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 다른 안보상 실책으로 군 비난 받아
An unidentified South Korean was found to have crossed the heavily fortified border into North Korea, raising concerns about the military's security lapse. This case has demonstrated that there is a big hole in the military's readiness posture.
신원 미상의 남한 주민이 중무장된 남북 접경을 넘어 북한으로 탈출한 것으로 밝혀져 군의 안보 실책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이번 사건은 군의 대비 태세에 큰 구멍이 있음을 보여주었다.
The Joint Chiefs of Staff (JCS) said Sunday that the crossing took place on Saturday evening. The person was detected by surveillance equipment in the eastern part of the Demilitarized Zone, which bisects the two Koreas, at 6:40 p.m., on New Year's Day.
합동참모본부(JCS)는 토요일 저녁 월북이 이루어졌다고 일요일 밝혔다. 이 주민은 설날 오후 6시 40분경 남북한을 양분하는 비무장지대(DMZ) 동쪽 지역의 감시장비에 포착됐다.
But the military had not noticed the person until 9:20 p.m. when a soldier watching the CCTV replayed the recorded footage. Then it carried out a search operation and confirmed that the person crossed the military demarcation line at around 10:40 p.m.
그러나 군 당국은 CCTV를 보고 있던 한 병사가 녹화된 영상을 재생한 오후 9시 20분이 돼서야 이 주민을 알아차렸다. 이어 수색작업을 벌여 오후 10시 40분쯤 이 주민이 군사분계선을 넘은 사실을 확인했다.
It is dumbfounding to know that the border guard failed to recognize the person's move instantly which was caught on the surveillance camera. More worrisome is that such border crossings have happened again and again in recent years. Our military cannot avoid criticism for repeated security lapses.
감시카메라에 찍힌 이 주민의 움직임을 전방 감시병이 즉각 알아차리지 못했다는 것은 황당한 일이다. 더 걱정스러운 것은 그러한 월북이 최근 몇 년 동안 반복해서 발생했다는 것이다. 우리 군은 반복되는 안보실책에 대한 비판을 피할 수 없다.
The JCS has yet to identify the person who is presumed to be a civilian. It sent a notice to the North through a military hotline asking for the defector's protection. The case occurred after a South Koran fishery official was shot dead by North Korean troops after he went missing near the maritime border in the West Sea in September 2020. The incident sparked criticism for the brutal killing which the North said was in line with its national emergency declared against COVID-19.
합참은 민간인으로 추정되는 이 월북자의 신원을 아직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 합참은 군 통신선을 통해 월북자 보호를 요청하는 통지문을 북측에 보냈다. 이번 월북건은 지난 2020년 9월 서해 북방한계선 인근에서 실종된 해양수산부 공무원이 북한군의 총에 맞아 숨진 뒤 발생했다. 이 사건은 잔혹한 살해 때문에 비난을 촉발시켰는데, 북한은 코로나19에 대해 선포한 국가비상사태에 따른 것이라고 했다.
The Moon Jae-in administration needs to prevent such a tragedy from happening again, regardless of the reason the person fled to the North. It should also make all-out efforts to boost discipline among service members and tighten the surveillance network in frontline regions to ensure our national security.
문재인정부는 월북 이유를 불문하고 이런 비극이 다시 일어나지 않도록 해야 한다. 또한 우리의 국가안보를 보장하기 위해선 장병들의 규율을 강화하고 최전선 지역의 감시망을 강화하는 데 총력을 기울여야 한다.
The military has already taken flak for a series of sexual harassment and assaults on female members. A lack of discipline on the part of soldiers is to blame for various types of misdeeds and mishaps. Repeated surveillance failures in border areas have usually been caused by negligence and slackened vigilance. In July 2020, a North Korean, who escaped to the South three years ago, swam back to the North.
군은 이미 여군들에 대한 일련의 성희롱과 성추행에 대해 비난을 받고 있다. 군인들의 규율 부족은 다양한 유형의 비행과 사고에 대해 책임이 있다. 남북 접경지역에서 반복되는 감시 실패는 대개 태만과 느슨한 경계태세로 인해 발생했다. 2020년 7월엔, 3년 전 남한으로 탈북한 북한 주민이 헤엄쳐 북한으로 돌아갔다.
The military has also come under fire for not detecting North Koreans crossing the border into the South. In February 2021, a North Korean man swam across the eastern maritime border. At the time, our soldiers failed to spot the man although he was captured on surveillance cameras. In November 2020, a North Korean civilian was captured 14 hours after jumping over barbed wire fences to cross the inter-Korean border.
군은 또한 남한으로 넘어오는 북한 주민을 감지 못해 비난을 받아왔다. 2021년 2월 북한 남성이 수영으로 동해상 경계선을 넘어왔다. 당시 이 북한인이 감시 카메라에 포착됐지만 우리 군은 이를 발견하지 못했다. 2020년 11월엔 북한 민간인이 철조망을 넘어 월남한 지 14시간 만에 잡혔다.
The government has modernized surveillance equipment to boost military preparedness. But state-of-the-art technology is of no use if soldiers remain negligent. It is time to take radical measures to boost the military's discipline and vigilance.
정부는 군사 대비태세를 강화하기 위해 감시 장비를 현대화했다. 그러나 군인들이 태만하면 첨단 기술은 아무 소용이 없다. 군의 기강과 경계태세를 높이기 위해 과격한 조치를 취해야 할 때다.
KEY WORDS
■ lapse 실수, 실책
■ posture 태세
■ demarcation 경계; 구분
■ dumbfounding 황당한
■ vigilance 경계 태세
■ negligent 태만한
기사 원문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