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코리아타임스) 주동찬기자 = 미국 정부는 포스코의 길이 방향으로 자른 후판 (cut-to-length plates) 제품에 대한 반덤핑 관세와 상계 관세에 대한 최종결정을 다음달에 내린다고 3일 밝혔다.
지난해 예비판정에서는 미소 마진 결정을 받아 안도했지만 포스코는 좌불안석이다. 기존 냉연과 열연 제품에 대해서도 예비판정에서는 미소 마진 결정을 받았지만 본판정에서 60%에 달하는 높은 상계관세를 부과 받았기 때문이다. 통상 보조금율이 1% 미만일 경우 미소마진으로 판정돼 조치 없이 조사가 종결된다.
당시 미국 정부는 한국의 전기료 혜택, 국책은행의 지원, 세제 혜택 등을 문제 삼아 정부 보조금에 대한 페널티 성격인 상계 관세를 책정했다. 조사과정에서 포스코가 계열사간 거래나 금융지원 등 항목의 자료 제출에 비협조적이었다 공개적으로 질타하기도 했다.
더구나 원래는 1월 중순 버락 오바마 전 대통령이 퇴임하기 직전에 최종 결정이 나올 예정이었지만 무슨 이유에서인지 3월로 연기되어 트럼프 행정부에 맡겨졌다. 미국 상무부는 연기한 이유를 따로 밝히지 않았다.
오바마 정권에서도 포스코에 높은 관세가 부과되었는데 보호무역주의로 기울고 있는 트럼프 정권에서는 더 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는 배경이다.
2015년 미국은 300,000톤의 길이 방향으로 자른 후판 제품을 한국으로부터 수입해 2억 1백만 달러(약 2,410억원)를 지불했고 그 대부분은 포스코 제품이었다.
포스코 관계자는 "최종판정은 3월에 예정되어 있어 아직 확정된 것은 없으며 포스코는 관련 리스크를 재점검 하는 등의 대비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