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Young tenants pose for a photo at Sinheung Market in Haebangchon, central Seoul, Monday. From left are leather craftsman Park Ki-dong, jewelry designer Kim Sae-rom and cafe owner Jang Kyung-Hoon. 젊은 세입자들이 지난주 월요일 서울 중심부 해방촌의 신흥시장에서 포즈를 취하고 있다. 왼쪽부터 가죽공예가 박기동씨, 주얼리디자이너 김새롬씨, 카페 주인 장경훈씨. [코리아타임스] |
Sinheung Market, a small U-shaped alley at the top of the hill in Haebangchon, central Seoul, strikes an uncanny balance between old and new.
서울 중심부, 해방촌 언덕 꼭대기에 있는 U자 모양의 신흥시장은 오래됨과 새로움 사이에 묘한 균형을 보여준다.
Workshops selling artisanal goods line the ground floors of half-a-century-old brick buildings. The butcher's shop sits right next to a glass-walled Thai restaurant cloaked in white linen curtains. N Seoul Tower looms above the unfinished roof frames covering the street.
벽돌로 지어진 50년 된 건물들 1층에 수공예품을 파는 공방들이 줄지어 있다. 하얀 리넨 커튼으로 가려진 유리 벽의 태국 음식점 바로 옆에는 정육점이 있다.
Burrowed into a wall left of the entrance, a small room churns out bags of sweaters. In the 1970s, the area was full of family-run businesses that supplied knitwear to the Namdaemun clothing market at the northern foot of Mount Nam.
입구 왼쪽의 벽을 비집고 들어가면, 작은방에서 많은 스웨터가 만들어지고 있다. 1970년대에 이 지역은 남산의 바로 북쪽에 있는 남대문 의류시장으로 니트의류를 공급하는 가족 경영 업체들로 가득했다.
In those days, Sinheung Market was packed with people. Women who worked in these small factories bought their groceries here before returning home.
그 당시만 해도 신흥시장은 사람들로 꽉 찼다. 작은 공장들에서 일하던 여성들은 퇴근길에 이곳에서 식료품을 사 갔다.
But as the knitwear business trickled to a stop in the 1980s ― mostly due to competition from China ― the market died with it.
그러나 니트의류 사업이 1980년대에 들어와 중국과의 경쟁으로 인해 사양산업이 되자 시장도 함께 죽었다.
In November 2016, Sinheung Market's landlords and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struck a deal to salvage the dying market: The city would use taxpayer money to renovate buildings and roads. In return, all 44 landowners agreed not to raise rent prices for at least six years to protect tenants from the subsequent rise in property prices.
2016년 11월, 신흥시장의 임대주들과 서울특별시청은 죽어가는 시장을 살리기 위해, 세금을 도로와 건물 재정비에 사용하기로 합의했다. 대신에 44명의 임대주들은 부동산 가격 상승으로부터 임차인을 보호하기 위해 6년간 임대료를 올리지 않기로 약속했다.
The city's plan is to attract young craftsmen and create an art market.
서울시의 계획은 젊은 공예가들을 끌어들여 예술 시장을 만드는 것이다.
Kim Sae-rom, a jewelry designer who opened her workshop in 2016, pays 400,000 won ($360) a month for a 30-square-meter space there.
2016년 신흥시장에 공방을 연 주얼리 디자이너 김새롬 씨는 30㎡의 공간임대료로 1달에 40만 원을 내고 있다.
코리아타임스위클리 - 홍지민 편집장
"시사와 영어를 한 번에"
KOREA TIMES WEEKLY
![]() |
A street view of Sinheung Market on Monday afternoon. 월요일 오후 신흥시장의 모습 [코리아타임스] |
![]() |
Young people walk in Sinheung Market, Monday. 월요일, 젊은이들이 신흥시장을 걷고 있다. [코리아타임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