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Mary hadn't visited her hometown for several decades, so she was very surprised when she saw how much it had changed ――― she was away.
(A) despite
(B) given
(C) while
(D) over
해석: Mary는 수십 년간 자신의 고향을 방문하지 않았기 때문에, 그녀는 떠나 있던 동안 그곳이 얼마나 많이 바뀌었는지 보게 되었을 때 무척 놀랐다.
해설: 부사절 접속사 채우기 문제
관계부사 when 다음에 오는 절은 필수성분(she saw how much it had changed)을 갖춘 완전한 절이므로, ――― she was away는 수식어 거품으로 보아야 한다. 이 수식어 거품은 동사(was)가 있는 거품절이므로, 거품절을 이끌 수 있는 부사절 접속사 (C) while(~동안)이 정답이다. 전치사 (A), (B), (D)는 수식어 거품절을 이끌 수 없다.
어휘: hometown 고향 decade 10년
정답: (C)
2. After the tenant moved out, the landlord immediately advertised the ――― in a local newspaper.
(A) vacant
(B) vacancy
(C) vacantly
(D) vacantness
해석: 세입자가 이사를 나간 후, 집주인은 즉시 지역 신문에 빈 방을 광고했다.
해설: 의미 구별하여 명사 채우기 문제
타동사(advertised)의 목적어 자리에 올 수 있는 것은 명사나 동명사이므로 명사 (B)와 (D)가 정답의 후보이다. '집주인이 즉시 지역 신문에 빈 방을 광고했다'라는 문맥이 되어야 하므로 (B) vacancy(빈 방)가 정답이다. (D) vacantness(공허함)를 사용할 경우 '집주인이 지역 신문에 공허함을 광고했다'라는 어색한 문맥이 된다. 형용사 (A)와 부사 (C)는 목적어 자리에 올 수 없다.
어휘: tenant 세입자 move out (살던 집에서) 이사를 나가다 landlord 집주인, 임대주 immediately 즉시 advertise 광고하다
정답: (B)
3. The government ――― the privilege of permanent residence to law-abiding individuals who have lived in the country for at least two years.
(A) accepts
(B) grants
(C) borrows
(D) deserves
해석: 정부는 최소 2년간 이 나라에 살아 온, 법을 준수하는 사람들에게 영주권의 특혜를 준다.
해설: 동사 어휘 문제
'정부는 최소 2년간 이 나라에 살아 온 사람들에게 영주권의 특혜를 준다'라는 문맥이 되어야 하므로 '주다, 수여하다'라는 뜻의 동사 grant의 3인칭 단수형 (B) grants가 정답이다. 참고로 (A)의 accept는 '받아들이다, 수락하다', (C)의 borrow는 '빌리다, (돈을) 꾸다', 그리고 (D)의 deserve는 '~을 받을 만하다'의 의미임을 알아둔다.
어휘: privilege 특혜, 특전 permanent residence 영주권 law-abiding 법을 준수하는
정답: (B)
4. Researchers have confirmed that ――― a piece of information soon after it has been learned can increase retention of the memory.
(A) retrieved
(B) had retrieved
(C) retrieving
(D) retrieve
해석: 연구원들은 학습한 직후에 정보를 생각해내는 것이 기억 유지를 향상시킬 수 있음을 확인했다.
해설: 동명사와 명사 구별하여 채우기 문제
that절의 주어 자리가 비어 있다. 주어가 될 수 있는 것은 명사나 동명사이므로 동명사 (C)와 명사 (D)가 정답의 후보이다. 이 중, 뒤에 목적어(a piece of information)를 가질 수 있는 것은 동명사이므로 (C) retrieving이 정답이다. 명사 (D)는 뒤에 목적어를 가질 수 없다. 동사 (A)와 (B)는 주어 자리에 올 수 없다.
어휘: confirm 확인하다, 분명히 하다 retention 유지, 보유
정답: (C)
5. People who prefer quiet places tend to stay at ――― vacation retreats not frequented by travelers.
(A) casual
(B) formal
(C) secluded
(D) regular
해석: 조용한 곳을 선호하는 사람들은 여행객들에 의해 자주 방문되지 않는 외딴 휴양지에 머무는 경향이 있다.
