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Public sector's conservative culture disappoints MZ generation
공무원 조직의 보수적인 문화, MZ세대 실망시켜
By Dong Sun-hwa
The COVID-19 pandemic has dealt a huge blow to the job market in Korea, with numerous companies reducing job openings in order to stay afloat.
많은 기업들이 빚지지 않기 위해 채용문을 줄여 코로나19 팬데믹은 한국의 직업 시장에 큰 충격을 가했다.
According to a recent survey conducted by the Federation of Korean Industries, more than 42.1 percent of the top 500 companies in Korea said they have not mapped out recruitment plans for the first half of this year, while 7.9 percent said they have no hiring plans. The two major reasons are due to the global health crisis and a lack of what they view as suitable talent.
전국경제인연합회에 의해 진행된 최근 설문조사에 의하면 한국 500대 기업의 42.1% 이상이 올해 상반기 채용을 아직 계획하지 않은 한편 7.9%는 채용 계획이 없다고 말했다. 가장 주요한 두 가지 이유는 전세계적 건강 위기와 기업들이 보기에 적절한 인재의 부족이었다.
From a common-sense standpoint, more job seekers should flock to Noryangjin in western Seoul, a region packed with civil service exam crammers, to gain jobs in the government which provide employment stability and a fair working environment. However, a growing number of young people in Korea are losing interest in getting public sector jobs, as evidenced by a steady decline in the competition ratio for the civil service exam.
상식적인 관점에서 보면 고용 안정과 훌륭한 근무 환경을 제공하는 정부 일자리를 구하기 위해 더 많은 취업 준비생들이 공무원 시험 학원으로 꽉 찬 서울 서쪽의 노량진으로 모여들어야 한다. 그러나, 공무원 시험 경쟁률의 꾸준한 감소가 증거가 되듯 점점 더 많은 수의 한국 젊은층은 공공부문 일자리에 흥미를 잃어가고 있다.
Data from the Ministry of Personnel Management (MPM) show that 165,524 people applied for this year's civil service exam, resulting in a competition rate of 29.2: 1, down from 35:1 in 2021 and 37.2:1 in 2020. The competition ratio had soared to 39.2:1 in 2019, 41:1 in 2018.
인사혁신처는 올해 (국가직 9급) 공무원 공채시험 접수에 16만5524명이 모여 경쟁률이 29.2대1로 집계됐다고 밝혔는데 경쟁률은 2021년 35대1, 2020년 37.2대1에서 감소했다. 경쟁률은 2019년에는 39.2대1, 2018년에는 41대1로 급증했었다.
Pension reform critical factor
공무원연금 개편이 중대 요인
Although the popularity of another exam for higher-level civil service positions has not waned as much as that of the test for entry-level public servants, experts still believe that the craze for public service jobs is cooling down in Korea, with the so-called MZ generation favoring high-paying and more challenging jobs. The MZ generation is a term used to refer to Millennials (born between 1981 and 1995) and Generation Z (born between 1996 and 2005).
비록 고위 공무직 시험의 인기는 9급 공무원 시험만큼 감소하지는 않았지만, 전문가들은 일명 MZ세대가 임금이 높고 더 도전적인 직업을 선호하면서 한국에서 공무원의 인기는 식고 있다고 보고 있다. MZ세대는 1981년~1995년 사이 태어난 ‘밀레니얼'과 1996년~2005년 사이에 태어난 ‘Z세대'를 지칭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다.
KEY WORDS
■ turn off ~에 흥미를 잃다
■ conservative 보수적인
■ deal a blow ~에 큰 충격을 주다
■ map out 계획하다
■ wane 줄어들다
■ cool down 무관심해지다
기사 원문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