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Workers of foreign nationality harvest plants on a farm in Yecheon County, North Gyeongsang Province. Korea Times file |
Since start of pandemic, only one-tenth of foreign national workers have entered Korea
팬데믹 시작 후 외국 국적 노동자의 10분의 1만 한국에 입국
By Lee Hyo-jin
Koo Jin-taek, a vegetable farm owner in Anseong, Gyeonggi Province, would normally be harvesting thousands of heads of lettuce during the spring season, but instead, he had to destroy his crops, as there was simply no one to harvest the perfectly tradable vegetables.
경기도 안성에 있는 야채 농장 소유주 구진택 씨는 평소 같으면 봄철 동안 수천 개의 상추 잎을 수확했겠지만 대신 농작물을 폐기 해야 했는데, 단순히 완벽히 거래 가능한 채소를 수확할 사람이 없었기 때문이다.
"It is literally heartbreaking to have to destroy them. But I have no choice. With only five workers on the farm, it is impossible to harvest the crops," the 55-year-old farmer told The Korea Times.
농장 소유주 김 씨(55)는 코리아타임스와의 인터뷰에서 "채소를 폐기해야 한다니 말 그대로 가슴이 찢어진다. 하지만 선택지가 없다. 농장에 노동자 5명뿐이라서 농작물 수확이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Koo ― who currently owns 45 greenhouses producing lettuce, chicory and other leafy green vegetables ― initially had nine workers from Cambodia before the COVID-19 pandemic started. But the number has been cut down to three since then. And only recently was he lucky enough to be able to hire two more workers.
현재 상추, 치커리 및 기타 잎이 달린 초록색 채소를 생산하는 온실 45개를 소유한 구 씨에게는 코로나19 팬데믹 시작 전 처음에는 캄보디아에서 온 노동자 9명이 있었다. 하지만 이후로 이 숫자는 3명으로 줄었다. 최근이 되어서야 2명의 노동자를 추가로 고용할 수 있는 행운이 생겼다.
"Some workers left because their visas expired, while others moved to other farms where they were offered higher salaries. I've asked the local authorities multiple times to match me with new workers, but they couldn't. And things have only gotten worse over the last three years," said Koo.
구 씨는 "일부 노동자들은 비자가 만료돼서 떠난 한편 다른 노동자들은 월급을 더 많이 주겠다고 제안한 다른 농장으로 옮겼다. 지방자치단체에 여러 번 새 노동자를 주선에 달라고 요청했지만 (지자체는) 그럴 수가 없었다. 그리고 지난 3년 간 상황은 계속 나빠지기만 했다"고 말했다.
Although labor shortages are not a new phenomenon in Korea's agricultural industry, farms across the nation are struggling with the worst labor shortage in recent memory due to a plunge in entrants of foreign nationality amid the COVID-19 pandemic.
한국 농업에서 노동력 부족은 새로운 현상이 아니지만 코로나19 팬데믹 가운데 외국 국적 사람들의 입국이 급감하면서 전국 농장은 최악의 노동력 부족 사태 때문에 최근 기억 속 최악의 노동력 부족과 씨름하고 있다.
According to data from the Ministry of Labor and Employment, only about 6,600 and 5,100 foreign national workers entered the country in 2020 and 2021, respectively, a dramatic decline compared to pre-pandemic levels, when over 50,000 workers were deployed every year.
고용노동부의 자료에 의하면 2020년과 2021년 각각 약 6천600명과 5천100명의 외국 국적 노동자만이 한국으로 입국했으며, 이는 매년 5만명 이상의 노동자들이 배치되었던 팬데믹 이전 수준과 비교했을 때 눈에 띄는 감소다.
KEY WORDS
■ shortage 부족
■ harvest 수확하다
■ crop (농)작물
■ expire 만료되다
■ phenomenon 현상
■ entrant 들어가는 사람
기사 원문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