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Military service issue involving BTS reignites questions about qualifications for exemption
방탄소년단을 둘러싼 병역 문제, 면제 자격에 대한 의문 재점화
By Kwak Yeon-soo
Exempting pop music personalities from compulsory military service, just like Olympic medalists and award-winning classical musicians, has become a contested political issue again as the debate over whether or not BTS members should enter military service has heated up.
그룹 방탄소년단(BTS)이 군대를 가야 하는지에 대한 논의가 연일 뜨거워지며 올림픽 메달리스트와 수상한 클래식 음악가처럼 대중음악 유명인사도 병역의무에서 면제시키는 것은 논란을 일으키는 정치적 이슈가 되었다.
In South Korea, all male citizens who meet certain physical criteria are required to serve in the military for a period of one year and six months to one year and nine months, depending on the military branch. However, the government offers exemptions to top-performing athletes and artists who have significantly contributed to "elevating national prestige" abroad.
한국에서 특정 신체적 조건을 만족하는 모든 남성은 군부대에 따라 군에서 1년 6개월~1년 9개월의 기간 동안 의무를 다해야 한다. 그러나 정부는 해외에서 상당한 "국위선양"을 한 최고의 운동 선수와 예술가에게는 면제를 제공한다.
Medalists at the Asian Games or Olympics and recipients of awards in designated national or international classical music and art competitions are eligible for such exemptions, according to the Military Service Act.
병역법에 의하면 아시안게임 및 올림픽 메달리스트와 지정된 국가 및 국제 클래식 음악과 미술 대회의 수상자는 이러한 면제 자격을 얻는다.
While exempt from active duty, they are still required to complete non-active duty service, which includes four weeks of basic training and a mandatory 544 hours of community service during the 34-month term. Yet, there is no clause concerning pop stars.
이들은 현역 복무로부터는 면제되지만 기본 훈련 4주와 34개월 내 544시간 사회 봉사 활동 등의 병역특례 제도를 마쳐야 한다. 하지만 대중음악가를 위한 조항은 없다.
While a large part of the discussion surrounding BTS' military exemption is about the fairness of exempting pop stars versus other artists and athletes, there have also been calls from some for the government to abolish or reform the military exemption system as a whole.
방탄소년단의 면제를 둘러싼 논의는 다른 예술가 및 운동 선수와 대비되는 대중음악가에 대한 면제의 공정성이 큰 부분을 차지하지만, 병역면제 체계의 전반적 폐지 혹은 개혁을 정부에 요구하는 일부 목소리도 있다.
They argue that granting exemptions from the military service for "elevating national prestige" is too old-fashioned. The system was introduced by former President Park Chung-hee in 1973, a year after South Korea (No. 33) ranked below North Korea (No. 22) in the medal rankings for the 1972 Summer Olympic in Munich.
이들은 "국위선양"을 위한 병역의무 면제 수여가 구시대적이라고 주장한다. 이 (면제 수여) 체계는 1972년 뮌헨 하계 올림픽에서 한국(33위)의 메달 순위가 북한(22위)보다 떨어지고 1년이 지난 1973년 전 박정희 대통령에 의해 도입되었다.
KEY WORDS
■ elevate 승진[승격]시키다
■ prestige 위신, 명망
■ compulsory 강제적인, 의무적인
■ contested 경쟁의, 이론이 있는
■ designate 지정하다
■ exempt 면제하다[받다]
기사 원문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