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은 인권 문제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U.S. President Joe Biden's confirmation about a possible boycott of the Beijing Winter Olympics is likely to further strain already tense relations with China. On Thursday, Biden said he was considering a U.S. diplomatic boycott of the Olympic Games over China's human rights abuses.
베이징 동계올림픽 보이콧 가능성에 대한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의 확인은 이미 긴장된 중국과의 관계를 더욱 악화시킬 가능성이 있다. 목요일 바이든 대통령은 중국의 인권 유린 문제로 올림픽에 대한 미국의 외교적 보이콧을 고려하고 있다고 밝혔다.
His remarks came three days after he held a virtual summit with Chinese President Xi Jinping to ease tensions in the great power competition. They indicated that the two countries might plunge into a more serious conflict without any compromise. Biden is certainly trying to put more pressure on Chine to improve its human rights situation, particularly in its western Xinjiang region.
그의 발언은 강대국 간 경쟁에서 긴장을 완화하기 위해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화상 정상회담을 한 지 사흘 만에 나왔다. 두 나라가 타협 없이 더 심각한 갈등에 빠질 수 있다는 점을 시사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중국, 특히 서부 신장 지역의 인권 상황을 개선하기 위해 중국에 더 많은 압박을 가하려 하는 것이 확실하다.
In response, Chinese Foreign Ministry spokesman Zhao Lijian accused the Biden administration of violating the Olympic spirit. "Politicizing sports is against the Olympic spirit, and harms the interests of athletes from all countries," he said Friday. He denied U.S. allegations about genocide, forced labor and other human rights abuses targeting Uyghurs and other Muslim minorities.
이에 대해 자오리젠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바이든 행정부가 올림픽 정신을 위반했다고 비난했다. 그는 "스포츠를 정치화하는 것은 올림픽 정신에 어긋나는 것이며 모든 국가의 선수들의 이익을 해친다"고 말했다. 그는 위구르인과 기타 이슬람 소수 민족을 대상으로 한 학살, 강제 노동 및 기타 인권 침해에 대한 미국의 주장을 부인했다.
Yet such denial tactics won't solve the problem. China needs to pay more attention to mounting calls by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o stop its widespread rights abuses. It should not repeat its crackdown on freedoms in Hong Kong. Otherwise, it cannot successfully host the Olympics in February. We urge Beijing not to turn a blind eye to boycott campaigns which are gaining momentum in the U.S. and European countries. British Prime Minister Boris Johnson also said that he is considering diplomatically boycotting the Winter Games.
그러나 이런 부인 전략으로는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다. 중국은 만연한 인권 침해를 중단하라는 국제 사회의 증가하는 요구에 더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홍콩의 자유에 대한 탄압을 반복해서는 안 된다. 그렇지 않으면 내년 2월 올림픽을 성공적으로 개최할 수 없다. 우리는 중국이 미국과 유럽 국가에서 힘을 얻고 있는 올림픽 보이콧 캠페인을 무시하지 말 것을 촉구한다. 보리스 존슨 영국 총리도 외교적으로 동계올림픽 보이콧을 고려하고 있다고 밝혔다.
A diplomatic boycott, if enforced, could deal a setback to the host country. It means that government representatives of other countries will not attend the opening of the Olympics although athletes will be allowed to compete. It would be better for Biden and Xi to reach a compromise to prevent the Beijing Olympics from turning into a political flashpoint. They must make efforts not to see a replay of the 1980 Moscow Olympics which the U.S. boycotted over the Soviet Union's 1979 invasion of Afghanistan. In retaliation, the Soviet Union refused to send its delegation to the 1984 Los Angeles Olympics. We hope such Cold War rivalry in the sports arena will not happen again.
외교적 보이콧이 시행될 경우 개최국에 타격을 줄 수 있다. 선수들은 출전할 수 있지만 다른 나라 정부 대표단은 올림픽 개막식에 참석하지 않을 것이다. 베이징올림픽이 정치적 화약고로 변질되지 않도록 바이든 대통령과 시 주석이 타협하는 것이 더 나을 것이다. 1979년 소련의 아프가니스탄 침공으로 미국이 보이콧한 1980년 모스크바 올림픽이 반복되지 않도록 노력해야 한다. 이에 대한 보복으로 소련은 1984년 로스앤젤레스 올림픽에 대표단 파견을 거부했다. 우리는 스포츠계에서 이러한 냉전 경쟁이 다시는 일어나지 않기를 바란다.
A potential boycott of the upcoming Beijing Games is likely to undermine South Korea's efforts for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President Moon Jae-in has floated the idea of declaring a formal end to the 1950-53 Korean War together with leaders of related countries during the Olympics in Beijing. If President Biden is absent from the opening ceremony, Moon cannot put his peace initiative into action. As such he stands little chance of mediating between the U.S. and North Korea for the resumption of their stalled denuclearization talks.
다가오는 베이징 올림픽의 잠재적 보이콧은 한반도의 평화를 위한 한국의 노력을 약화시킬 가능성이 있다. 문재인 대통령은 베이징 올림픽 기간에 관련 국가 정상들과 함께 한국전쟁(1950-53)의 종전을 공식 선언하자는 구상을 내비쳤다. 바이든 대통령이 개막식에 불참하면 문 대통령은 그의 평화 제의를 실행에 옮길 수 없다. 따라서 그는 미국과 북한이 교착 상태에 빠진 비핵화 회담 재개를 위해 중재할 가능성이 거의 없어진다.
Furthermore, South Korea may find it ever more difficult to strike a balance between the U.S. and China, if the superpower rivalry continues to escalate. The Moon administration needs to overhaul the country's long-held policy of relying on the U.S. for security and depending on China for economic growth. It is imperative to map out a new strategy to survive the Sino-U.S. conflict.
더욱이, 초강대국의 경쟁이 계속 심화된다면 한국은 미국과 중국 사이의 균형을 맞추는 것이 훨씬 더 어려울 수 있다. 문재인정부는 안보를 미국에 의존하고 경제 성장을 중국에 의존하는 오랜 정책을 점검할 필요가 있다. 미중 갈등에서 살아남기 위해서 새로운 전략을 짜는 것이 시급하다.
11월 22일 (월) 코리아타임스 논설위원실 사설
KEY WORDS
■ boycott (항의의 표시로) 구매[사용/참여]를 거부하다, 보이콧하다
■ strain 긴장시키다
■ abuse 유린
■ allegation 주장
■ undermine 약화시키다
■ stalled 교착 상태에 빠진
기사 원문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