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Visitors walk through a field of rape blossoms on southern resort island of Jeju, Wednesday. 수요일, 관광객들이 남부 휴양지인 제주도에 있는 유채꽃밭을 걷고 있다. /Yonhap |
A mother of two children, identified as Kang, used to travel to Jeju Island in late December to celebrate New Year's Eve, lured by its natural attractions and convenient accommodation.
강 모 씨로 알려진 두 아이의 엄마는 12월 말이면 새해맞이를 위해 자연적인 볼거리와 편리한 숙소에 이끌려 제주도로 여행을 가곤 했다.
However, the southern resort island no longer makes her list of year-end vacation destinations as she is turning her attention to other sightseeing spots in nearby countries.
하지만 그녀가 인근 국가의 다른 관광지로 관심을 돌리자, 이 남부의 휴양을 위한 섬은 더 이상 그녀의 연말 휴양지 목록에 들지 못하고 있다.
"Whenever we visited Jeju Island, it was same old, same old. Even though it is recognized as the No. 1 tourist destination in Korea, I think it is not living up to that reputation," she said.
그녀는 "제주를 방문할 때마다 똑같은 옛 모습이었다. 국내 관광지 1위로 알려져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런 명성에 부응하지 못 하는 것 같다"고 말했다.
Like her, more Koreans, as well as foreign tourists, are turning their backs on Jeju due to a lack of content to encourage tourists to revisit the island.
그녀처럼 제주도에 대한 관광객들의 재방문 장려를 위한 콘텐츠 부족으로 내국인뿐만 아니라 외국인 관광객들도 제주에 등을 돌리고 있다.
"Despite its natural advantages, I think Jeju is failing to take advantage of them at all. Even some museums such as the Teddy Bear Museum, the Hello Kitty Museum and the Museum of Sex and Health bear no relation to the island," said Howard Kim, a public relations director who often travels to neighboring countries for vacation. "It needs to come up with attractions that are more like Jeju."
휴가 때 종종 이웃 나라로 여행을 가는 하워드 김 홍보 이사는 "자연적인 장점에도 불구하고 제주도는 이를 전혀 활용하지 못하고 있는 것 같다. 심지어 테디베어 박물관, 헬로키티 박물관, 건강과 성 박물관 등 일부 박물관도 섬과 무관하다"고 말했다. 그는 "더 제주도다운 볼거리를 마련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Some market watchers say Jeju tourism's heyday is nearing its end or it is already past its prime, as evidenced by many indicators.
많은 지표에서 알 수 있듯이, 일부 시장 전문가들은 제주 관광의 전성기가 막바지에 이르거나 이미 전성기를 지났다고 말한다.
According to the Jeju Special Self Governing Provincial Tourism Association, the number of visitors to Jeju surpassed 5 million in 2005 for the first time and the resort island ushered in the era of "mega tourism" in 2013, with the figure topping the 10 million mark.
제주특별자치도 관광협회에 따르면 2005년 제주 방문객이 처음으로 500만 명을 돌파했고 2013년에는 제주관광이 '메가 투어' 시대를 열었다.
Three years later, more than 15 million traveled to Jeju, tallying 15.9 million visitors.
3년 후, 1,500만 명 이상이 제주를 여행했고, 총 1,590만 명의 방문객을 기록했다.
However, the achievement turned out to be short-lived as it fell below the 15 million marks in the most recent two years ― 14.7 million in 2017 and 14.3 million in 2018.
그러나 이 같은 성과는 2017년 1,470만 명, 2018년 1,430만 명 등 최근 2년간 1,500만 명 선 아래로 떨어지며 단명한 것으로 드러났다.
It was the first time ever that the number of tourists to Jeju declined for the second straight year since the data collection began in 1962.
제주 관광객 수가 2년 연속 감소한 것은 1962년 자료 수집이 시작된 이후 처음이다.
"Recently, more Koreans are opting for affordable overseas destinations over Jeju Island," said an official of the local tourism industry, giving such examples as Macao, Japan and Southeast Asia.
국내 관광업계의 한 관계자는 "최근 제주도를 대신해 저렴한 해외 여행지를 찾는 한국인이 늘고 있다"고 말하며 마카오, 일본, 동남아 등의 예시를 들었다.
KEY WORDS
■ lured by ~에 유혹된, ~에 이끌린
■ sightseeing 관광
■ live up to (기대 등) ~에 부응하다
■ turn one's back to[on] 등을 돌리다
■ take advantage of ~을 이용하다
■ come up with ~을 제시하다, 생각해내다
■ heyday 전성기
■ usher something in ~이 시작되게 하다
■ tally 기록, 총계를 내다
코리아타임스위클리 - 지미홍 편집장
"시사와 영어를 한 번에"
KOREA TIMES WEEKLY
☞ 언제 어디서나 영어+한글로 뉴스 읽기
■ 모바일: m.koreatimes.co.kr/weekly.ht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