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People wait in line for coronavirus tests at a testing center in Songpa District, Seoul, Friday. Yonhap |
By Lee Hyo-jin
The government's "Living with COVID-19" plan, which began on Nov. 1, may face setbacks due to the worsening coronavirus situation, raising uncertainties over whether the country will be able to move on to the next phase of the plan.
11월 1일부터 시작된 정부의 ‘위드 코로나' 계획이 코로나19 사태 악화로 차질을 빚을 수 있어 당국이 계획의 다음 단계로 넘어갈 수 있을지에 대한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다.
The public health authorities plan to ease the social distancing measures gradually in three phases, with each transition slated for four to six weeks. After the current phase 1 ends in late November, the authorities will assess the virus situation and decide whether to proceed to phase 2 in December. But the faster-than-expected rise in the number of critically ill patients has put the public health authorities on high alert.
보건당국은 사회적 거리두기 조치를 3단계에 걸쳐 점진적으로 완화할 계획이며, 각 전환 기간은 4~6주로 예정돼 있다. 현재 1단계가 11월 말 종료되면 당국은 바이러스 상황을 평가해 12월에 2단계로 진행할지 여부를 결정할 예정이다. 그러나 위중증 환자의 수가 예상보다 빠르게 증가하면서 공중 보건 당국은 경계 수위를 높이고 있다.
According to the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KDCA), the number of critically ill patients hit a fresh high of 485 as of Friday, breaking the record set the previous day. Saturday's figure also stood at 483.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위중증 환자 수는 금요일 현재 485명으로 전날 상황을 넘어섰다. 토요일 환자 수는 483명으로 확인됐다.
The patients are currently occupying 59.6 percent of the intensive care unit (ICU) beds available for COVID-19 patients across the country. In Seoul, 76.2 percent of the ICU beds are occupied, while 75.9 percent and 71.9 percent are in Incheon and Gyeonggi Province, respectively.
현재 전국 코로나19 환자가 이용할 수 있는 중증환자 전담병상 중 59.6퍼센트를 위중증 환자들이 차지하고 있다. 서울은 중증환자 병상의 76.2퍼센트, 인천은 75.9퍼센트, 경기는 71.9퍼센트가 각각 가동 중이다.
The government said earlier that it would put into effect a "circuit breaker," or a contingency plan for halting the "Living with COVID-19" plan, if 75 percent of all ICU beds were filled across the country.
앞서 정부는 전국 중환자 병상 가동률이 75퍼센트가 되면 ‘서킷 브레이커', 즉 ‘위드 코로나' 계획을 중단하는 비상 계획을 시행하겠다고 밝혔다.
KDCA Commissioner Jeong Eun-kyeong said the current situation may prevent the government from shifting to the next step, under which more social distancing measures would be lifted.
정은경 질병관리청장은 현재 상황이 정부가 사회적 거리두기 조치를 더욱 해제하는 다음 단계로 전환하는 데 방해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We may have to extend the current phase, or strengthen the quarantine measures," Jeong said during a National Assembly session, Thursday, in response to a lawmaker's question on whether the country would be able to proceed to the next phase at this pace.
정 청장은 이날 국회 본회의에서 이 속도로 다음 단계로 넘어갈 수 있느냐는 질문에 "현재 단계를 연장하거나 방역을 강화해야 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KEY WORDS
■ worsen 악화시키다
■ uncertainty 불확실성
■ phase 단계
■ slate 계획하다
■ critically 위태롭게
■ contingency 만일의 사태
기사 원문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