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Sharon Lewin, director of the Peter Doherty Institute for Infection and Immunity, speaks during a session at the 2022 World Bio Summit held in Seoul, Wednesday. Courtesy of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수요일 샤론 르윈 피터 도허티 감염 및 면역 연구소 소장이 서울에서 열린 2022 세계 바이오 서밋에서 열린 기자회견 동안 발언하고 있다. |
COVID-19 pandemic will persist in 2023, but with less severe waves: Lewin
르윈, "코로나19는 2023년에도 지속돼지만 그 여파는 줄어들 것"
By Lee Hyo-jin
Korea is an outlier when it comes to the mask mandate and people's tendency to wear face masks, says Sharon Lewin, director of the Peter Doherty Institute for Infection and Immunity.
샤론 르윈 피터 도허티 감염 및 면역 연구소 소장이 마스크 착용 의무 및 한국인의 마스크를 착용하려는 경향은 매우 이례적이라고 전했다.
"I've been travelling to a lot of countries and Korea is an outlier on masks. I'd be very interested to know if it is making a big difference to your numbers (of infections)," the Australian infectious disease specialist said in an interview with The Korea Times, Wednesday, during the 2022 World Bio Summit held in Seoul.
호주 출신 전염병 전문가는 수요일 세계 바이오 서밋 동안 진행된 코리아타임스와의 인터뷰에서 "많은 나라를 돌아다니고 있지만 한국은 이례적으로 마스크를 착용한다. 마스크 착용이 (확진자) 수에 큰 차이를 만들고 있는지 알고 싶다"고 말했다.
Lewin is the inaugural director of the Melbourne-based Doherty Institute, which was the first facility to isolate and share the SARS-CoV-2 virus outside of China in January 2020, and has played a major role in the global response to the pandemic.
르윈 소장은 멜버른에 기반을 둔 도허티 연구소의 초대 소장이며 2020년 1월 연구소는 최초로 중국 밖에서 사스코로나바이러스-2(SARS-CoV-2)를 분리해내 팬데믹을 향한 전 세계적 대응에 큰 역할을 해왔다.
She further said that she was quite fascinated to see Koreans wear masks outdoors consistently ― even though the outdoor mask rule was lifted in September ― unlike Australians who were keen to ditch face masks. The mask mandate indoors is still in place in Korea.
르윈 소장은 마스크를 벗길 바라는 호주인과 달리 9월 실외 마스크 착용 의무가 해제되었음에도 실외에서 꾸준히 마스크를 착용하는 한국인의 모습에 사로잡혔다고 전했다. 한국에서는 마스크 착용이 여전히 의무다.
"Masks have been very helpful in stopping the spread of the coronavirus, but their efficacy with Omicron is a little less clear in a highly vaccinated population, which Korea is," she said.
그녀는 "마스크는 코로나19 바이러스 전파를 막는 데 매우 유용하지만 백신 접종 인구가 많은 상황에서 오미크론 변이에 효과가 있는지는 덜 명확하다"고 언급했다.
In recent weeks, Australia ― with a population of 26.1 million and territory 76 times the size of South Korea ― has been doing away with its pandemic restrictions. Virus carriers are now "recommended" to isolate for five days, and the mask mandate indoors was lifted except for in certain environments such as healthcare and hospital settings as well as elderly care, disability service and mental health residential facilities.
한국에 비해 76배 넓은 면적에 2610만 명이 거주하는 호주는 최근 몇 주 동안 여러 코로나19 팬데믹 규제를 폐지하고 있다. 확진자는 현재 5일간 격리하도록 ‘권장'받고 있으며 의료 기관 및 병원을 비롯한 노인 돌봄 시설, 장애인 및 정신병원과 같은 시설을 제외한 실내에서 마스크 의무 착용은 해제되었다.
The Australian government's decision to lift the mask rule, which was overall positively received by the public, did not lead to an uptick of infections there, Lewin noted.
르윈 소장은 정부의 마스크 의무착용 해제 결정은 호주인 대부분에게 긍정적으로 받아들여졌으며, 호주 내 확진자 수 폭증으로 이어지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Many governments are moving away from trying to reduce infections, and rather focusing on reducing hospitalizations and deaths, which means making sure people are vaccinated and boosted," she said.
그녀는 "많은 정부는 감염자 수를 줄이려는 노력에서 벗어나 오히려 입원 및 사망자 수를 줄이는 데 집중하고 있는데, 이는 사람들이 예방접종 및 추가 접종을 확실히 하는 것을 의미한다"고 전했다.
Lewin views that if the overall strategy is to reduce hospitalizations and deaths then "mask wearing may not be giving you the biggest bang for your buck."
르윈 소장은 전체적인 전략이 입원 및 사망자 수를 줄이려는 것이라면 "마스크 착용이 최대의 효과를 주지 않을 수도 있다"고 보았다.
She also advised Korea swiftly to expand and put more attention on influenza vaccinations, explaining that her country had grappled with a "twindemic" of a severe, early flu season coupled with a surge in Omicron cases during the last few months.
또 그녀는 지난 몇 달 동안 호주는 오미크론 변이 확진자 급등이 독감과 함께 진행되는 ‘트윈데믹'으로 고전한 바 있다고 설명하며 한국도 신속하게 독감 백신 접종을 확대하고 더 집중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We had a lot of Omicron infections in July and August. And we also had a lot of influenza at that time, which you will be facing now as you go into winter," she said. In addition to free influenza vaccines, she underlined the importance of public awareness around not going to work when sick, and of wearing a mask when one has symptoms.
그녀는 "올해 7월과 8월 오미크론 확진자가 매우 많았다. 같은 시기 독감 환자도 많았는데 이는 겨울이 되면 목격할 현상"이라고 전했다. 그녀는 독감 백신 무료 제공과 더불어 아플 때 출근하지 않는다는 대중의 인식, 그리고 증상이 나타날 때 마스크를 착용하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KEY WORDS
■ outlier 본체를 떠난 물건, 분리물
■ inaugural 취임(식)의, 개회의, 첫
■ consistent 한결같은, 일관된
■ efficacy 효험
■ hospitalize 입원시키다
■ swift 신속한, 재빠른
■ grapple with ~을 해결하려고 노력하다
■ severe 극심한, 심각한
기사 원문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