해설: 형용사 어휘 문제
'조용한 곳을 선호하는 사람들은 여행객들에 의해 자주 방문되지 않는 외딴 휴양지에 머무는 경향이 있다'라는 문맥이 되어야 하므로 '외딴, 한적한'이라는 뜻의 형용사 (C) secluded가 정답이다. 참고로 (A) casual은 '건성의, 대충하는', (B) formal은 '공식적인, 형식적인', (D) regular는 '정기적인, 규칙적인'의 의미임을 알아둔다.
어휘: prefer 선호하다 retreat 휴양지, 조용한 곳 frequent 자주 방문하다
정답: (C)
6. The freelance journalist incorporated all of the editor's suggestions ――― her article to improve her travel story.
(A) through
(B) until
(C) among
(D) into
해석: 그 프리랜서 기자는 자신의 여행기를 개선하기 위해 편집자의 모든 제안을 자신의 기사에 포함시켰다.
해설: 전치사 관련 어구 채우기 문제
'프리랜서 작가는 모든 제안을 자신의 기사에 포함시켰다'라는 문맥이 되어야 하므로 빈칸 앞의 동사 incorporate와 함께 쓰여 '~에 포함시키다, 통합시키다'라는 의미의 어구를 완성하는 전치사 (D) into가 정답이다. (incorporate A into ~: ~에 A를 포함시키다, 통합시키다) (A) through는 '~을 통해, ~사이로', (B) until은 '~ 까지', (C) among은 '~ 중에, ~의 가운데에'의 의미임을 알아 둔다.
어휘: freelance journalist 프리랜서 기자 editor 편집자 improve 개선하다, 향상시키다
정답: (D)
7. To standardize the way that abstracts are written, a guideline for ――― project proposals will be issued next week.
(A) summary
(B) summarize
(C) summarizing
(D) summarily
해석: 개요가 쓰여지는 방법을 통일하기 위해, 다음 주에 기획안을 요약하는 것에 관한 지침이 발표될 것이다.
해설: 동명사 채우기 문제
전치사(for)의 목적어 자리에 올 수 있는 것은 명사 (A) 또는 동명사 (C)이다. 이 중 뒤에 목적어(project proposals)를 가질 수 있는 것은 동명사이므로 (C) summarizing이 정답이다. 명사 (A)는 목적어를 가질 수 없고, 동사 (B)와 부사 (D)는 전치사의 목적어 자리에 올 수 없다.
어휘: standardize 통일하다, 표준화하다 abstract 개요, 요약 guideline 지침 project proposal 기획안, 프로젝트 제안서
정답: (C)
8. During the workshop, team members are expected to assist ――― in completing a brief presentation for group evaluation.
(A) the other
(B) each other
(C) other
(D) either
해석: 워크샵 동안, 팀원들은 집단 평가를 위한 간단한 발표를 완료하는 것에 있어 서로 도울 것으로 기대된다.
해설: 관용 표현 채우기 문제
'워크샵 동안, 팀원들은 서로 도울 것으로 기대된다'라는 의미가 되어야 하므로 '서로'를 뜻하는 관용 표현 (B) each other가 정답이다. (A) the other는 '정해진 것 중 남은 것 하나', (D) either는 '(둘 중) 어느 한 쪽'을 의미하므로 각각 '팀원들은 나머지 하나를/어느 한 쪽을 도울 것으로 기대된다'는 어색한 문맥이 된다. (C) other는 형용사로만 쓰여 뒤에 반드시 명사가 와야 하므로 답이 될 수 없다.
어휘: assist 돕다 brief 간단한, 짧은 evaluation 평가
정답: (B)
콘텐츠 제공: 해커스어학원
해커스토익 RC 대표강사 김동영
HACKERS TOEIC X 코리아타임스위클리
☞ 언제 어디서나 영어+한글로 '진짜 외신 WORLD NEWS' 읽기
■ 모바일: m.koreatimes.co.kr/weekly.htm
☞ NAVER x 코리아타임스위클리 'DAILY 시사 영어퀴즈 by지미홍' 신규 런칭
■ 모바일: wquiz.dict.naver.com/endic/news/home.di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