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A utility bill encompassing electricity, gas and water sticks out of a mail box at an apartment building in Seoul. Yonhap 전기, 가스, 수도요금이 청구된 고지서가 서울의 한 아파트 우편함 밖으로 나와있다. 연합 |
Low-income families exempt from hike for 1 year
저소득 가구 한정, 1년간 요금 인상 면제
By Lee Kyung-min
A four-person household will shoulder an additional 7,400 won ($5.52) increase on average in their combined monthly gas and electricity bills from June following an 8 won per kilowatt hour (kWh) hike in power rates and a 1.04 won per megajoule (MJ) rise in gas bills, the government said Monday.
월요일 정부는 전기요금은 kWh당 8.0원, 가스요금은 메가줄(MJ)당 1,04원을 인상해 6월부터 전기요금과 가스요금을 합해 4인 가구 기준 월평균 7400원(5.52달러)을 추가 부담하게 된다고 전했다.
The new electricity and gas rates will come into effect from May 16.
전기 및 가스요금 인상안은 이번 달 16일부터 적용된다.
Under the new price scheme, the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said the monthly electricity bill for a four-person household that uses 332 kWh of electricity on average will be raised to 66,590 won from 63,570 won.
산업통상자원부는 새 요금제가 적용되면 한 달 평균 전기 사용량이 332kWh인 4인 가구의 경우, 전기요금이 6만3570원에서 6만6590원으로 (약 3000원) 오를 것이라고 밝혔다.
The monthly gas fee will increase by 4,400 won, provided that a household uses 3,861MJ every 30 days.
4인 가구의 한 달 평균 가스 사용량 3861MJ을 고려하면 가스요금은 월평균 약 4400원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Monday's decision is aimed at reducing snowballing losses at two state-run utilities ― Korea Electric Power Corp. (KEPCO) and Korea Gas Corp. (KOGAS). The combined operating losses of KEPCO and KOGAS since 2021 stood at 50 trillion won as of March.
월요일에 발표된 인상안은 한국전력(한전)과 한국가스공사(가스공사)의 불어나는 적자 감소가 목적이다. 올해 3월 기준 2021년부터 한전과 가스공사의 영업적자는 50조다.
But the rate hikes are a major source of frustration for taxpayers.
하지만 요금 인상은 납세자들에게는 부담스러운 소식이다.
The per kWh rate rose 13.1 won in the first three months of this year, in addition to a combined 19.3 won hike in 2022. Gas rates were raised by 5.47 won per MJ last year.
2022년 19.3원 인상에 더불어 올해 1분기 kWh당 13.1원이 올랐다. 지난해 가스요금은 MJ당 5.47원 올랐다.
The implementation of the hike, however, will be postponed for one year for socially vulnerable groups of people earning less than 50 percent of the country's median income.
그러나 요금 인상분 적용을 중위 소득의 50% 미만의 취약계층에게는 1년간 유예한다.
Additional rate hikes are not in store for the remainder of the year for now, the government added, while decisions will factor in global energy price fluctuations and the financial conditions of state-run energy firms in the quarter to come.
정부는 올해 추가 요금 인상은 계획에 없지만, 다음 분기 국제 에너지 가격 변동 및 에너지 공기업의 재정 상황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고 덧붙였다.
KEY WORDS
■ exempt from ~을 면제받은
■ hike 대폭 인상[급등]
■ shoulder 짊어지다, 떠맡다
■ come into effect 시행되다
■ scheme (운영) 계획
■ snowball (문제 등이) 눈덩이처럼 커지다
■ state-run 국영의
■ taxpayer 납세자
■ implementation 시행
■ vulnerable (~에) 취약한
■ median 중앙값, 가운뎃값
■ quarter 분기
기사 원문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