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After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announced in September that they would introduce a second household waste incineration plant in Mapo District in the city, protesters demonstrate in front of Seoul City Council on Sept. 14. The poster's slogan reads, "Save Mapo District." Korea Times file 9월 서울시가 마포구에 두 번째 생활 쓰레기 소각장을 신설하기로 발표하자 9월 14일 서울시의회 앞에서 시위자들이 "마포구를 살려주세요"라고 적힌 포스터를 들고 시위를 벌이고 있다. |
By Ko Dong-hwan
The head of Seoul's Mapo District ― where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wants to erect a new household waste incineration plant despite local residents' fierce objections ― has proposed an alternative to treat the city's brimming waste problem. It was a last-ditch effort by the district head to avoid building the facility in Mapo, where there is already another trash-burning plant.
주민들의 강력한 반대에도 서울시가 생활 폐기물 소각장을 신설하고자 하는 마포구의 구청장이 넘쳐나는 쓰레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을 제시했다. 이는 이미 다른 쓰레기 소각장이 위치한 마포구에 추가적인 소각장 설치를 막기 위한 구청장의 필사적인 노력이다.
Mapo District Head Park Kang-soo said Tuesday that instead of building what's widely known as a "socially unwanted facility," a mechanical biological treatment (MBT) plant could be introduced to effectively reduce the mounting volume of trash. He also proposed that by introducing a MBT plant to other districts in Seoul as well, the city's total daily trash ― amounting to 3,680 tons each day (as of 2020, according to the Ministry of Environment) ― can be reduced enough so as not to require an additional incineration plant.
화요일 박강수 마포구청장은 "사회적으로 반갑지 않은 시설"로 널리 알려진 시설을 설립하는 대신, 양이 증가하는 쓰레기를 효과적으로 줄이기 위해 폐기물 전처리시설(MBT)이 도입되어야 한다고 전했다. 또 그는 서울 내 다른 지역에도 MBT를 설치한다면 3,680톤에 달하는 서울시 일일 쓰레기 배출량(2020년 기준, 환경부)이 추가 소각장이 필요 없을 만큼 충분히 감소할 것이라고 제안했다.
Seoul now treats household waste by burning about 2,475 tons at five incineration plants scattered across the city, dumping about 1,083 tons at the Sudokwon Landfill in Incheon, and recycling about 120 tons. While the five incineration plants' overall capacity is less than 2,900 tons, Sudokwon Landfill, which has been accepting trash from the country's capital region of Incheo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will no longer take deliveries of rubbish starting in 2026. The situation has propelled an urgent need to introduce a new incineration plant in Seoul to pick up the slack.
현재 서울은 서울시 내 소각장 5곳에서 약 2475톤을 소각하는데, 인천에 위치한 수도권매립지에서 약 1083톤을 매립하는 한편 약 120톤을 재활용하며 생활 쓰레기를 처리하고 있다. 소각장 5곳의 총 폐기물 수용량은 2900톤보다 적지만 인천시와 서울시 및 경기도를 비롯한 수도권의 쓰레기를 처리하는 수도권매립지는 2026년부터 폐기물을 더 이상 받지 않는다. 이러한 상황으로 인해 쓰레기 처리 공백을 메우기 위해 서울 내 신규 소각장을 설치할 필요성이 시급해졌다.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after a search for the most ideal site for a new incineration plant, selected Mapo District last September. The selection had immediately drawn condemnation from the district's local residents including District Head Park, who were indignant at having another "socially unwanted facility" in their neighborhood.
9월 서울시는 신규 소각장을 위한 이상적인 부지를 물색한 끝에 마포구를 선정했다. 마포구청장을 비롯한 마포구민들은 이미 근처에 "사회적으로 반갑지 않은 시설"이 있다는 사실에 분노하며 선정 직후 비난을 이어갔다.
"Burning it shouldn't be the only solution," Park said Tuesday. "If we can reduce the volume of 1,000 tons of daily household wastes by any means, we don't need an additional incineration plant. In fact, half of the household waste that go into an incineration plant doesn't even need to be burnt but could be sorted for recycling."
화요일 박 구청장은 "쓰레기 소각만이 유일한 해결책이 되어선 안 된다"며 "어떠한 방식으로든 일일 생활 쓰레기 배출량을 1000톤 줄일 수 있다면 추가적인 소각장이 필요하지 않다. 실제로 소각되는 생활 쓰레기 절반은 소각되지 않고 재활용으로 해결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To explain his argument, Park on Tuesday showed up at a public square in front of the district office. There were 190 samples of garbage bags that have been collected in the past five days from across Mapo. About 100 bags were from apartment buildings while the rest were from free-standing houses and public commercial buildings. With some 60 district residents watching the scene, the district head ripped through the trash and looked for what could be further recycled, like scraps of metal, plastics and used plastic bags. The efforts reflected what a MBT plant can do to collect daily household waste: carry out a last screening process for recycling and thus reduce the volume of trash to burn.
그의 주장을 설명하기 위해 화요일 박 구청장은 마포구청 광장에 등장했다. 광장에는 마포구 내에서 최근 5일 동안 수집된 종량제 봉투 샘플 190개가 있었다. 종량제 봉투 100여 개는 아파트에서, 나머지는 단독주택과 상가에서 수집되었다. 마포구 거주민 60여 명이 지켜보는 가운데 박 구청장은 직접 종량제 봉투를 찢어 금속 조각, 플라스틱 및 한 번 사용된 비닐봉지와 같이 어떤 것들이 더 재활용될 수 있는지를 찾아보았다. 이러한 노력은 MBT 시설이 매일 발생하는 생활 쓰레기 수집을 위해 재활용을 위한 마지막 검수 과정을 거쳐 결과적으로 소각되는 쓰레기의 양을 줄일 수 있다는 것을 반영했다.
"Out of the samples, over 64 percent of collected trash items were recyclable, such as vinyl, paper, plastic and aluminum cans," Park Jun, head of Socially Obnoxious Facility Task Force under the district office, told The Korea Times. "And 35.7 percent of the volume of the originally collected trash remained for incineration."
마포구가 구성한 광역자원회수시설 입지선정 자체대응 태스크 포스의 박준 포스 장은 코리아타임스와의 인터뷰에서 "종량제 봉투 샘플들 가운데 수집된 쓰레기들의 64% 이상이 비닐, 종이, 플라스틱과 알루미늄 캔과 같이 재활용이 가능한 것이었다"며 "초기에 수집된 쓰레기 35.7%만이 소각을 위해 남겨졌다"고 덧붙였다.
KEY WORDS
■ incinerate 소각하다
■ fierce 격렬한, 맹렬한
■ objection 이의, 반대
■ a last-ditch effort 필사적인 노력
■ mount 올라가다
■ volume 용량, 용적
■ dump 버리다
■ rubbish 쓰레기
■ propel 나아가게 하다
■ condemnation 비난
■ indignant 분개한, 분해 하는
■ obnoxious 아주 불쾌한, 몹시 기분 나쁜
기사 원문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