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Shine Muscat grapes / gettyimagesbank 샤인머스캣 |
By Park Ji-won
HONG KONG ― Shine Muscat grapes ― developed in Japan ― are popular in Hong Kong. Despite their high price, the fruit is eaten for special occasions or given as a sign of respect.
홍콩 ― 일본에서 개발된 샤인머스캣은 홍콩에서 인기가 많다. 높은 가격에도 불구하고 사람들은샤인머스캣을 특별한 날에 먹거나 존경의 표시로 선물한다.
Hongkongers' fascination with Japan and its produce helped it dominate the market for this fruit. But with an increasing number of producers from South Korea and China now offering high-quality grapes at better prices, the Shine Muscat market is changing.
일본과 일본 농산물에 대해 홍콩인이 매력을 느낀 것은 일본이 이 과일 시장을 장악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그러나 더 나은 가격에 고품질 포도를 제공하는 한국과 중국의 과일 생산자가 점점 증가하면서 샤인머스캣 시장이 변화하고 있다.
For Fiona Mok, 29, an office worker in Hong Kong, eating Shine Muscat grapes was once reserved for special occasions ― bringing them as gifts when visiting a friend's home for a meal ― but now she enjoys them as an everyday fruit.
홍콩 회사원 피오나 목(29) 씨에게 샤인머스캣을 먹는 일은 한때 식사하기 위해 친구 집을 방문할 때 선물로 가져가는 것처럼 특별한 날을 위해 아껴두었지만 요즘 목 씨는 샤인머스캣을 일상적인 과일로 먹는다.
"My boyfriend bought me a bunch of Japanese Shine Muscat worth about HK$400 ($51) as a gift. But for me, they tasted similar to Chinese ones," she said. If it was up to her, she would choose the cheaper grapes, she added.
목 씨는 "남자친구가 400 홍콩 달러 (51달러) 어치 일본산 샤인머스캣을 한 송이를 사다 주었다. 그러나 나는 중국산 샤인머스캣과 맛이 비슷하다고 생각했다"고 전했다. 만약 자신에게 선택권이 있었다면 더 저렴한 포도를 선택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For price-conscious Hongkongers, Shine Muscat grapes' high price ― Japanese grapes can cost anywhere between HK$100 and HK$500 a bunch, while Korean varieties can go for up to HK$300 ― has been a hurdle. But cheaper Chinese Shine Muscat grapes, which cost HK$50 to HK$100 a bunch, are more affordable.
가격을 의식하는 홍콩인에게 300 홍콩 달러까지 가격이 매겨지는 한국 품종에 반해 100 홍콩 달러부터 500 홍콩 달러 사이 어디서든 가격이 책정될 수 있는 일본산 포도의 높은 가격은 장애물이다. 하지만 한 송이에 50 홍콩 달러에서 100 홍콩 달러 정도 나가는 더 저렴한 중국산 샤인머스캣이 훨씬 감당 가능한 가격이다.
As a result, Chinese Shine Muscat grapes have been edging out their competitors in recent years.
그 결과 최근 몇 년 동안 중국산 샤인머스캣이 다른 경쟁자들을 밀어내고 있다.
According to Euromonitor data cited by the Korea Agro-Fisheries & Food Trade Corporation (aT), grape consumption in Hong Kong increased every year on average between 2017 and 2020, but dropped by 16.6 percent in 2021. Another aT data set shows the volume of fresh grapes imported into Hong Kong fell from 240,798 tonnes in 2020 to 192,011 tonnes in 2021.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가 인용한 유로모니터 자료에 따르면 2016~2020년 홍콩 내 평균 포도 소비량은 매년 증가했으나 2021년 16.6%로 감소했다. 다른 aT 자료는 홍콩의 포도 수입량이 2020년 240,798톤에서 2021년 192,011톤으로 감소했다고 전했다.
However, imports to Hong Kong of Shine Muscat grapes from South Korea and China have also grown.
그러나 홍콩이 한국과 중국에서 수입하는 샤인머스캣 양 역시 증가했다.
Hong Kong imported 421 tonnes of fresh grapes from Korea in 2020 worth HK$49.9 million, and 567 tonnes worth HK$69.8 million in 2021.
2020년 홍콩은 한국에서 4천 990만 홍콩 달러 상당의 포도 421톤을 수입했고, 2021년 6천 980만 홍콩 달러 상당의 포도 567톤을 수입했다.
At the same time, its imports of fresh grapes from China also rose, from 656 tonnes worth HK$9.5 million in 2020 to 896 tonnes worth HK$13 million in 2021.
동시에 중국산 포도 수입량도 늘었는데, 2020년 950만 홍콩 달러에 달하는 656톤에서 2021년 1300만 홍콩 달러에 달하는 896톤으로 증가했다.
China reportedly lacks the rights to sell Shine Muscat grapes to other countries, but is able to export them to Hong Kong as the market is categorized as domestic.
전하는 바에 따르면 중국은 타국에 샤인머스캣을 판매할 수 있는 권리가 없지만 홍콩 시장은 국내로 분류되어 홍콩에 수출이 가능하다.
Kim Suk-ju, managing director of aT, says the consumption of Shine Muscat grapes in Hong Kong has been "growing over the last few years."
김석주 aT 지사장은 홍콩 내 샤인머스캣 소비가 "지난 몇 년 동안 증가해왔다"고 전했다.
Industry insiders say that, even though the three countries grow the same variety, they taste different.
업계 관계자들은 한중일에서 같은 품종을 재배함에도 불구하고 다른 맛이 난다고 전했다.
Kenneth Lee, CEO of fresh food importer Top Weal, who buys Shine Muscat grapes from all three countries, says that Korean and Japanese ones are "similar [in taste], and sweeter than Chinese ones."
한중일에서 샤인머스캣을 구입하는 신선식품 수입업체 탑윌의 대표 케네스 리는 한국과 일본산 포도가 "(맛에 있어서) 비슷하고, 중국산 포도보다 더 달다"고 말했다.
For aroma, Korean Shine Muscat grapes have the edge, he says. "For texture and crispness, Japanese premium ones are the best," he says, citing in particular grapes from Okayama. Korean grapes rate between premium and normal for texture, he adds.
케네스 리 대표는 한국산 샤인머스캣의 향기가 더 우세하다고 전했다. 그는 오카야마 지역에서 재배된 특정 포도를 언급하며 "질감과 아삭한 정도에서 일본산 고급 포도가 최고"라고 전했다. 그는 질감 면에서 한국산 포도가 고급과 일반 포도 사이에 있다고 덧붙였다.
Chinese Shine Muscat grapes have thicker skin and "less aroma, sourness and sweetness," according to Lee.
리 대표에 따르면 중국산 포도는 껍질이 두껍고 "향과 신 맛, 단 맛이 덜" 느껴진다.
KEY WORDS
■ occasion (특별한) 행사[의식/축하]
■ reserve 따로 잡아[남겨] 두다
■ conscious 의식하는, 자각하는
■ variety 품종[종류]
■ affordable 감당할 수 있는
■ edge out ~을 서서히 몰아내다
■ worth ~의 가치가 있는
■ reportedly 전하는 바에 따르면
■ cite 인용하다
■ texture (음식이 입 안에서 느껴지는) 질감
기사 원문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