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A person enters Kakao's office in Pangyo, Gyeonggi Province, Monday. Yonhap 한 사람이 경기도 판교에 위치한 카카오 사무실로 들어서고 있다. |
Tech giant hit by unprecedented service disruptions
전례 없는 서비스 중단사태를 당한 기술 대기업
The country's tech giant, Kakao Corp., suffered service disruptions due to a fire at a data center Saturday. The incident shows how vulnerable our wired digital society is to such a malfunction.
국내 기술 대기업인 카카오는 토요일 데이터 센터에서 발생한 화재로 인해 서비스 장애를 겪었다. 이 사건은 통신망으로 연결된 우리의 디지털 사회가 이러한 오작동에 얼마나 취약한지를 보여준다.
The fire broke out at around 3:33 p.m. at SK C&C's Pangyo building in Seongnam, Gyeonggi Province, which houses Kakao's data center. The building's power supply was cut off, causing a disruption for the country's dominant mobile messenger app KakaoTalk.
화재는 이날 오후 3시 33분쯤 카카오의 데이터센터가 있는 경기도 성남시 SK C&C 판교 사옥에서 발생했다. 건물의 전원 공급이 차단되어 국내 거대 모바일 메신저 앱인 카카오톡에 서비스 중단사태를 야기했다.
The malfunctions on the KakaoTalk app included a message delivery failure and log-in error. Its affiliated firm Kakao Pay reported glitches in its online payment service and its gaming platform Kakao Games showed another problem. The fire-induced power cut in the data center also triggered service errors to Daum, Kakao's portal service arm. Additionally, Naver, the country's top internet portal, reported a partial disruption of its online shopping service.
카카오톡 앱의 오작동에는 메시지 전달 장애와 로그인 오류가 포함됐다. 계열사인 카카오페이는 온라인 결제 서비스 장애가 발생했고, 게임 플랫폼 카카오게임즈는 또 다른 문제를 보였다. 데이터센터 화재로 인한 정전으로 카카오의 포털 서비스 계열사인 다음에도 서비스 오류가 발생했다. 여기에 국내 최고 인터넷 포털인 네이버도 온라인쇼핑 서비스가 일부 중단됐다.
Those developments have caused chaos for users. They remind Koreans of a large-scale disruption of the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of KT, one of the nation's leading telecom operators, which took place a year ago due to a "routing error." KT also brought about a similar internet blackout because of a fire at its underground network center in Ahyeon-dong, Seoul, in November 2018.
이러한 서비스 중단사태는 사용자들에게 혼란을 야기했다. 이번 사태는 우리 국민에게 1년 전 ‘라우팅 오류'로 발생한 국내 주요 통신사 중 하나인 KT의 대규모 유무선 통신망 중단 사태를 떠올리게 한다. KT는 또한 지난 2018년 11월 서울 아현동 지하 네트워크센터 화재로 인해 유사한 인터넷 서비스 중단이 발생한 바 있다.
It is unprecedented for all of Kakao's internet servers -- their total number estimated at 32,000 -- to come to a halt all at once. Such an incident was dumbfounding. Yet the question is whether Kakao was prepared. The IT behemoth has a crisis management manual which calls for repair and recovery of any failed system within 20 minutes.
총 32,000개로 추정되는 카카오의 모든 인터넷 서버가 한 번에 중단된 것은 전례가 없는 일이다. 이런 사태는 황당한 것이다. 하지만 문제는 카카오가 준비가 되어 있었느냐 하는 것이다. 이 IT 거대 기업은 20분 이내에 중단된 시스템을 수리하고 복구할 것을 요구하는 위기관리 매뉴얼을 가지고 있다.
But the manual has not worked at all. Only one-third of the Kakao servers had been restored by the next morning, with the company suffering its worst and longest service disruption in its 12-year history. It seems that the company's backup system has failed to cope with the data center power stoppage although Kakao has several other data centers around the country to be activated in emergency. Company management should find out what is wrong with the system and do all it can to prevent future disruptions.
그러나 매뉴얼은 전혀 작동하지 않았다. 이튿날 오전까지 카카오 서버의 3분의 1만 복구돼, 카카오는 12년 역사상 최악이자 가장 긴 서비스 중단을 겪었다. 카카오가 전국에 여러 데이터센터를 두고 비상사태에 대비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회사의 백업 시스템이 데이터센터 정전에 대처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회사 경영진은 시스템의 문제를 찾아내고 향후 중단사태를 방지하기 위해 최선을 다해야 한다.
The service disruptions cannot and should not be tolerated. Providers of free-of-charge services are not liable for such disruptions. However, Kakao should be held accountable for any damage arising from the glitches. It must invest more in ensuring the provision of flawless services as well as protecting user security, instead of going all out to maximize its profits by taking advantage of user data and expanding its business recklessly.
서비스 중단은 용인될 수 없고 용인되어서도 안 된다. 무료 서비스 제공자는 그러한 서비스 중단에 대한 책임이 없다. 그러나 결함으로 인한 피해는 카카오가 책임을 져야 한다. 사용자 데이터를 활용하여 수익을 극대화하는 데 총력을 기울이고 무분별하게 사업을 확장하는 대신, 카카오는 이용자 보안 보호는 물론 완벽한 서비스 제공을 위해 더 많은 투자를 해야 한다.
Telecommunication policymakers and regulators are not exempt from culpability, either. They cannot avoid the blame for neglecting to oversee online services providers. President Yoon Suk-yeol instructed officials to work closely with Kakao to resume their services quickly and fully. On his orders, Science and ICT Minister Lee Jong-ho formed a telecommunications disaster headquarters to deal with the case.
통신정책 입안자와 감독기관도 책임이 있다. 그들은 온라인 서비스 제공업체에 대한 감독을 소홀히 한 책임을 피할 수 없다. 윤석열 대통령은 카카오와 긴밀히 협력해 신속하고 완전하게 서비스를 재개할 것을 관리들에게 지시했다.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은 이 사건을 처리하기 위해 방송통신 재난대책본부를 꾸렸다.
Most of all, the authorities should pinpoint the exact cause of the incident. Then they must strengthen rules to prevent further service disruptions. Kakao, for its part, need to restore consumer confidence by making its service networks more reliable and secure.
무엇보다 당국이 사건의 정확한 원인을 찾아내야 한다. 그런 다음 추가 서비스 중단을 방지하기 위해 규칙을 강화해야 한다. 카카오는 서비스 네트워크를 보다 신뢰할 수 있고 안전하게 만들어 소비자 신뢰를 회복해야 한다.
10월 17일 (월) The Korea Times 사설
KEY WORDS
■ unprecedented 전례 없는
■ disruption 혼란, 중단
■ vulnerable 취약한
■ wired 컴퓨터 시스템에 연결된
■ house 보관하다, 수용하다
■ cut off 중단시키다, 차단하다
■ affiliate 연계하다
■ blackout 정전
■ behemoth 거대기업
■ dumbfound (너무 놀라서) 말을 못하게 만들다
■ culpability (잘못에 대한) 책임
■ pinpoint 정확히 찾아내다
기사 원문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