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 분야 피해 최소 방안 강구해야
South Korea has begun the process of entering a mega free trade agreement comprising 11 Asia-Pacific nations. It has been proactively reviewing joining the Comprehensive and Progressive Agreement for Trans-Pacific Partnership (CPTPP) in consideration of the "economic and strategic values," according to Economy and Finance Minister Hong Nam-ki. The government will begin discussions with the relevant parties soon, Hong said during a ministerial meeting Monday.
한국은 아시아 태평양 11개국으로 구성된 초대형 자유무역협정 체결 절차에 착수했다. 홍남기 기획재정부 장관은 "경제적·전략적 가치를 고려해 포괄적·진보적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CPTPP) 가입을 전향적으로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정부는 조만간 관련 당사자들과 협의를 시작할 것"이라고 홍 장관은 월요일 장관회의에서 말했다.
Such move, albeit belated, is encouraging as the envisaged accession will help the nation expand its trade and investment, and boost its status as a key player in global trade. The CPTPP is a super FTA, launched in 2018. In 2019, it accounted for 12.8 percent of the global gross domestic product (GDP) and 15.2 percent of the total global trade volume. The 11 member countries account for 23.2 percent of South Korea's entire exports and 24.8 percent of its imports.
비록 늦었지만, 이러한 움직임은 한국이 무역과 투자를 확대하고 세계 무역의 핵심 주체로서의 위상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고무적이다. CPTPP는 2018 년에 발족한 슈퍼 FTA이다. 2019년에는 전 세계 국내총생산(GDP)의 12.8%, 전 세계 교역량의 15.2%를 차지했다. 11개 회원국은 한국 전체 수출의 23.2%, 수입의 24.8%를 차지한다.
Despite this significance, the country had stayed away from the trade bloc after the administration of former U.S. President Donald Trump withdrew from it, in an about-face from its leading role in establishing it as the Trans-Pacific Partnership. Japan assumed the major role, prompting South Korea to remain lukewarm over the pact. But such an attitude has invited criticism for its short-sighted perspective as Korea is a country with a heavy reliance on external trade.
이런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 행정부가 CPTPP를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 수립에서와 같이 주도적 역할을 하지 않고 탈퇴한 뒤 무역블록에서 멀어졌다. 일본이 주요 역할을 맡으면서 한국은 이 협정에 대해 미온적인 태도를 취하게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태도는 한국의 대외 무역 의존도가 높은 점 때문에 근시안적인 시각이란 비판을 받아왔다.
Worse still, there are diverse signs that the trade environment is evolving unfavorably for the country as major trading nations such as the United States are taking protectionist measures. Conflicts between the U.S. and China, the two main trading partners for Korea, are also ever intensifying. What is worrisome is the recent move to use trading items as a means of retaliation as seen in China's restrictive exports of urea, used as an additive to reduce carbon emissions from diesel trucks. Japan has yet to ease export curbs of key materials needed for Korean firms to manufacture semiconductors and display panels.
설상가상으로 미국 등 주요 무역국들이 보호무역주의 조치를 취하면서 무역환경이 우리나라에 불리하게 전개되고 있다는 다양한 징후들이 나타나고 있다. 한국의 양대 교역국인 미국과 중국의 갈등도 갈수록 격화되고 있다. 걱정스러운 것은 최근 중국이 디젤 트럭의 탄소 배출을 줄이기 위한 첨가제로 사용하는 요소 수출을 제한하는 것에서 볼 수 있듯이 무역 품목을 보복 수단으로 사용하려는 움직임이다. 일본은 한국 기업들이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조하는 데 필요한 핵심 재료의 수출 규제를 아직 완화하지 않고 있다.
Against this backdrop, it is necessary for South Korea to hasten efforts to join the mega FTA. The prospect of the country joining the CPTTP will likely help expand its export portfolio coupled with its planned ratification of the Regional Comprehensive Economic Partnership (RECEP), which will take effect next February.
이런 상황에서 한국은 메가 FTA에 동참하기 위한 노력을 서둘러야 한다. 내년 2월부터 시행되는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ECEP) 비준과 함께 CPTPP 가입이 수출 포트폴리오 확대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Entering the CPTTP will help boost the economy. The state-run Korea Development Institute foresaw in a report that the nation will be able to lower its reliance on China in trade and increase exports by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However, CPTTP membership will likely deal a blow to the domestic farming and fisheries industries as the agreement includes giants such as Australia and Chile.
CPTPP 가입은 경제를 활성화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한국개발연구원은 보고서에서 한국이 무역에서 중국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고 중소기업의 수출을 증가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예견했다. 그러나 이번 협정에 호주와 칠레 등 농업대국이 포함돼 있어 CPTPP 가입은 국내 농어업에 타격을 줄 것으로 보인다.
The government needs to take preemptive measures to minimize any potential damage to households and industries that are vulnerable to market opening. If needed, it should also prepare due compensations for potential losses. As the CPTTP membership needs unanimous approval from the current member countries, South Korea should maintain amicable relations with them. It needs to mend ties with Japan as bilateral relations have remained at their lowest due to disputes over wartime sex slavery and forced labor.
정부의 시장개방에 취약한 가계와 산업의 잠재적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선제적 대응이 필요하다. 필요하다면 잠재적 손실에 대한 적법한 보상도 준비해야 한다. CPTPP 회원 가입은 현 회원국의 만장일치 승인이 필요하기 때문에 한국은 그들과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해야 한다. 위안부문제, 강제징용 문제로 사상 최저에 머물러 있는 일본과의 관계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
KEY WORDS
■ comprise ~로 구성되다, 이루어지다
■ proactively 전향적으로
■ bloc (국가간의) 연합[블록]
■ ratification 비준
■ preemptive 선제적인
■ unanimous 만장일치의
기사 원문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