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eijing slammed for excessive reactions to Yoon's remarks
중국 정부, 윤 대통령 발언에 민감한 반응으로 맹비난 받아
China has taken flak for having crossed the line with seemingly undiplomatic rhetoric in criticizing President Yoon Suk Yeol's comments regarding China-Taiwan relations. Yoon expressed opposition to a potential "change of status quo by force" while touching upon mounting tensions around the Taiwan Strait. Those were theoretical remarks and it is highly regrettable that China has been using rough words and imposing threats beyond normal accusations for many days.
중국은 윤석열 대통령의 중국과 대만 관계에 대한 발언을 비판해 비외교적인 언사로 선을 넘었다는 비난을 받고 있다. 윤 대통령은 대만해협 주변의 긴장을 고조시키는 잠재적인 "힘에 의한 현상 변경"에 반대를 표명했다. 상당히 원론적인 발언이었음에도, 중국이 수일에 걸쳐 상식을 넘어선 거친 언사와 위협적인 비난을 해 온 것은 매우 유감스러운 일이다.
As usual, China's English media mouth piece Global Times hoisted the flag this time as well. Describing Yoon's stance as being "short-sighted" and "unwise," it claimed Yoon is trying to "curry favor" with the U.S. and "sacrificing South Korea's national interests and putting Seoul's security in a more dangerous situation in Northeast Asia." We cannot help but express regret over the media's apparently haughty and discourteous manners in addressing its neighboring country.
여느 때와 마찬가지로 이번에도 중국의 관영 매체인 글로벌타임스가 앞장 섰다. 윤 대통령의 입장을 "근시안적"이고 "어리석다"고 묘사하며 윤 대통령이 미국에 "호의를 베풀고" 한국의 국익을 희생시키며 동북아에서 한국의 안보를 더욱 위험하게 만들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웃 나라인 한국에 대한 해당 매체의 거만하고 무례한 태도에 대해 유감을 표명하지 않을 수 없다.
China's State Councilor and Foreign Minister Qin Gang reiterated that those "who play fire with Taiwan issue will set themselves on fire." During a forum held on Friday, he said "such claims go against basic common sense on international relations and historical justice. The logic is absurd and the consequences dangerous."
중국 국무원 친강 외교부장은 "대만 문제로 불장난을 하는 자들은 스스로 불에 타 죽을 것"이라고 재차 강조했다. 그는 금요일 열린 포럼에서 "이러한 주장은 국제 관계와 역사 정의에 대한 기본적인 상식에 위배된다"며 "논리가 터무니없고 결과는 위험하다"고 했다.
On Thursday, China's foreign ministry spokesperson Wang Wenbin triggered criticism here by saying China won't allow anyone to "verbally intervene" in the Taiwan issue. It is too rude for a mere spokesperson of a ministry to use such expressions against the head of state of another country. Yoon's statement on Taiwan was made while answering a question thrown by a Reuters reporter based on a generally accepted viewpoint. Yoon seems to have harbored no ill intent in making such a statement.
목요일 왕웬빈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대만 문제에 대해 중국은 타인의 "말 참견을 허용하지 않는다"고 반발해 국내에서 비난을 촉발시켰다. 한 부처의 대변인이 타국의 국가원수를 상대로 이러한 표현을 쓰는 것은 아주 무례한 일이다. 윤 대통령의 대만 발언은 로이터통신 기자가 상식적인 관점에 근거해 던진 질문에 답하는 과정에서 나온 것이다. 윤 대통령이 해당 발언을 할 때 악의는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
Other international leaders such as German Chancellor Olaf Scholz and Japanese Prime Minister Fumio Kishida have made similar remarks before. China cannot avoid criticism for having come up with such nonsensical and impolite responses even though Yoon's comments are regarded as a common stance shared by the international community.
