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Graphic by Bae So-young |
By Yoon Ja-young
With 0.64 babies born per woman, the city of Seoul has the lowest birth rate in the country, and the number of deaths here has already surpassed the number of births. But the population of the capital area is not decreasing, as it continually absorbs more people ― especially young people ― migrating in from other parts of the country. Meanwhile, an increasing number of small towns are now on the verge of "disappearing."
여성 한 명당 0.64명의 아기가 태어나는 서울은 국내에서 가장 낮은 출산율을 보유하고 있으며, 사망자 수는 출생아 수를 이미 넘어섰다. 그러나 이 수도권 지역의 인구는 줄지 않고 있는데, 이 도시가 지속적으로 국내 다른 지역에서 이주해오는 더 많은, 특히나 어린 사람들, 을 흡수하기 때문이다. 한편, 점점 더 많은 작은 마을들이 "사라지기" 직전에 있다.
One Seoul resident, identified only by her surname Park, has been working at a small design company in the capital after leaving her hometown of Miryang, South Gyeongsang Province, in 2015. In recent decades, countless other young people have made the same decision to leave their smaller regional cities for Seoul. Miryang had more than 250,000 residents in the 1960s. Today, it only has 103,600, with the number decreasing by around 100 people each month.
성이 "박"으로만 알려진 한 서울 거주자는 2015년에 고향인 경상남도 밀양을 떠난 후 수도권의 한 작은 디자인 회사에서 일해왔다. 최근 수 십 년간, 수많은 다른 청년들도 작은 지방 도시를 떠나 서울로 향한다는 같은 결정을 내렸다. 밀양은 1960년대에 25만명 넘는 주민이 있었다. 오늘날, 이 도시는 매달 약 100여명의 사람이 줄어들며 오직 10만 3,600명이 있다.
Life in Seoul is not easy. Park said she doesn't have much money left after paying for rent and other necessities.
서울에서의 삶은 쉽지 않다. 박 씨는 월세와 다른 생필품을 위해 돈을 지불하고 나면 돈이 많이 남지 않는다고 말했다.
"I sometimes think that life would have been easier if I lived with my parents," she said. "But I don't think I can go back to Miryang. Above all, there is nothing I can do there, and I am not talking only about jobs." she said.
박 씨는 "부모님과 같이 살았으면 삶이 훨씬 쉬웠을 것 같다고 종종 생각한다"며 "하지만 밀양에 돌아갈 수 있다고는 생각하지 않는다. 무엇보다 거기서는 내가 할 것이 아무것도 없고, 나는 일자리에 대해서만 말하는 건 아니다"라고 말했다.
KEY WORDS
■ birth rate 출생률, 출산율
■ surpass 능가하다
■ absorb 흡수하다
■ on the verge of ~하기 직전의
■ countless 수많은
■ necessity 필수품
기사 원문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