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Edward Hopper's "Self-portrait" (1925-30) / Courtesy of 2022 Heirs of Josephine N. Hopper, Licensed by Artists Rights Society, New York 에드워드 호퍼의 ‘자화상'(1925~1930) |
Blockbuster exhibitions, 2 biennales awaiting art enthusiasts
‘블록버스터' 전시와 2개의 비엔날레, 미술애호가들 기다려
By Park Han-sol
Against the backdrop of the bullish growth of Korea's art market, which surpassed the 1 trillion won ($786 million) mark for the first time in 2022, major museums and galleries are seeking to dazzle their visitors this year with blockbuster exhibitions and showcases of boundary-pushing creators.
2022년 처음으로 1조원(7억8600만 달러)을 넘어선 국내 미술시장을 배경으로 주요 박물관과 갤러리가 올해 전위적인 예술가들의 블록버스터급 전시로 관람객을 감탄시킬 준비를 하고 있다.
Also awaiting the art lovers are the two leading biennales ― Gwangju Biennale and Seoul Mediacity Biennale ― as well as the second edition of Frieze Seoul that took the country's art scene by storm last year.
핵심 비엔날레인 광주비엔날레와 서울미디어시티비엔날레와 더불어 지난해 예술계를 뒤흔든 아트페어 ‘프리즈서울'의 2회차 역시 미술애호가들을 기다리고 있다.
Korea's first-ever showcase of American realist master Edward Hopper will arrive at the Seoul Museum of Art (SeMA) in April. The creator behind "Nighthawks," a hauntingly enigmatic painting of a brightly-lit all-night diner in an otherwise deserted streetscape, Hopper is known for having captured the alienation of the modern man amid the rapidly changing metropolis.
미국 사실주의 대가인 에드워드 호퍼의 한국 첫 전시가 올해 4월 서울시립미술관을 찾는다. 텅 빈 거리에서 강한 빛을 받아 뇌리에 박힐 만큼 신비스러워 보이는 한 식당 손님을 그린 ‘밤을 지새우는 사람들'의 작가 호퍼는 급속히 변하는 도시에 사는 현대인들의 소외를 정확히 포착한 것으로 유명하다.
The retrospective under the tentative title, "Edward Hopper: On the Road," co-organized by the Whitney Museum of American Art, is designed to give a peek into the artist's iconic mid-century oeuvre through some 150 paintings, drawings and archival materials.
뉴욕 휘트니미술관과 공동 기획한 이번 ‘에드워드 호퍼: 길 위에서'(가제) 회고전은 150여점의 회화, 드로잉, 아카이브 등을 통해 화가 특유의 20세기 중엽 전체 작품을 들여다 보게 해준다.
Trailblazing experimental artists of Korea who revolutionized the country's cultural scene in the tumultuous decades following the 1950-53 Korean War will come under the spotlight at the Guggenheim in New York this September.
한편 1950-53년 한국전쟁 이후 격동의 수십 년 동안 한국 문화계에 혁명을 일으켰던 선구적인 국내 실험 예술가들이 올 9월 뉴욕 구겐하임에서 주목을 받게 된다.
"The Avant-Garde: Experimental Art in South Korea in the 1960s and 1970s," co-organized by the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Korea (MMCA), is the first North American showcase of first-generation Korean avant-garde players like Lee Seung-taek, Lee Kang-so, Kim Ku-lim and Jung Kang-ja.
국립현대미술관(MMCA)과 공동 주최되는 ‘한국의 1960~1970년대 실험미술'은 이승택, 이강소, 김구림, 정강자 등 1세대 한국 아방가르드 작가들의 첫 북미 전시다.
Some 100 pioneering works that were produced in response to the rapidly changing socio-political landscape of post-war Korea will first be displayed at the MMCA Seoul in May before traveling to New York four months later.
전후 한국의 급변하는 사회정치적 지형을 배경으로 제작된 선구적인 작품 100여점이 5월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에서 먼저 전시되고 4개월 뒤 뉴욕으로 향한다.
Another notable show hosted by the MMCA will be the grand retrospective of Chang Uc-chin, one of the key modern Korean art masters alongside Lee Jung-seop and Park Soo-keun. Slated for July at the state-run museum's Deoksugung branch, the exhibition will chart the creative life of the artist through paintings featuring simple, everyday visual motifs like family, nature and house.
이중섭, 박수근과 함께 한국 현대미술의 거장으로 손꼽히는 장욱진의 회고전도 주목할 만하다. 오는 7월 국립현대미술관 덕수궁관에서 열리는 이번 전시는 가족, 자연, 집 등 소박하고 일상적인 시각 디자인을 주제로 한 회화 작품을 통해 장욱진의 창조적인 삶을 기록할 예정이다.
The Samsung Foundation of Culture aims to fill its two recently renovated venues ― Leeum Museum of Art in Seoul and Ho-Am Art Museum in Yongin, Gyeonggi Province ― with wide-ranging exhibits to diversify the profile of their presentations.
삼성문화재단은 다채로운 전시를 위해 최근 개조를 마친 서울시립미술관 리움과 경기도 용인 호암미술관 두 곳을 광범위한 전시들로 채울 계획이다.
Among them, the Leeum Museum of Art has chosen to open the New Year with the blockbuster solo exhibition of Italian visual artist and "provocateur" Maurizio Cattelan ― the first of its kind in Korea and the largest ever held since the creator's 2011 retrospective at the Guggenheim.
리움미술관은 이탈리아 시각 예술가이자 "도발적인"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2011년 뉴욕 구겐하임 회고전 이후 최대 규모이자 한국에서의 첫 블록버스터급 개인전으로 새해의 포문을 연다.
Cattelan rose to global stardom as one of the most controversial artists of our time for his unsettlingly realistic, satirical sculptures that subvert the established notions in politics, religion and art itself.
카텔란은 정치, 종교, 예술계의 기존 관념을 뒤집는 심란할 정도로 사실적이고 풍자적인 조각품으로 가장 논쟁적인 현시대 예술가 중 한 명이자 세계적인 스타가 되었다.
KEY WORDS
■ blockbuster 블록버스터(크게 성공한 책이나 영화)
■ biennale 격년 행사; [the B~] 비엔날레 (짝수 해에 로마에서 개최되는 현대 회화·조각의 전람회)
■ against [the] backdrop of ~을 배경으로
■ bullish 낙관적인, 상승세의
■ surpass 능가하다
■ dazzle 눈이 부시게 하다
■ take ~ by storm : ~을 단숨에 사로잡다
■ hauntingly 자주 마음에 떠올라
■ enigmatic 수수께끼 같은, 불가사의한
■ alienation 소외
■ retrospective (화가의) 회고전
■ tentative 잠정적인
■ oeuvre (한 작가·화가 등의) 모든 작품
■ trailblazing 선구자적인
■ chart (과정을) 기록하다
■ motif 디자인[무늬]
■ renovate 개조하다
■ rise to stardom 스타가 되다
■ unsetting 불안하게[동요하게] 만드는
■ subvert (체제를) 전복시키다
기사 원문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