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ies need to refrain from life-or-death skirmish
여야, 이판사판식 정쟁 자제해야
The National Assembly is largely tasked with coordinating differing opinions to resolve social conflicts. Contrary to this expectation, however, the nation's leading legislative body has long been the object of public cynicism for locking horns over major pending issues.
국회는 사회적 갈등 해소를 위해 이견을 조율해야 할 책임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대와 달리 한국 국회는 오랫동안 주요 현안에 대한 정쟁을 일삼아 국민들에게 냉소의 대상이 되어 왔다.
The main opposition Democratic Party of Korea (DPK), which dominates the 299-seat Assembly with 169 members, cannot deflect criticism for having unilaterally handled significant social agendas at its discretion. The ruling People Power Party (PPP), for its part, has also been disparaged for its inability to lead the opposition party toward negotiation and compromise.
의원 수 169명으로 국회 299석을 차지하고 있는 더불어민주당으로서는 중요한 사회적 의제를 일방적으로 처리했다는 비판을 피할 수 없다. 집권 여당인 국민의힘도 야당을 협상과 타협으로 이끌지 못하고 있다는 비판을 받아왔다.
What is more worrying is that such extreme confrontation shows no signs of abating and will likely deepen ahead of the general election slated for April next year.
더욱 우려되는 것은 내년 4월 총선을 앞두고 이와 같은 극한 대립이 수그러들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으며 오히려 더욱 심화될 가능성이 높다는 점이다.
For starters, the DPK took the lead in passing a bill requiring the government to purchase rice from farmers to help stabilize market prices on Thursday. The DPK dealt with the bill unilaterally despite growing demand for debate over possible side effects in case of introducing the bill.
우선, 목요일 민주당은 시장 가격 안정을 위해 농민들로부터 정부가 쌀을 구입하는 법안 통과에 앞장섰다. 민주당은 법안을 상정할 경우 발생가능한 부작용에 대한 논의에 대한 요구가 커지고 있음에도 일방적으로 법안을 처리했다.
The bill, however, will likely face diverse barricades toward effectuation, as the presidential office is poised to take time and collect opinions from various sectors for the amendment. President Yoon Suk Yeol has often vowed to reject it. The DPK, however, is ready to press for its stance and adopt a new bill should the amendment be vetoed. This shows the parties have no intention of budging from their stances, putting the National Assembly on a fierce confrontational track again.
그러나 대통령실이 시간을 갖고 개정안에 대한 각계의 의견을 수렴할 태세여서 해당 법안은 발효 하기까지 여러 장애에 직면할 것으로 보인다. 윤석열 대통령은 거부권(재의 요구권)을 행사하겠다는 뜻을 여러 차례 밝힌 바 있다. 그러나 민주당은 개정안이 거부될 경우 자신들의 입장을 반영할 새로운 법안을 채택할 태세다. 국회를 다시 치열한 대치국면으로 몰아넣고 있는 양당의 태도에 한치의 변화가 없음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The Grain Management Act asks the government to buy rice directly from farmers should the harvest of the staple grain exceed 3 percent to 5 percent of the estimated demand or the rice prices fall 5 percent to 8 percent from a year earlier. Controversy has been brewing over the amendment with regard to its efficiency amid concerns over the chronic oversupply of rice, edged by declining consumption and prospects of a deteriorating governmental budget.
양곡관리법 개정안은 쌀의 수확량이 예상 수요량의 3∼5%를 초과하거나 쌀값이 전년 대비 5∼8% 하락할 경우 정부가 농가로부터 쌀을 직접 매입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소비 감소 및 정부 예산의 악화 전망에 더해 만성적인 쌀 공급 과잉에 대한 우려가 있는 가운데 개정안의 효율성에 대한 논란이 일고 있다.
The DPK has been adding fuel to the already burning fire over the possibly deepening political scuffle. On the same day, the party passed another bill designed to boost the welfare and rights of nurses ― despite ferocious resistance from medical doctors. The bill should have been handled very cautiously in light of the sharply differing positions maintained by the relevant organizations. Without this, the conflict is expected to flare up further as the Korea Medical Association (KMA), a mouthpiece of medical doctors across the nation, has threatened to mobilize all possible measures to protest the possible passage of the bill.
민주당은 이미 심화되고 있는 정치적 난투극에 기름을 붓고 있다. 같은 날, 민주당은 의사들의 거센 저항에도 불구하고 간호사의 복지와 권리를 증진시키기 위한 또 다른 법안을 통과시켰다. 관련 단체들의 입장이 첨예하게 엇갈리는 상황을 감안해 매우 신중하게 법안을 처리했어야 했다. 전국 의사들의 대변자인 대한의사협회가 이 법안의 통과 가능성에 항의하기 위해 가능한 모든 수단을 동원하겠다고 위협하고 있기 때문에 갈등은 더욱 심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The DPK also decided to table the controversial Broadcasting Act directly to the plenary session despite the PPP's protest over what it calls an attempt to put major broadcasters under its control. The DPK also bypassed the Assembly's Legislation and Judiciary Committee headed by PPP Rep. Kim Do-eup for voting at a plenary session. A bill needs to be passed by the committee first to be voted at the plenary session. But should the bill remain pending at the committee for 60 days, it can be bypassed and be tabled directly at a plenary session.
민주당은 또 국민의힘의 항의에도 불구하고 주요 방송사를 통제하려는 논란이 되고 있는 방송법을 본회의에 직접 상정하기로 결정했다. 민주당은 또 이날 본회의 표결을 위해 김도읍 의원이 위원장인 국회 법제사법위원회를 우회 통과했다. 본회의에서 의결되려면 먼저 법사위원회에서 법안이 통과돼야 한다. 그러나 이 법안이 60일 동안 위원회에 계류되어 있을 경우 이를 우회하여 본회의에 직접 상정할 수 있다.
What matters is that the unilateral passage of the disputed bills will burden the people. It is natural to collect opinions from various circles of society to reach a compromise on sensitive social issues covering relevant organizations and the government. For this, the National Assembly is supposed to mediate the parties and extract compromises.
중요한 것은 쟁점 법안의 일방적인 처리가 국민에게 부담을 준다는 점이다. 사회 각계의 의견을 수렴해 관련 기관과 정부를 아우르는 민감한 사회 현안에 대해 타협점을 찾는 것은 당연하다. 이를 위해 국회가 당사자를 중재하고 타협점을 도출해야 한다는 것이다.
3월 28일 (화) The Korea Times 사설
KEY WORDS
■ refrain from ~을 삼가다
■ skirmish 작은 충돌[언쟁]
■ disparage 폄하하다
■ abate (강도가) 약해지다
■ be poised to ~할 태세를 갖추고 있다
■ add fuel to the fire 불난집에 부채질하다, 문제를 악화시키다
■ unilateral 일방적인, 단독의
사설 원문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