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y Kim Bo-eun
Middle and high schools in Seoul will no longer have native English-speaking assistant teachers, as they will be replaced by Korean teachers in an effort to have classes focus on comprehension and grammar.
The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SMOE) said Monday it will slash the number of assistant teachers at high schools from the current 180 to 20 to 30 next month.
The remaining teachers will work at international high schools and schools focusing on English.
The office also plans to cut the number of native English-speaking assistant teachers at middle schools from 260 to four by next February.
The office has decided to take the measures as enhancing speaking skills is not the priority at secondary schools, which focus more on reading comprehension skills and grammar. However, the teachers will remain at elementary schools, as the English classes there are based on speaking.
The opinion of the parents of secondary school children were also reflected, as they were found to have a preference for English teachers who are Korean.
According to a survey of 11,900 parents, 62.2 percent of the respondents said that an ideal English teacher would be “a skilled Korean instructor who is able to speak good English.”
“It is practically impossible to maintain the current number of assistant teachers, as the city council has already cut the budget. Moreover, the number of young Korean teachers who’ve studied abroad have increased and the certification for Teaching English in English (TEE) is now widespread, so the quality of the English classes will not drop,” said an official.
If the current instructors wish to continue teaching, their teaching records and teaching material will be evaluated.
The native speaking instructors are also currently hired by Seoul City and local authorities and dispatched to schools. SMOE said that the teachers employed by the city and local authorities would also be subject to the cuts with the exception of the Gangnam district which has decided to have 20 instructors.

서울 중ㆍ고교서 원어민 보조교사 사라진다
내년 2월까지 전원 감축…일부 자치구ㆍ초교만 존치
"회화 유창ㆍ수업 능통 韓영어교사 선호도 높아"
올해를 마지막으로 서울의 중ㆍ고등학교에서 원어민 영어 보조교사가 사실상 사라진다.
서울시교육청은 "원어민 영어 보조교사를 초등학교에서만 운영하고 시내 중ㆍ고교에 배치된 인력을 내년 2월까지 전원 감축하기로 했다"고 30일 밝혔다.
시교육청은 당장 다음달까지는 고교의 원어민 영어 보조교사 180여명 중 서울국제고와 영어 중점학교 10곳에 필요한 인원 20∼30명만 빼고 모두 없애기로 했다.
이어 내년 2월까지는 중학교에 있는 원어민 보조교사 260여명 중 영어 중점학교에서 일할 4명만 제외하고 전원 감축한다.
원어민 영어 보조교사가 한국 체류를 더 원하면 복무ㆍ자료개발 실적과 수업 실기를 평가하는 심사를 거쳐 초교로 재배치한다.
이번 조치는 원어민 보조교사가 기초 회화 중심의 초교 수업에서는 성과가 좋지만 독해ㆍ문법 비중이 커지는 중ㆍ고교에서는 효과가 떨어진다는 지적에 따른 것이다.
학부모가 한국인 영어 교사를 선호하는 경향도 이번 조치에 영향을 미쳤다.
서울시교육청이 지난해 학부모 1만1천900여명에게 설문한 결과 응답자의 62.2%가 바람직한 영어 교사로 '영어 회화 실력이 좋고 수업을 잘하는 한국인 교사'를 꼽았다.
원어민 보조 교사는 서울시교육청 외에도 서울시(초 118명, 중 50명)와 자치구(초 121명, 중 36명 고 5명)가 별도로 고용해 학교에 지원한다.
시교육청은 시ㆍ구가 채용한 중ㆍ고교 보조교사도 중학교 인원 20명을 유지키로 한 강남구 등을 제외하고 연내에 모두 감축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1995년 도입된 원어민 보조 교사는 '체류비, 항공료 등 비용대비 효과가 낮다'는 지적과 '공교육이 회화 수업을 책임진다는 점에서 쓸모가 있다'는 주장이 엇갈려 논란이 적지 않았다.
서울시교육청 관계자는 "시의회에서 이미 예산이 삭감돼 인원 유지가 현실적으로 어렵다. 국외 연수 경험이 있는 젊은 한국인 교사가 늘어나는데다 TEE(영어로 하는 영어 수업) 인증제도 보급돼 공교육의 질이 낮아지지 않을 것으로 본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