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ief executive must reread his inaugural address
윤 대통령, 대통령 취임사 다시 읽어야
President Yoon Suk Yeol has marked his first anniversary in office.
윤석열 대통령이 취임 1주년을 맞았다.
Yoon started his presidency a year ago, vowing to restore fairness and common sense and conduct a politics of unity.
윤 대통령은 공정과 상식을 회복하고 통합의 정치를 펼치겠다고 약속하며 1년 전 대통령으로 취임했다.
Has he kept the promise — or struggled to do so? Almost two-thirds of voters say no. Many surveys show negative ratings are nearly twice as high as positive ones. Some think he went in exactly opposite ways.
윤 대통령은 약속을 지켰나? 혹은 지키기 위해 고군분투했는가? 거의 3분의 2의 유권자가 "그렇지 않다"고 답한다. 다수 설문 조사에서 부정적 평가가 긍정적 평가보다 거의 2배 더 높게 나타났다. 일부는 윤 대통령이 정반대의 길을 걸었다고 생각한다.
Yoon got off on the wrong foot. The first thing he did after taking office was relocate the presidential office from Cheong Wa Dae to the defense ministry compound, citing unconvincing reasons. It was as if U.S. President Joe Biden had moved the White House to the Pentagon without saying much.
윤 대통령은 첫 발을 잘못 디뎠다. 윤 대통령이 취임 후 가장 먼저 한 일은 납득할 수 없는 이유로 청와대에서 국방부 부지로의 대통령실 이전이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특별한 언급 없이 백악관을 펜타곤으로 옮긴 것과 마찬가지다.
Yoon said he "returned Cheong Wa Dae to the public." But few people had asked for it or even wanted it. Most are still wondering why. The president also said he wanted to communicate with people more directly. Yet Yoon held just one official press conference for the entire year.
윤 대통령은 "청와대를 국민에게 돌려줬다"고 말한다. 그러나 이를 요청하거나 원한 사람은 거의 없었다. 대다수는 여전히 이유를 궁금해한다. 윤 대통령은 또 국민과 더 직접적으로 소통하고 싶다고 말했다. 그러나 윤 대통령은 지난 1년간 단 한 차례의 공식 기자회견을 열었을 뿐이다.
To be fair, he tried to communicate with the public by allowing reporters to doorstep him on his way to work. However, that was discontinued. What kind of open and direct communication did he have in mind?
공정하게 말하자면, 윤 대통령은 기자들에게 출근길 문답(도어스테핑)을 허용해 대중과의 소통을 시도했다. 그러나 이는 오래가지 않았다. 윤 대통령은 어떤 종류의 개방적이고 직접적인 소통을 염두에 두었던 것일까?
This was only the beginning of his assertive leadership, however. Yoon has yet to apologize "formally" to the crowd disaster in Seoul last October, which killed at least 159, mostly young people. He sacked a few low-level officials, but kept his interior minister and police chief responsible for public safety. Is this fair or even sensical? The chief executive must revisit his inaugural pledges.
그러나 도어스테핑 중단은 윤 대통령의 독단적 리더십의 시작에 불과했다. 윤 대통령은 지난해 10월 서울에서 최소 159명의 목숨을 앗아간 군중 참사에 대해 아직 "공식적으로" 사과하지 않았다. 윤 대통령은 하위직 공무원을 몇 명을 해고했지만 행정안전부 장관과 경찰청장은 계속 공공의 안전을 책임지도록 했다. 이런 처사는 공정하거나 상식적인가? 윤 대통령은 취임 공약을 다시 들여다봐야 한다.
As this paper pointed out in a front-page story, Yoon spent the whole year dividing the world, including his own country, into friends and foes, or right and wrong. Nothing shows this better than his diplomatic report card, where Yoon seems to have given himself a perfect score.
코리아타임스가 1면 기사에서 지적했듯 윤 대통령은 지난 1년을 자국을 포함해 세계를 아군과 적군으로, 옳고 그름으로 분열시키며 보냈다. 자신에게 최고점을 준 것으로 보이는 외교 성적표보다 이를 더 잘 보여주는 것은 없다.
Yes, he firmed up the alliance with America and relinked almost severed ties with Japan. However, to reaffirm existing friendships, he turned essential partners like China and Russia into foes. Was that practical, let alone wise?
그렇다, 윤 대통령은 미국과의 동맹을 강화하고 거의 단절된 일본과의 관계를 다시 연결시켰다. 하지만 기존 관계를 재확인하는 과정에서 윤 대통령은 중국과 러시아 같은 핵심 파트너를 적으로 돌렸다. 이러한 외교가 현명했는지는 논외로 두더라도 실용적이었나?
Ordinary South Koreans think more about their lunch menu than potential attacks from the North. The economy outweighs diplomacy and security. Yoon's economic performance was far from satisfactory in this regard. He may as well blame rising protectionist trends and the post-pandemic slump. But this is no time for fiscal austerity or tax cuts for big businesses and wealthy individuals. Medium- to low-income families are squeezed amid dwindling handouts, which will determine parliamentary polls next year more than anything else.
국민 대부분은 북한의 공격보다 점심에 무엇을 먹을지를 더 고민한다. 경제가 외교와 안보보다 중요하게 여겨진다. 그런 점에서 윤 대통령의 경제적 성과는 만족스럽지 못하다. 윤 대통령은 보호주의 경향 증가 및 팬데믹 후 경기 침체를 비난하는 편이 나을 수도 있다. 그러나 지금은 대기업과 부유한 개인을 위한 재정 긴축이나 세금 감면을 할 시점이 아니다. 중산층과 저소득층 가구는 줄어드는 정부 지원금 때문에 재정 압박을 받고 있는데 이는 내년 국회의원 선거를 좌우할 가장 중요한 요소다.
More problematic is the "politics of division" we are witnessing.
더 큰 문제는 국민이 목격하고 있는 "정치적 분열"이다.
There is a split in society, dividing people by region, ideology, gender and generation. The result: Yoon's three major reforms of labor, pension and education have either gone astray or not even taken the first step. Each task requires endless persuasion to balance and harmonize conflicting interests. Top-down, one-way approaches get nowhere.
우리 사회에는 개인을 종교, 가치관, 성별과 세대로 가르는 분열이 있다. 그 결과 윤 대통령의 3대 개혁 과제인 노동, 연금, 교육이 갈 길을 잃거나 심지어 첫 발을 내딛지도 못했다. 각 과제는 충돌하는 이해관계의 균형을 맞추고 조화시키기 위해 끊임없는 설득을 요한다. 상의하달식의 일방적인 접근 방식은 성공할 수 없다.
5월 11일 (목) The Korea Times 사설
KEY WORDS
■ mark (중요 사건을) 기념하다
■ get off the wrong foot 출발이 잘못되다
■ sack 파면[해고]하다
■ sensical 그럴 듯한
■ dwindle (점점) 줄어들다
■ handout (정부 등에서 주는) 지원금
■ witness 목격하다
■ split (사람들 사이의) 분열
기사 원문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