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Seen is a scanned page from a textbook used at an international school in Korea, which shows the French name of the Sea of Japan — Mer du Japon — circled in red. Courtesy of Rep. Ahn Min-suk 국내 한 외국인학교에서 사용하는 교과서 스캔 페이지 위 빨간 원 안에 ‘일본해'의 프랑스식 표기인 ‘Mer du Japon'이 보인다. |
By Lee Hae-rin
Twelve international schools in Korea have been found to be using textbooks that refer to the body of water that lies to the east of the Korean Peninsula only as the Sea of Japan, without mentioning East Sea, which is the name used by Korea.
국내 외국인학교 12곳이 한반도 동쪽에 위치한 바다를 한국이 공식적으로 사용하는 ‘동해'가 아닌 ‘일본해'로 단독 표기한 교과서를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According to Rep. Ahn Min-suk of the main opposition Democratic Party of Korea (DPK), 12 out of 38 international schools in the country use 24 textbooks that use only the names Sea of Japan or Takeshima, islets better known as Dokdo in Korea. The number of Korean nationals who attend these schools stands at 1,173.
안민석 더불어민주당 의원에 따르면 외국인학교 38곳 중 12곳에서 ‘일본해'를 단독 표기하거나 한국에서 ‘독도'로 더 잘 알려진 섬을 ‘다케시마'로 표시한 교과서 총 24권을 사용했다. 이들 교과서를 쓴 외국인학교에 다니던 우리나라 국적을 가진 학생은 총 1173명이었다.
The study was conducted in 2020 by local offices of education across the country upon the request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on 38 foreign and international schools and educational institutions using 216 textbooks. Two Japanese schools were not included in the survey.
해당 조사는 2020년 교육부가 전국 시도교육청에 요청해 교과서 216권을 사용하는 외국인학교 38곳과 외국교육기관을 대상으로 실시했다.
Also, 17 other schools were found to use 27 additional textbooks that include East Sea, which is the South Korea-approved English translation, side by side with the Sea of Japan.
또 다른 17개교는 한국이 공식적으로 인정한 영어 명칭인 ‘동해'와 ‘일본해'를 병기한 교과서 27권을 추가적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One school used a textbook that identifies the Dokdo Islets (Korean name) as Takeshima (Japanese name), while two others used two textbooks that put both names side by side. Korea considers the islets as its easternmost territory. Japan has also repeatedly laid claim to the islets.
한 학교는 ‘독도'(한국식 표기)를 ‘다케시마'(일본식 표기)로 표기한 교과서를 사용했으며 다른 학교 2곳은 두 가지 표기를 병기한 교과서를 사용했다. 한국은 독도를 국내 가장 동쪽의 영토로 인식한다. 일본 역시 해당 섬에 대한 소유권을 반복적으로 주장해왔다.
Foreign and international schools, established to educate foreign and Korean students, are subject to the domestic laws of the territory they operate within. As a result, Korean nationals graduating from foreign and international schools here must receive 102 hours of Korean history education a year to have their academic level certified at an equivalent level to that of regular Korean school graduates.
외국인과 한국인 학생의 교육을 위해 설립된 외국인학교는 운영되는 국가 영토 내 법의 영향을 받는다. 결과적으로 외국인학교에서 졸업하는 내국인 학생이 국내 일반학교에 다니는 졸업생과 동일 수준의 학력을 인정 받으려면 국사를 연간 최소 102시간 이상 이수해야만 한다.
Korean schools use government-certified textbooks or receive government supervision on the use of non-certified textbooks. These textbooks name those disputed regions the East Sea and the Dokdo Islets, in adherence with the local historical narrative.
한국 학교는 정부가 인증한 교과서를 사용하거나, 인증이 되지 않은 교과서의 경우 정부의 감독을 받는다. 이러한 교과서는 논란이 되는 지역들을 국내 역사적 서술에 따라 ‘동해' 혹은 ‘독도'로 표기한다.
Foreign and international schools tend to use textbooks that follow long-held international standards and perspectives on geographical names.
외국인학교는 오래된 국제적 표준과 관점을 따르는 교과서를 지리학적 표기에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
KEY WORDS
■ refer to 지칭하다
■ islet 작은 섬
■ conduct 실시하다
■ identify as ~라고 밝히다
■ subject ~의 권한 아래 있는[지배를 받는]
■ lay claim to ~에 대한 권리를 주장하다
■ supervise 감독하다
■ certify 증명하다
■ adherence 준수
기사 원문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