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Kim Seon-tae, a 36-year-old public servant, stars in Chungju City's YouTube channel. Captured from YouTube 공무원 김선태(36) 씨가 충주시 유튜브 채널에 출연하고 있다. 유튜브에서 캡처 |
By Jun Ji-hye
A growing number of local governments are attempting to reflect the tastes of young people and capture their hearts and minds through YouTube.
유튜브를 통해 젊은 세대의 취향을 반영해 이들의 마음을 사로잡으려는 지방자치단체(이하 지자체)들이 늘고 있다.
Until recent years, local governments have mainly presented promotional and policy videos in a formal style and consequently gained little attention.
지금까지 지자체는 주로 홍보 및 정책 영상을 격식 차린 방식으로 선보여 주목을 거의 받지 못했다.
However, they have recently begun producing videos in more varied forms in an attempt to appeal to the MZ Generation ― a term referring to Millennials and Generation Z as a single generational group.
하지만 최근 밀레니얼과 Z세대를 통칭하는 ‘MZ세대'의 관심을 끌기 위해 보다 다양한 형태의 영상을 제작하기 시작했다.
In many cases, young public servants are the creative driving force behind such content. Sometimes they star in the videos themselves.
이러한 콘텐츠의 창조적 원동력은 젊은 공직자들이다. 때때로 이들은 지자체 영상에 직접 출연한다.
This trend began after the YouTube channel of Chungju City in North Chungcheong Province achieved great success on the back of creative and humorous video content created by Kim Seon-tae, a 36-year-old public servant.
이러한 추세는 공무원 김선태(36) 씨가 만든 창의적이고 재치 있는 영상 콘텐츠에 힘입어 충북 충주시의 유튜브 채널이 큰 성공을 거두면서 시작됐다.
Since 2019, Kim has created more than 200 video clips including the "coffin dance" from 2020 which publicized social distancing rule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The video generated more than 8.5 million views.
2019년부터 김 씨는 200편 이상의 영상을 제작했는데 이 중에는 2020년 코로나19 팬데믹 동안 사회적 거리두기 정책을 공식적으로 알리는 ‘관짝춤'도 포함된다. 해당 영상은 850만 회 이상의 조회수를 기록했다.
Chungju City's YouTube channel now has more than 360,000 subscribers. This is more than the city's 210,000 population and also more than 183,000 subscribers to the YouTube channel operated by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현재 충주시 유튜브 채널 구독자 수는 36만명을 넘어섰다. 이는 서울시 인구 21만명과 서울시가 운영하는 유튜브 채널 구독자 18만3000여명을 넘어선 수치다.
Other local governments have been rushing to follow in the footsteps of Chungju City.
다른 지자체들도 충주시의 행보를 좇고 있다.
Seoul's Gangseo District has become the first local government to introduce a virtual YouTuber.
서울시 강서구는 가상 유튜버를 도입한 첫 지자체가 되었다.
The district uses the outspoken virtual character, created from its mascot called "Saromi," in some of its video clips in a bid to attract more young viewers.
강서구는 젊은 시청자의 더 많은 유입을 위해 일부 영상에서 지자체 마스코트 "새로미"에서 착안해 만든 솔직한 가상 캐릭터를 사용한다.
The first video utilizing this virtual character generated 149,000 views and also attracted positive responses from district residents, the district office said, noting that a young public servant who has been working there for three years came up with the idea of utilizing the virtual YouTuber.
강서구청은 이 가상 캐릭터를 활용한 첫 영상이 조회수 14만 9천회를 기록하며 지역 주민들로부터 긍정적인 반응을 얻었다며, 3년 동안 해당 구청에서 근무하고 있는 젊은 공무원이 가상 유튜버를 활용한 아이디어를 냈다는 점도 언급했다.
KEY WORDS
■ reflect 나타내다[반영하다]
■ capture ~의 흥미를 사로잡다
■ consequently 그 결과
■ star in ~에 주연을 맡다
■ on the back of ~의 뒤를 이어
■ coffin 관
■ subscriber 구독자
■ outspoken 거침없이 말하는
■ utilize 활용하다
■ come up with ~을 제시하다
기사 원문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