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Starbucks Korea's Bukhan River R premium branch in Namyangju, Gyeonggi Province / Courtesy of Starbucks Korea경기도 남양주시에 위치한 스타벅스 ‘더북한강R점' / 스타벅스코리아 제공 |
By Kim Jae-heun
Large chain coffee houses used to open stores nearby subway stations or in popular downtown areas in Seoul with heavy foot traffic. Nowadays, they are focusing on introducing unique and lifestyle-oriented stores to attract customers.
대형 커피 체인점은 주로 유동 인구가 많은 서울 시내 혹은 지하철역 인근에 매장을 내왔다. 요즘 체인점들은 독특한 라이프스타일 중심의 매장을 통한 고객 유치에 주력하고 있다.
Starbucks Korea is the most prominent in this trend.
이런 추세는 스타벅스코리아에서 가장 두드러진다.
Starting with its Yangpyeong DTR (Drive-Thru Reserve) branch in Gyeonggi Province, which opened in July 2020, the franchise has been expanding its "destination stores" throughout the capital area.
2020년 7월 문을 연 경기도 더양평DTR(드라이브스루 리저브)점을 시작으로 스타벅스는 수도권 전역으로 '데스티네이션(목적지)' 지점을 확대해 나가고 있다.
A destination store is a place that people are willing to make a special trip to, solely to enjoy the unique experience it offers. They can naturally enjoy the scenery and even bring their dogs.
목적지 지점이란 오직 카페라는 공간이 제공하는 독특한 경험을 즐기기 위해 사람들이 특별히 방문하는 장소다. 고객들은 자연스럽게 경치를 즐길 수 있고 반려견을 데려올 수도 있다.
The biggest reason behind the latest trend among local coffee house chains is to develop niche markets.
국내 커피 체인점에서 이 최근 추세가 가장 두드러지는 이유는 틈새 시장 개발이라는 목적 때문이다.
The coffee franchise market in Korea is already saturated and competition is severe. According to a market research company Euromonitor, the domestic coffee and tea specialty store market grew from 4.97 trillion won ($3.81 billion) in 2017 to 6.87 trillion won last year. It remains the third largest in the world by sales since 2014.
국내 커피 프랜차이즈 시장은 이미 포화상태로 경쟁이 치열하다. 시장조사기관 유로모니터에 따르면 국내 커피•차 전문점 시장 규모는 2017년 4조9700억원에서 지난해 6조8700억원으로 성장했다. 해당 지표는 2014년 이후 매출 기준 세계 3위를 유지하고 있다.
Korea Agro-Fisheries & Food Trade Corporation data shows the number of coffee shops in Korea reached its highest ever at 99,000, last year.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카페 수는 9만9000개로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There are too many coffee stores in Korea and it is meaningless for large franchises to keep opening new branches in Seoul. Destination stores have come up as a new countermeasure in this sense. Companies can attract customers while sharing their corporate value with them," a local coffee house chain official said.
한 국내 커피 체인점 관계자는 "한국에는 커피숍이 너무 많기 때문에 대형 프랜차이즈가 서울에 계속해서 새 지점을 여는 것은 의미가 없다. 그런 의미에서 ‘목적지 매장'이 새로운 대응책으로 등장했다. 기업들은 기업 가치를 공유하면서 고객을 유치할 수 있다"고 전했다.
Located on the outskirts of Seoul, Starbucks Korea's Yangpyeong DTR is the largest coffee store in the country. It represents Starbucks' Reserve brand and exclusively sells the chain's premium caffeinated beverages.
서울 변두리에 위치한 스타벅스 양평더DTR점은 국내 최대 규모의 카페다. 스타벅스의 리저브 브랜드를 대표하며 스타벅스의 프리미엄 카페인 음료를 독점 판매한다.
KEY WORDS
■ -oriented -지향적으로, -위주의
■ prominent 눈에 잘 띄는, 두드러진
■ expand (사업을) 확장시키다
■ scenery 경치, 풍경
■ niche (시장의) 틈새
■ saturated 포화된
■ severe 극심한
■ countermeasure 대책
■ outskirt 변두리, 교외
■ exclusively 독점적으로
■ beverage (물 외의) 음료
기사 원문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