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A screenshot from a promotional video of the Military Manpower Administration (MMA) shows a man saying, "You can proudly call yourself a man only when you fulfill your military service." Screenshot from the MMA YouTube channel |
By Bahk Eun-ji
The Military Manpower Administration (MMA) has taken flak over a promotional video that critics say disparages those assigned to non-combat duties for their mandatory military service due to health or other reasons.
병역 의무를 위해 비전투 의무에 배정된 사람들을 건강이나 기타 이유로 폄하한다고 비평가들이 지적한 홍보 영상에 대해 병무청이 맹비난을 받고 있다.
On Nov. 5, the MMA posted video footage on its YouTube channel in which an active service member on leave talks over a meal with his friends, who haven't been enlisted yet, about life in the barracks.
병무청은 11월 5일 유튜브 채널에 휴가를 나온 현역병이 아직 입대하지 않은 친구들과 식사를 하며 병영 생활에 대해 이야기하는 영상을 올렸다.
The problematic part was about the service member's physical grade. While all able-bodied men in Korea must serve in the military, only those who receive grades of 1 to 3 in their heath examination serve in the military, while those who receive a grade of 4 are assigned to less physically demanding duties, mostly public service positions at public organizations, and those who get a grade of 5 are exempt from duty.
문제가 된 부분은 장병의 신체등급이었다. 우리나라의 모든 건장한 남성은 의무적으로 군복무를 해야 하지만 건강검진에서 1~3급을 받은 사람만 군 복무를 하고, 4급을 받은 사람은 신체 부담이 덜한 업무, 주로 공공기관에 배치되며 5급 이상은 군복무 면제다.
In the video, the man said that he was initially given a grade of 4, but joined the military after losing weight through an MMA program and improving his grade. The project helps those who receive a grade 4 or 5, due to extreme obesity or other health reasons, to get support from hospitals, fitness clubs or public health centers, to lose weight or improve their condition if they want to serve in combat positions.
영상에서 남성은 처음에 4급 판정을 받았으나 병무청 프로그램을 통해 체중을 감량하고 등급을 올린 후 입대했다고 말한다. 이 프로젝트는 극도의 비만이나 기타 건강상의 이유로 4급 또는 5급을 받은 사람들이 전투 위치에 복무하기를 원할 경우 병원, 피트니스 클럽 또는 공중 보건 센터의 지원을 받고 체중 감량 또는 상태 개선을 돕는다.
The man said, "I applied for the project because I thought it fits well with my character," and the friend replied, "You can proudly call yourself a man only when you fulfill the military service."
남자는 "내 성격과 잘 맞아서 지원하게 됐다"고 말했고, 친구는 "군복무를 해야만 당당하게 남자라고 할 수 있다"고 답했다.
This video has drawn a barrage of criticism for disparaging people who receive grades of 4 or 5 and take public service positions instead of combat duty.
이 영상은 4·5급을 받고 군복무 대신 공익근무를 하는 사람들을 차별하여 엄청난 비판을 받았다.
KEY WORDS
■ mandatory 의무적인
■ enlist 요청하다
■ barrack 병영
■ exempt from ~에서 면제받은
■ disparage 폄하하다
■ duty 의무
기사 원문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