이 미국 기술과 소프트웨어를 사용할 경우 미국뿐 아니라 제3국 기업도 러시아로의 관련 제품 수출을 금지한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이들 국가가 러시아에 수출하려면 개정된 해외직접생산물규정(FDPR) 규정에 따라 미국의 사전승인을 받아야 한다.
The U.S. noted it would not apply the revised rules on 32 nations such as the EU member states, the United Kingdom, Japan, Canada and Australia with the exception of Korea. The department cited countries which "have committed to implementing substantially similar export controls on Russia under their domestic laws are consequently excluded from certain requirements."
미국은 한국을 제외한 EU 회원국 영국 일본 캐나다 호주 등 32개국에 대해서는 개정 규정을 적용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관련 부서는 "국내법에 따라 러시아에 대해 실질적으로 유사한 수출 통제를 시행하기로 약속한 국가들은 결과적으로 특정 요건에서 제외된다"고 말했다."
Major U.S. allies are displaying a tight and united alliance in sanctioning Russia. Germany did not permit opening the Nord Stream 2 gas line while Japan submitted additional sanctions regarding the curbing of exports of semiconductors and freezing assets in Russian financial institutes on Feb. 25. Yet, Korea failed to offer sanctions until Feb. 28.
미국의 주요 동맹국들은 러시아를 제재하는 데 있어 긴밀하고 단합된 동맹을 과시하고 있다. 독일은 노르트스트림2 가스관 개방을 불허했고, 일본은 지난달 25일 러시아 금융기관에 반도체 수출 억제와 자산동결 등과 관련한 추가 제재안을 제출했다. 그러나 한국은 2월 28일까지 제재를 하지 않았다.
"We are not sure why the U.S. did not include Korea in the list of nations excluded from the application of the revised FDPR," a foreign ministry official told The Korea Times. "But we see a high possibility (to be included)," he said. Trade Minister Yeo Han-koo vowed to make maximum efforts to include Korea in the list of "priority" allies. Korea needs to offer its own retaliatory steps that meet international standards in a more proactive manner as a responsible member of the global community.
외교부 당국자는 코리아타임스와의 인터뷰에서 "미국이 왜 수정 FDPR 적용 대상에서 한국을 제외했는지 모르겠다"며 "그러나 (포함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은 한국을 '우선' 동맹국 명단에 포함시키기 위해 최대한 노력하겠다고 다짐했다. 한국은 국제 사회의 책임 있는 일원으로서 보다 적극적인 자세로 국제기준에 부합하는 독자적인 보복 조치를 내놓을 필요가 있다.
3월 3일자 사설
KEY WORDS
■ belated 뒤늦은
■ lukewarm 어정쩡한, 미온적인
■ sanction 제재
■ isolate 고립시키다
■ retaliatory 보복적인
■ submit 제출하다
기사 원문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