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gettyimagesbank |
Presidential transition committee plans to scrap Korean age
대통령직인수위원회, 한국식 나이 폐지 예정
By Lee Hyo-jin
"How old are you?" Answering this simple question often becomes a challenge for foreign nationals living in Korea who are not yet familiar with the country's unique system of counting one's age.
"나이가 어떻게 되세요?" 아직 나이를 세는 한국의 독특한 체계에 익숙하지 않은 한국에 사는 외국 국적 사람들에게 이 간단한 질문에 답하는 것은 때로는 어려운 과제가 된다.
In fact, when Koreans are asked their age by foreign nationals, they tend to give several answers, followed by an explanation about the different ways of counting age.
사실 한국인들이 외국 국적 사람들에게 나이 질문을 받으면 여러 개의 답을 주며 나이를 세는 여러 방법에 대한 설명을 뒤이어 하는 경향이 있다.
Korea has three ways of counting an individual's age: the Korean traditional "counting age" system, the internationally recognized system and a third system used for convenience when one's exact birthdate is unknown.
한국은 개인의 나이를 세는 세 가지의 방법이 있다. 한국 전통적인 "나이 세기" 체계, 국제적으로 인정된 체계, 그리고 정확한 출생일이 부정확할 때 편의를 위해 사용되는 세 번째 체계이다.
Unlike the international norm that starts with the age of zero at birth and then adds a year on birthdays, under the Korean system, a newborn baby's age is counted starting from one rather than zero, and everyone gets a year older all together on New Year's Day. So on Jan. 1, hospital maternity wards are filled with two-year-old babies born yesterday.
출생 시 0세에서 시작한 뒤 생일 때마다 1년을 더하는 국제적 규범과 다르게, 한국 체계 하에서 새로 태어난 아기의 나이는 0세가 아닌 1살부터 세어지며 새해 첫날 모두가 1살이 늘어난다. 따라서 1월 1일이면 병원 분만실은 어제 태어난 두 살 아기들로 가득 차 있다.
This traditional system is used widely in daily life, while the international system, which was introduced in the country in 1962, is used in official records and the civil code.
이 전통적인 체계는 일상 생활에서 널리 사용되는 한편 1962년에 국내 도입된 국제 체계는 공식 기록과 민법에서 사용된다.
In addition, there is a third system in which newborns start out at age zero, but everybody's age advances on New Year's Day, regardless of their actual date of birth. This method is used for military conscription and for defining the age of juveniles under the Youth Protection Act.
추가적으로, 신생아들이 0세에서 시작하지만 실제 출생일과 상관없이 모두가 새해에 1살이 많아지는 세 번째 체계가 있다. 이 방법은 징병과 청소년보호법 하의 청소년의 나이 정의에서 사용된다.
KEY WORDS
■ custom 관습, 풍습
■ endure 오래가다, 지속되다
■ national (특정 국가의) 국민 (한 사람)
■ maternity ward 산부인과 병동, 분만실
■ civil code 민법
■ military conscription 징병
기사 원문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