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Jeongyeon of K-pop girl group TWICE previously revealed that she had been suffering from panic disorder. Courtesy of JYP Entertainment |
By Dong Sun-hwa
Amid the flood of audition programs, local broadcaster MBC is slated to premiere a new talent search show, "My Teenage Girl," on Nov. 28 in a bid to form a new girl group. MBC, however, attempted to deviate from the norm by airing a prequel ― "Hesitation before Going to School" ― where famous psychiatrist Oh Eun-young appears as the "mother" of 83 aspiring singers, to provide psychological support for the participants who will soon go head-to-head with one another to make their debuts.
오디션 프로그램의 홍수 속 국내 방송사 MBC는 11월 28일 새로운 걸그룹 결성을 위한 프로그램 ‘방과후 설렘'을 첫 방송할 예정이다. 하지만 MBC는 전편 ‘등교전 망설임'에 이들에게 심리적 도움을 제공할 유명 정신과 전문의 오은영을 출연시킴으로써 기존의 형식에서 벗어나려고 시도했다. 오은영은 곧 데뷔를 위해 서로 대결을 펼칠 가수 지망생 83명의 ‘엄마'로 등장한다.
It is unknown whether Oh's appearance is part of MBC's tactic to promote the upcoming contest or a sincere effort to take care of the teens who are expected to go through a great deal of stress during the competition. But one thing is obvious: the mental health of stars ― and aspiring performers ― is no longer a taboo subject on TV.
오 전문의의 출연이 MBC의 이번 프로그램 홍보를 위한 전략인지 또는 오디션 기간 큰 스트레스를 받을 10대들을 위한 진심 어린 배려인지는 알 수 없다. 그러나 한 가지 분명한 것은 스타와 연기자 지망생의 정신 건강은 더 이상 TV에서 금기시되는 주제가 아니라는 점이다.
"Today, a growing number of people seem to believe that mental health issues are not something to hide," Lee Jong-im, a visiting professor at the Graduate School of Journalism and Communication at Kyung Hee University, told The Korea Times. Lee is also the author of "Idol Trainees' Sweat and Tears" (2018), a book exploring the dark side of the K-pop training system.
이종임 경희대학교 언론정보대학원 객원교수는 코리아타임스에 "요즘 정신 건강 문제는 숨길 일이 아니라고 믿는 사람이 늘어나는 것 같다"고 말했다. 이 교수는 K팝 트레이닝 체계의 어두운 면을 탐구한 책 "아이돌 연습생의 땀과 눈물(2018)"의 저자이기도 하다.
In fact, the state-run Korea Creative Content Agency (KOCCA), which has been offering psychological counseling for aspiring singers and K-pop stars since 2011, revealed that the number of counseling cases spiked nearly 18 times, from 40 in 2011, to 699 in 2020.
실제로 2011년부터 가수와 K팝스타 지망생을 대상으로 심리상담을 제공하고 있는 국영의 한국콘텐츠진흥원에 따르면 상담 건수는 2011년 40건에서 2020년 699건으로 18배 가까이 급증했다.
"Although the effectiveness of MBC's support remains to be seen, its new approach may help more people realize the significance of counseling," Lee pointed out.
이 교수는 "MBC 지원의 효과는 두고 봐야겠지만 새로운 접근 방식을 통해 더 많은 사람이 상담의 중요성을 깨닫게 도울 것"이라고 강조했다.
Experts believe that more measures should be taken to protect the vulnerable people in the K-pop scene, where A-listers like TWICE's Jeongyeon and Kang Daniel put their careers on hold due to mental health issues. Over the years, some celebrities have even taken their own lives after their struggles with depression, raising a red flag that something needs to change to prevent such tragedies.
전문가들은 트와이스 정연, 강다니엘 등 A급 가수들이 정신 건강 문제로 활동을 중단한 가요계에서 취약층의 보호를 위한 대책이 더욱 강화돼야 한다고 보고 있다. 지난 수 년간 일부 유명인들은 우울증 투병 후 스스로 목숨을 끊기까지 했으며, 그러한 비극을 방지하기 위해 무언가 바뀌어야 한다는 적신호를 제기했다.
KEY WORDS
■ deviate from ~에서 일탈하다
■ taboo 금기사항
■ spike 급등하다
■ measure 조치
■ vulnerable ~에 취약한
■ A-lister 일류인
기사 원문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