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The government said Tuesday it will spend 100 billion won ($90 million) to finance a project that will send about 10,000 teachers overseas for training during the next five years.
As part of the project, the chosen teachers will be trained or work in educational institutes and schools abroad,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said. Graduates with teaching licenses will also benefit from the program.
``In order for Korea to advance in the world in terms of education, we need to practice educational diplomacy by sending teachers abroad and supporting their experience of the world,’’ Education Minister Lee Ju-ho said at a press briefing.
The project is an updated version of a previous one where the government sent teachers abroad for training purposes for three to six months to the United States, England and Canada.
The number of countries will rise from three in 2011 to 10 in 2015, while the subjects the participants will focus on will expand from the usual mathematics and science to Korean language and specialized subjects including technology and design.
Various options will be available for the teachers such as exchange programs, internships and learning English. Afterwards, select applicants will later get to choose if they want to return to Korea and use their experience in local schools or stay in foreign countries and teach at schools there.
``Both parents and students want something more than local education and I believe the government must respond to their needs. Teachers in Korea are interested in learning more outside of the country and this will hopefully help advance both the local and global education level as a whole,’’ Lee said.

2015년까지 현직·예비교사 1만명 외국 파견
수업 능력이 탁월한 현직 교사와 교대•사범대 출신의 예비교사를 선발해 외국 학교에서 교편을 잡고 연수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사업이 올해부터 본격 추진된다.
교육과학기술부는 8일 현직교사 사기 진작과 교대•사범대 졸업생 임용난 해소 대책의 일환으로 2015년까지 총 1만여명의 교사에게 외국파견, 해외연수 등의 기회를 주는 내용의 `우수 교원 해외진출 지원 5개년 계획'을 발표했다.
교과부는 글로벌 시대를 맞아 교사들의 영어 실력 등 국제 역량을 강화할 필요가 있고 갈수록 심각해지는 교대•사범대 졸업생의 낮은 취업률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이 방안을 마련했다고 설명했다.
우선 지난해 시범사업으로 실시됐던 교원 해외진출 지원사업의 규모가 크게 확대된다.
교사들을 일정 기간 외국으로 보내 교육 현장을 체험하고 현지 학교에서 직접 수업할 수 있게 돕는 프로그램이다.
현재 3~6개월인 파견기간을 12개월로 늘리고 파견 대상국도 지난해 영국, 캐나다 두 나라에서 장기적으로 중국, 일본, 유럽연합(EU), 몽골, 동남아, 중동 지역 등으로 다변화할 계획이다.
특히 과학, 수학 교사들은 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 미 항공우주국(NASA), 국제이론물리센터(ICTP) 등 저명 연구기관의 연수 기회를 주기로 했다.
국가별로 다른 방학기간을 이용해 외국 교사와 교환 연수를 하는 방안도 추진된다.
우선 올해 우리나라와 미국 뉴욕의 수학•과학 교사 30명씩을 선발해 서로 상대국 학교에서 보조 교사로 활동하면서 현지 교수법을 체험하게 할 계획이다.
마이스터고•특성화고 교사들에게는 자동차(독일), 전자(일본), 낙농(덴마크), 화훼(네덜란드), 디자인(이탈리아) 등 산업 분야별로 특화된 `테마연수'가 실시된다.
교•사대 재학•졸업생, 기간제 교사, 학습 보조교사 등 예비 교사들의 해외 진출 기회도 확대될 전망이다.
올해 30명, 내년 50명 등 2015년까지 250명의 예비교사를 선발해 외국에서 교사 활동을 하거나 현지 교사 자격증을 취득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미국, 일본, 중국, 동남아 등 해외에서 교생실습(인턴)을 하도록 하는 한편 재외 한국학교, 외국 교육기관으로 실습을 확대한다.
공적개발원조(ODA) 차원에서 개발도상국에 예비 교원을 파견하는 사업도 검토하기로 했다.
이밖에 교•사대에 글로벌 교원 과정을 설치해 입학단계부터 해외 진출을 목표로 하는 예비교사를 육성하고 `TiE'(Teaching in English) 전문 교육과정을 개설하는 방안도 추진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