올라프 숄츠 독일 총리,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 등 다른 국제 지도자들도 이전에 비슷한 발언을 한 바 있다. 중국은 윤 대통령의 발언이 국제사회의 공통된 입장으로 받아들여지고 있음에도 터무니없이 무례한 대응을 했다는 비판을 피할 수 없다.
The ministry spokesman's imprudent words against Yoon are more problematic. It is an intolerable diplomatic discourtesy. This leads us to judge that China had been trying to bully South Korea to restrain it from moving closer to the United States ahead of Yoon's state visit to the U.S.
윤 대통령에 대한 대변인의 경솔한 언행이 더 문제다. 이는 참을 수 없는 외교적 결례이다. 이는 윤 대통령의 방미를 앞두고 중국이 한국과 미국이 가까워지는 것을 경계하기 위해 한국을 압박하려 했다고 판단하게 하는 대목이다.
South Korea has already experienced fallout from China's high-handed approaches in dealing with it. This has included retaliation over Korea's deployment of a U.S. Terminal High Altitude Area Defense (THAAD) anti-missile battery, slight treatment of former President Moon Jae-in during his visit to Beijing and a series of steps designed to prevent the import of Korean cultural products into China.
한국은 이미 중국의 고압적인 대처로 인한 여파를 경험했다. 여기에는 한국의 미국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THAAD·사드) 배치 보복, 문재인 전 대통령의 북경 방문 중 홀대, 한국 문화상품의 중국 반입을 막기 위한 일련의 조치 등이 포함된다.
Rather than firing salvos at Seoul, it isbetter for Beijing to reflect on itself. Its behavior has been undermining efforts toward global peace and common prosperity on the basis of the rules-based international order. China, along with Russia, has been taking the lead in neutralizing international efforts toward the denuclearization of North Korea. For instance, the two nations have been safeguarding North Korea by blocking the United Nations' bid to impose further sanctions against the North's nuclear and missile provocations.
한국을 향해 비난하기에 앞서 중국은 반성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중국의 이러한 행태는 규칙에 근거한 국제 질서를 통해 세계 평화와 공동 번영을 이룩하려는 노력을 저해하고 있다. 중국은 러시아와 함께 북한 비핵화를 위한 국제사회의 노력을 무력화시키는 데 앞장서 왔다. 예를 들어, 양국은 북한의 핵과 미사일 도발에 대한 추가 제재를 가하려는 유엔의 시도를 차단함으로써 북한을 보호해왔다.
It is time for both Seoul and Beijing to double down on preventing the current controversy over Yoon's remark from escalating into a further diplomatic dispute. Now, Yoon has embarked on a state visit to the U.S. As the visit highlights the 70th anniversary of the alliance between South Korea and the U.S., there will be diverse events to shed light on the bilateral friendship.
윤 대통령의 발언이 외교적 논쟁으로 확대되는 것을 막기 위해서는 한국과 중국이 모두 배전의 노력을 해야 한다. 윤 대통령은 미국에 국빈 방문 중이다. 방미 기간 중 한미동맹 70주년을 기념하는 만큼, 양국의 동맹을 조명하는 다양한 행사가 열린다.
Given this, Yoon needs to be cautious about provoking China further, while stressing the significance of the alliance. Diplomacy needs a seasoned caliber in consideration of a third party's stance even during bilateral diplomacy.
이러한 상황을 감안할 때, 윤 대통령은 동맹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중국을 추가적으로 자극하는 것에 대해서는 신중할 필요가 있다. 외교에 있어서는 양자 외교 중에도 제3자의 입장을 고려하는 노련한 능력이 필요하다.
KEY WORDS
■ take flak 격렬한 비난을 감수하다
■ hoist the flag 지휘권을 잡다
■ reiterate (강조하기 위해) 반복하다[되풀이하다]
■ imprudent 현명하지 못한, 경솔한
■ undermine (특히 자신감·권위 등을) 약화시키다
■ shed light on ~을 밝히다, 해명하다
■ caliber 도량, 재간
사설 원문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