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Containers are piled up at a harbor in Korea's largest port city of Busan, Wednesday, when the won-dollar exchange rate surged above the 1,380 won-level for the first time in more than 13 years. Yonhap 13년만에 처음으로 원·달러 환율이 1,380원 이상 치솟았던 지난 7일 한국에서 가장 큰 항구도시 부산에 있는 한 항구에 컨테이너들이 쌓여 있다. |
Kim says prolonged trade deficit could be perceived as sign of economic crisis
김진일 교수, "무역수지 적자 장기화, 경제 위기 신호로 인식될 수 있어"
By Yi Whan-woo
A noted economic expert has called on the Korean government to raise its guard against a possible economic crisis, as the Korean economy is facing challenges similar to those of the 2008-2009 global financial crisis.
한 저명한 경제 전문가는 한국 경제가 2008-2009년 글로벌 금융 위기와 유사한 도전에 직면해 있다며 경제 위기에 대한 준비태세 강화를 한국 정부에 촉구했다.
Kim Jin-il, a former U.S. Federal Reserve economist, pointed out that the five-month-long trade deficit Korea has suffered, which is rare, could be perceived from abroad as a sign of a possible crisis if it is protracted.
김진일 전 미국 연방준비제도 경제학자는 한국이 지난 5개월 동안 겪었던 드문 무역수지 적자 상황이 장기화될 경우 해외에서 위기의 징후로 인식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Also an economics professor at Korea University, Kim assessed that Asia's fourth-largest economy is currently undergoing turbulent times that are comparable to the 2008-2009 global financial crisis.
고려대 경제학과 교수이기도 한 김 교수는 아시아 4위 경제 대국이 현재 2008~2009년 글로벌 금융위기에 버금가는 격동의 시기를 겪고 있다고 평가했다.
"The negative balance of trade can raise doubts over Korea's economic fundamentals outside the country if it persists," Kim said in a recent interview with The Korea Times.
김 교수는 최근 코리아타임스와의 인터뷰에서 "무역수지 적자가 지속된다면 대외경제 기반에 의문이 제기될 수 있다"고 말했다.
His remarks came as Korea logged a trade deficit for the fifth consecutive month in August — for the first time since 2008.
김 교수는 한국이 2008년 이후 처음으로 8월에 다섯 달 연속 무역 적자를 기록하자 해당 발언을 했다.
The deficit amounted to a record $9.47 billion in August, as imports soared 28.2 percent year-on-year to $66.15 billion to outpace exports, which have been slowing down in terms of growth. Outbound shipments increased 6.6 percent year-on-year to $56.6 billion.
8월 무역수지 적자는 94억7000만달러로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수입은 전년 동기 대비 28.2% 증가한 661억5000만달러로 성장세가 둔화 중인 수출을 앞질렀다. 국내 전체 수출액은 전년 대비 6.6% 증가한 566억 달러를 기록했다.
"The trade deficit is not at a worrisome level so far, but it could be perceived as a sign of serious damage to the Korean economy if it does not improve," Kim said.
김 교수는 "현재까지는 무역적자가 우려할 만한 수준은 아니지만 개선되지 않으면 우리 경제에 심각한 피해가 있다는 신호로 인식될 수 있다"고 말했다.
The trade balance is one of the multiple economic indicators that has deteriorated to its worst level since either of the two events that battered the Korean economy: the 1997-1998 Asian financial crisis and the 2008-2009 global financial crisis.
무역수지는 1997-1998년 아시아 금융 위기와 2008-2009년 글로벌 금융 위기라는 한국 경제를 강타한 두 사건 이후 최악 수준으로 악화된 여러 경제 지표 중 하나다.
These indicators include: the growth rate, consumer prices, the won-dollar exchange rate, the foreign exchange reserve and shortterm foreign debt.
이러한 지표에는 성장률, 소비자 물가, 원·달러 환율, 외환 보유고 및 단기 외채가 포함된다.
While the Bank of Korea (BOK) lowered its 2022 economic growth forecast to 2.6 percent from 2.7 percent in its latest revised outlook, concerns linger over inflation as consumer prices jumped 5.7 percent in August from a year earlier. The Korean currency declined below the 1,380- won level against the U.S. dollar for the first time in more than 13 years on Wednesday, while the ratio of short-term foreign debt compared to Korea's foreign exchange reserves has surged to its highest level in 10 years.
한국은행은 2022년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2.7%에서 2.6%로 하향 조정했지만, 8월 소비자 물가가 전년 동기 대비 5.7% 급등하면서 인플레이션 우려는 여전하다. 수요일 원·달러 환율은 13년여 만에 달러 대비 1,380원 아래로 떨어졌고, 외환보유고 대비 단기외채 비중이 10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KEY WORDS
■ prolong 연장시키다, 연장하다
■ deficit 적자
■ perceive 감지[인지]하다
■ call on 요청하다, 촉구하다
■ raise one's guard 주의 깊게 준비하다
■ point out 지적하다
■ protract 오래 끌다, 연장하다
■ undergo (특히 변화·안 좋은 일 등을) 겪다
■ turbulent 격동의, 격변의
■ persist (끈질기게) 계속하다
■ log 일지에 기록하다
■ consecutive 연이은
■ amount to (합계가) ~에 이르다
■ outpace 앞지르다, 앞서다
■ outbound (어떤 장소에서) 떠나는
■ year-on-year 전년 대비
■ indicator 지표
■ outlook 전망
■ linger (예상보다 오래) 계속되다
기사 원문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