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First lady Kim Keon-hee, left, and President Yoon Suk-yeol pose with one of their dogs at the presidential office in Seoul, May 29. Screenshot from Facebook account of first lady Kim Keon-hee's supporters |
By Lee Hae-rin
First lady Kim Keon-hee called for animal rights in her first media interview given since her husband, President Yoon Suk-yeol, took office on May 10.
김건희 여사는 지난 5월 10일 남편 윤석열 대통령의 취임 이후 첫 언론 인터뷰에서 동물권을 주장했다.
"Korea and China are the only two economically successful countries that consume dog meat," Kim said during an interview with local newspaper Seoul Shinmun that was published on Monday.
김건희 여사는 월요일 발간된 국내 신문인 서울신문과의 인터뷰에서 "경제 규모가 있는 나라 중 개를 먹는 곳은 한국과 중국뿐"이라고 말했다.
"I believe the universal culture (of not consuming dog meat) should be shared in Korea with other developed countries. Otherwise, it could stoke an anti-Korean sentiment," Kim said.
김 여사는 "(개고기를 먹지 않는) 보편적인 문화가 다른 선진국과 함께 우리나라에서도 공유돼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렇지 않으면 한국에 대한 반(反)정서를 가지게 할 수 있다"고 말했다.
To end the practice, Kim said the government could support dog meat traders to transition into new industries, underlining the unsanitary environment in which dogs are raised before being consumed as meat.
개 식용 종식을 위해 김 여사는 식용되기 전 개가 사육되는 비위생적인 환경을 강조하며 정부가 식용견 업계에 새로운 산업으로의 업종 전환을 위한 정책 지원을 할 수 있다고 말했다.
"Dog meat is not good for health. Dogs that are raised to be consumed as meat are locked in small cages, where they eat, sleep and defecate all their lives. And some of them are even fed antibiotics," Kim said.
김건희 여사는 "개고기는 건강에 좋지 않다. 고기 섭취용으로 길러진 개들은 좁은 뜰장에서 갇혀 평생 먹고 자고 배변까지 한다. 또 항생제를 먹이며 키우는 사례도 있다"고 말했다.
"Ultimately, dog meat consumption must be stopped out of respect for man's best friend and life."
"궁극적으로 인간과 가장 가까운 친구 및 생명에 대한 존중을 바탕으로 개 식용을 중단해야 한다."
Yoon and Kim live together with seven companion animals ― four dogs and three cats. Five of those animals had been adopted from rescue shelters. Kim said she has volunteered to rescue or assist the adoptions of over 100 abandoned animals.
윤석열 대통령과 김건희 여사는 개 4마리, 고양이 3마리 등 일곱 마리의 반려동물과 함께 살고 있다. 이들 중 5마리는 구조 대피소에서 입양되었다. 김건희 여사는 100마리가 넘는 유기 동물을 구조하거나 입양하기 위해 자원 봉사를 했다고 말했다.
She also highlighted the need for strengthening punishment against animal abuse.
김건희 여사는 또한 동물 학대에 대한 처벌을 강화할 필요성을 강조했다.
KEY WORDS
■ call for (공식적으로) 요구하다
■ take office 취임하다
■ stoke (감정을) 더 부추기다[돋우다]
■ underline 강조하다
■ unsanitary 비위생적인
■ defecate 배변하다
■ adopt 입양하다
■ highlight 강조하다
기사 원문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