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 group of advisory staffers at the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hold a protest rally against its Chairman Hyung Byung-chul in front of the agency’s headquarters in Mugyo-dong, downtown Seoul, Monday. / Korea Times |
The unprecedented internal strife within the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reached a new level Monday as 61, about one-third of the 160 non-regular advisory staffers, offered to resign in protest of its Chairman Hyun Byung-chul, who they claim to be “politically biased.”
The commission is already suffering from rows of resignation and denouncements made by incumbent and former high ranking staffers. The latest collective revolt by the professional advisors and consultants, who were appointed by the commission, is expected to add further pressure on the beleaguered Chairman Hyun.
Kim Deok-jin, one of the advisors to the organization, said 10 of the 61 requested a meeting with the Chairman Hyun early in the morning but were rejected.
They also held a protest rally in front of the headquarters building to raise public attention to the issue.
“Since Hyun’s inauguration, the commission has been nothing more than a ‘yes man’ for the conservative Lee Myung-bak government in expressing the viewpoints on politically sensitive issues. Hyun is now violating the rights of the Human Rights Commission,” Kim said.
Among those who tendered letters of resignation are former environment minister Sohn Sook; Ven. Myeongjin, former head monk of Bongeun Temple; lawyer Kim Seong-su and others.
They asked for Hyun’s apology and resignation.
Their resignation comes after two standing commissioners and a non-standing commissioner offered to resign earlier this month in an effort to disapprove of Hyun. Several staff workers also publicly denounced his policies, raising tensions within the organization.
Hyun has been blamed for omitting thorny but significant issues dealing with the protection of human rights such as the prosecution’s investigation methods and the ban on nighttime rallies. These issues have been supported by many of the agency staff, but Hyun has allegedly prevented discussions on them.
However, Hyun is remaining silent to all the criticism and instead testified at the National Assembly last week that “everything is fine.”

인권위 위원 61명 위원장에 반기,사퇴
국가인권위원회가 위촉한 전문•자문•상담위원 등 61명이 대거 사퇴했다.
이들 위원은 15일 서울 중구 인권위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동반 사퇴서를 현병철 인권위원장에게 제출했다.
인권위는 상임위원과 비상임위원이 연쇄적으로 사퇴한 데 이어 인권위가 위촉한 전문, 자문, 상담위원 등 61명이 집단 사퇴를 단행해 설립 후 최대 위기를 맞았다.
회견에 참여한 위원들은 “현병철 위원장 취임 이후 인권위가 정권의 눈치를 보고 정부의 정책에 부담될 것 같은 사안들은 의견표명을 하지 않거나 기각하는 등 여러 문제가 있었다”고 비판했다.
인권위 자유권 전문위원인 천주교인권위원회 김덕진 사무국장은 “현 사태의 심각성을 국민에게 알리고자 인권위 위촉 위원들이 신중을 기해 어렵게 사퇴 결론을 내렸다”며 “자진 사퇴하는 61명을 대표해 10여명이 현 위원장과 면담에 나설 것”이라고 주장했다.
인권위는 지난 1일 유남영, 문경란 두 상임위원이 현 위원장 체제에 항의해 동반 사퇴했고 10일에는 조국 비상임위원이 뒤따라 사퇴하는 등 극심한 내부 진통을 겪고 있다.
이들은 현 위원장의 조속한 자진 사퇴와 인권위원장과 인권위원 임명 때 인사청문회 도입 등도 요구했다.
국가인권위원회가 부여한 모든‘직’을 사퇴하는 61인 일동
◇ 정책자문위원 (15인)
고형일 (교수, 전남대학교 교육학과)
권미혁 (한국여성민우회 상임대표)
명 진 (전 봉은사 주지 스님)
박찬운 (교수, 한양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배은심 (전국민족민주유가족협의회 회장)
손 숙 (전 환경부 장관, 단국대학교 연극영화과 초빙교수)
안성례 (오월 어머니의 집 관장)
이대근 (경향신문 논설위원)
이미경 (한국성폭력상담소 이사)
이수호 (전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이옥경 (전 방송문화진흥원 이사장)
이정택 (원불교 광주전남교구 교구장)
은우근 (교수, 광주대학교 언론광고학부)
조흥식 (교수, 서울대학교 사회복지학과)
홍봉선 (교수, 신라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조정위원 (5인)
신창현 (환경분쟁연구소 소장)
이미경 (한국성폭력상담소 이사, 정책자문위원 중복)
이유정 (변호사, 법무법인 원)
정춘숙 (한국 여성의 전화 대표)
조영희 (평화를 만드는 여성회 대표)
◇ 행정심판위원 (1인)
이상희 (변호사, 법무법인 한결)
◇ 정보인권특별위원회 (3인)
권건보 (교수, 아주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장여경 (진보네트워크 센터 상임활동가)
전응휘 (녹색소비자연대 이사)
◇ 자유권전문위원 (12인)
김덕진 (사단법인 천주교인권위원회 사무국장)
김성수 (변호사, 법무법인 지평지성)
김의형 (변호사, 법무법인 그린)
오병두 (교수, 홍익대학교 법학과)
이상영 (교수,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법학과)
이재승 (교수, 건국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이호중 (교수, 서강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임태훈 (군인권센터 소장)
전준형 (전북인권교육센터 소장)
정승환 (교수, 고려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주영수 (교수,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최응렬 (교수, 동국대학교 경찰행정학과)
◇ 아동인권전문위 (1인)
김수정 (변호사, 법률사무소 지향)
◇ 외국인인권전문위원 (6인)
김현미 (교수, 연세대학교 사회학과)
박찬운 (교수, 한양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정책자문위원 중복)
석원정 (외국인이주노동자 인권을 위한 모임 대표)
소라미 (변호사, 공익변호사그룹 공감)
양혜우 (전 한국이주노동자인권센터 소장)
위은진 (변호사, 법무법인 이세)
◇ 장애차별전문위원 (3인)
박종운 (변호사, 법무법인 소명)
배융호 (사단법인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시민연대 사무총장)
조한진 (교수, 대구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고용차별전문위원 (2인)
박석운 (민주언론시민연합 공동대표)
이찬진 (변호사, 제일합동법률사무소)
◇ 성차별전문위원 (2인)
김도균 (교수, 서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김 진 (변호사, 법무법인 이안)
◇ 민간보조금 사업심사위원 (1인)
양영미 (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 국제연대위원장)
◇ 전문상담위원 (14인)
김미영 (서울가정문제상담소 소장)
김 민 (노무사, 평등노동상담소)
김재용 (변호사, 김재용 법률사무소)
나현정 (임상심리사)
박현희 (노무사, 노동법률원 법률사무소 새날)
송현순 (변호사, 인천지방변호사회)
이석진 (노무사, 이석진 공인노무사 사무소)
이선희 (변호사, 법무법인 세아)
임태훈 (군인권센터 소장, 자유권전문위원 중복)
유상철 (노무사, 노무법인 필)
윤성환 (노무사, 노무법인 현장 인천지사)
위은진 (변호사, 법무법인 이세, 외국인인권전문위원 중복)
조성민 (임상심리 전문가)
최기일 (노무사, 노무법인 현장 인천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