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me to settle the bill and pick up the pieces
값을 치르고 조각난 파편을 수습할 때다
President Yoon Suk Yeol's six-day visit to the United States last week reaffirmed how different diplomacy can be on the inside and on the outside.
지난 주 윤석열 대통령의 6일 간 미국 방문은 안과 밖에서 보는 외교가 얼마나 다른지 재확인했다.
After the summit with President Joe Biden, the South Korean leader sang "American Pie" in a carefully staged state banquet. During his 43-minute speech at the U.S. Congress' joint session, Yoon mentioned the word "freedom" 46 times, drawing 23 rounds of applause.
조 바이든 대통령과의 정상회담 후, 윤석열 대통령은 조심스럽게 준비된 국빈 만찬에서 "아메리칸 파이"를 불렀다. 윤 대통령은 43분에 걸친 미 상하원 합동회의 연설에서 "자유"라는 단어를 46번 언급했고, 23번의 박수갈채를 받았다.
Now it's time to review what Yoon, or Seoul, gained and lost.
이제 윤 대통령, 혹은 한국이 얻은 것과 잃은 것을 돌아볼 때다.
As always, there are two principal points ― national security and the economy. In conclusion, South Korea earned a more extensive and closely knit U.S. nuclear umbrella, if in form only, and got little ― if any ― in the economy.
언제나 그렇듯 국가 안보와 경제라는 두 가지 쟁점이 있다. 결론적으로, 한국은 형식적으로만 더 광범위하고 밀접하게 짜인 미국의 핵우산을 얻었고, 경제적 측면에서는 거의 얻지 못했다.
The Washington Declaration contains the U.S. pledge to retaliate against nuclear attacks from North Korea in kind, even if the latter hit the U.S. mainland with long-range missiles at the same time. Its concrete implementing tool, the Nuclear Consultation Group, will reflect Seoul's opinions on America's possible use of atomic weapons.
‘워싱턴 선언'에는 북한이 장거리 미사일로 미국 본토를 동시에 공격하더라도 현물로 보복하겠다는 미국의 약속이 담겨 있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실행 도구인 핵협의단은 미국의 핵무기 사용 가능성에 대한 한국의 의견을 반영할 것이다.
But there is nothing else. The presidential office and the ruling party hastily ― and presumptuously ― identified these accords with "nuclear sharing." However, even before Yoon left Washington, ranking U.S. officials made clear that is not the case. "So let me be very direct. I don't think that we see this as a de facto nuclear sharing," said Edgard Kagan, senior director for East Asia and Oceania of the National Security Council.
그러나 이외에 다른 이득은 없다. 대통령실과 여당은 섣부르고 또 주제넘게 이러한 합의들을 "핵공유"로 규정했다. 그러나 윤 대통령이 미국을 떠나기 전부터 미국 고위 관료들은 그런 의미가 아니라는 점을 분명히 했다. 에드가드 케이건 국가안보회의(NSC) 동아시아·오세아니아 담당 선임국장은 "매우 직설적으로 말하겠다. 미국은 (이번 합의를) 사실상 핵무기 공유로 보지 않는다"고 말했다.
Instead, Washington put to rest Seoul's ambitions to develop its own nuclear weapons or bring back U.S. atomic bombs to the peninsula permanently. Except for a written pledge, one could hardly see any substantive changes in the U.S.' nuclear policy on South Korea before and after Yoon's visit. Nothing shows this better than the coarse but subdued response from Pyongyang, by its standards. Kim Yo-jong, North Korean leader Kim Jong-un's sister, called Biden "a futureless old man" and Yoon "an ugly guy."
대신, 미국은 자체 핵무기를 개발하거나 미국의 원자폭탄을 한반도에 영구적으로 반환하려는 한국의 야망을 잠재웠다. 서면 서약 외에는 윤 대통령의 방문 전과 후에 미국의 실질적인 변화를 거의 찾아볼 수 없다. 북한의 거칠고 가라앉은 반응보다 이를 더 잘 보여주는 것은 없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여동생인 김여정은 바이든을 "미래없는 늙은이"라고, 윤 대통령을 "못난 인간"이라고 불렀다.
Besides countering a hypothetical North Korean nuclear attack on the South, Yoon made a more serious commitment in a global context. By moving excessively closer to America, he turned China and Russia into de facto adversaries.
남한에 대한 북한의 가상의 핵 공격에 대한 대응 외에도 윤 대통령은 국제적 맥락에서 더 진지한 약속을 했다. 미국과 지나치게 가까워진 대가로 중국과 러시아를 사실상의 적으로 만들었다.
Moscow showed a willingness to give arms to Pyongyang if Seoul provides lethal weapons to Kyiv. Beijing was more direct, warning against "playing with fire" by intervening in the China-Taiwan relationship. If the war in Ukraine escalates and armed conflict breaks out in the Taiwan Strait, Seoul cannot avoid involvement.
러시아는 한국이 우크라이나에 살상 무기를 제공할 경우 북한에 무기를 제공하겠다는 의사를 보였다. 중국은 더 직접적으로 중국과 대만 관계에 개입하는 한국의 '불장난'에 대해 경고했다. 우크라이나 전쟁이 악화되고 대만해협에서 무력충돌이 일어난다면 한국도 개입을 피할 수 없을 것이다.
That will lead to enormous adverse effects Yoon's U.S. visit will have on this country's economy. Contrary to expectations that closer ties with Washington will help ease Korean computer chip and electric vehicle makers' concerns about doing business with China, Yoon failed to induce any reassuring remarks from Biden.
이는 윤 대통령의 미국 방문은 한국 경제에 막대한 악영향으로 연결될 것이다. 미국과의 긴밀한 관계가 한국 컴퓨터 반도체 및 전기 자동차 제조업체의 중국과 사업을 펼치는 것에 대한 우려를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는 기대와 달리 윤 대통령은 바이든으로부터 어떠한 불안감을 없애주는 발언도 얻지 못했다.
The South Korean leader should have seen the true concerns behind the smiling faces of the chaebol tycoons in his entourage and won more than a pledge to "continue the discussion." A U.S. journalist had to ask a thorny question about the matter on behalf of her excessively polite Korean colleagues and a bewildered Biden obfuscated.
윤 대통령은 수행하러 온 재계 거물들의 웃는 얼굴 뒤에 숨겨진 진정한 고민을 간파하고 "논의를 이어가겠다"는 말뿐인 약속 이상을 받아내야 했다. 미국 언론인은 지나치게 예의 바른 한국인 기자 동료와 당황한 바이든을 대신해 이 문제에 대해 날카로운 질문을 해야 했다.
KEY WORDS
■ applause 박수 (갈채)
■ retaliate 보복하다
■ presumptuously 주제넘게
■ de facto 사실상의[실질적인]
■ adversary 상대방[적수]
■ tycoon (재계의) 거물
■ entourage (주요 인물의) 수행단
■ obfuscate 애매하게[혼란스럽게] 만들다
■ thorny (문제 등이) 곤란한[골치 아픈]
사설 원문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