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gettyimagesbank |
By Anna J. Park
The wealth gap among the country's 20somethings and 30somethings has widened, following fast-rising asset prices over the past couple of years. The top 20 percent asset bracket of people in their 20s and 30s hold 35 times more wealth than those in the lowest 20 percent asset bracket.
최근 몇 년간 자산가격이 급등하면서 2030세대 청년 세대 간 빈부격차가 벌어졌다. 2030세대의 자산 상위 20%는 하위 20% 자산보다 약 35배 더 많은 자산을 소유하고 있다.
This is according to data submitted by Statistics Korea to Democratic Party of Korea lawmaker Kim Hoi-jae. The lawmaker's office announced Monday that the average asset size of local households led by those in their 20s and 30s stood at 356 million won ($277,000), up about 11 percent from last year's 318 million won.
이는 통계청이 김회재 더불어민주당 의원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른 것이다. 16일 김회재 의원실은 2030세대 가구주 평균 자산규모가 3억5600만원으로 지난해의 3억1800만원보다 약 11% 증가했다고 밝혔다.
Yet, when the average figure is examined closer, each asset bracket group logged a different rate of asset increases, widening the asset gap for the age group.
그러나 평균 수치를 자세히 살펴보면 자산군별로 자산증가율이 달라 2030세대의 자산격차는 심화됐다.
While the lowest 20 percent bracket had on average 27 million won, the top 20 percent bracket averaged 981 million won, widening by 12.8 percent from the past year. This means the top 20 percent asset group holds 35.27 times more than the lowest 20 percent asset bracket group, worsening compared to last year's ratio of 35.2.
2030세대 하위 20% 평균 자산은 2700만원이었던 한편 상위 20%는 9억8100만원으로 1년 전보다 12.8% 늘었다. 이는 자산 상위 20% 가구기 하위 20% 가구보다 35.27배 더 많은 자산을 보유 중이라는 의미로 지난해 35.2%보다 악화됐다.
When the ratio is compared to the 33.21 times logged in 2019, one could easily see the country's asset polarization among those in their 20s and 30s has only deteriorated.
2019년의 33.21배와 비교하면 2030세대 자산양극화가 심화됐을 뿐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The divide in terms of income is also serious among the younger generation. The highest 20 percent income bracket among those in their 20s and 30s earned 128 million annually as of 2020, while the lowest 20 percent income bracket only garnered 19 million won.
2030세대 사이에 소득 격차도 심각하다. 2030세대 중 소득 상위 20%는 2020년 기준 연 1억2800만원었던 한편 하위 20%는 1900만원에 그쳤다.
The figure shows the highest 20 percent group earns 6.52 times more than the lowest income group. The ratio showed a slight enhancement from 2019's 6.58 times, yet it is not enough to close the gap expanded by asset polarization due to fast-rising asset prices over the past years.
이 수치는 소득 상위 20%가 소득 최저 집단보다 6.52배 더 많은 수입을 낸다는 것을 보여준다. 2019년 6.58배에 비해 소폭 개선된 비율이지만, 지난 몇 년간 자산가격 급등으로 자산 양극화로 확대된 격차를 메우기에는 역부족이다.
The lawmaker also pointed out that income difference cannot fully explain the whopping 35 times gap in their asset polarization, adding that much of the asset gap may have come from their parents' contribution.
또한 김 의원은 소득 격차만으로는 자산 양극화의 35배나 되는 격차를 충분히 설명하기 어렵다고 지적하며 자산 격차의 상당 부분이 부모의 기여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덧붙였다.
KEY WORDS
■ bracket 계층[대]
■ log 일지에 기록하다
■ polarization (사상·세력 따위의) 분열
■ deteriorate 악화되다
■ garner (정보·지지 등을) 얻다[모으다]
■ whopping 엄청 큰
기사 원문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