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North Korea recently jammed GPS signals in South Korea in an apparent bid to disrupt Seoul's annual military drills with U.S. forces, government sources said Sunday.
GPS signals in Seoul and nearby cities, including Incheon and Paju, were temporarily disrupted on Friday afternoon, causing mobile phones and certain military equipment in the area to malfunction, the sources said.
"My understanding is that errors were detected in a very few equipment within the telecom industry," a defense official said. "Some measurement equipment in artillery units was also affected but only very slightly."
The jamming signals are thought to have come from vehicle-mountable devices at military units north of the inter-Korean border. Former Defense Minister Kim Tae-young said in October that he had intelligence that the communist regime had imported from Russia such devices capable of jamming GPS signals.
"The jamming signals came sporadically every five to 10 minutes," an intelligence official said, adding that North Korea was likely testing its imported devices.
Defense and intelligence officials said they suspect the jamming was aimed at disrupting the annual Key Resolve military drills between South Korean and U.S. forces, which started four days before the malfunctioning incident.
It also came nearly a week after North Korean representatives at the inter-Korean border village of Panmunjom repeated their threat against the drills, saying their armed forces would launch "an all-out war of unprecedented scale" and turn Seoul into "a sea of fire" if provoked. (Yonhap)

"북한 해주.개성지역서 GPS 교란전파 발사"
지난 4일 수도권 서북부 일부 지역에서 발생한 위성 위치정보시스템(GPS)의 수신장애 현상은 북한지역에서 발사된 GPS 교란 전파 때문인 것으로 알려졌다.
6일 정부와 군, 관련업계에 따르면 서울과 인천, 파주 등 수도권 서북부 지역 기지국에서 GPS 수신에 일시적 장애가 발생한 날 북측 지역에서 강한 통신교란 전파가 날아온 것이 포착됐다.
이 교란 전파 발신지는 군사분계선(MDL)과 인접한 해주와 개성 지역의 군부대로 분석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정보당국의 한 관계자는 "교란 전파가 5~10분 간격으로 간헐적으로 발사됐다"면서 "북한이 전파를 지속적으로 발사하지 않고 짧게 간헐적으로 쏜 것으로 미뤄 해외에서 도입한 GPS 전파 교란장비를 시험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해 김태영 전 국방장관은 작년 10월 국회 국방위의 국정감사에서 "북한이 50~100㎞의 범위에서 GPS 전파교란을 할 수 있고, 재밍(jamming.전파교란) 능력이 있다는 첩보가 있다"며 "북한이 러시아에서 수입한 차량 탑재장비로 교란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고 답변했다.
북한의 전파 교란과 관련해 지난 4일 오후 4시께부터 한동안 GPS를 활용한 휴대전화 시계가 맞지 않거나 통화 품질이 저하되는 등 현상이 일어났지만 피해 수준은 경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당국의 다른 관계자는 "수도권에 보급된 휴대전화를 비롯한 포병부대의 계측기 등 아주 일부 장비에서 장애현상이 있었던 것으로 안다"면서 "이런 수준의 교란 전파는 우리가 충분히 제어하고 극복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 중"이라고 강조했다.
군 관계자도 "통신업계에서도 아주 일부 장비에 장애가 있는 수준으로 파악한 것으로 안다"며 "포병부대의 계산장비에도 일부 영향이 있었지만 극히 경미한 수준이었다"고 전했다.
군과 정보 당국은 북한의 전파 교란행위가 지난달 28일부터 오는 10일까지 진행되는 한미연합훈련인 '키 리졸브 연습'에 대응하려는 의도로 분석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작년 을지프리덤가디언(UFG) 연습 직후 전파 교란 행위가 있었고 이번에도 키 리졸브연습 기간에 전파를 발사했기 때문에 연습에 참가하는 우리 군과 미군의 통신장비를 교란하려는 의도라는 것이다.
앞서 작년 8월23일부터 25일까지 사흘간 전국 GPS 수신 및 감시국 29곳 가운데 전남 홍도에서 충남 안흥에 이르는 서해안 일부 지역에서 수시간 동안 전파 수신이 간헐적으로 중단되는 현상이 발생했었다.
한편 당국과 업계는 지난 3일부터 시작된 국내 주요 인터넷 웹사이트에 대한 분산서비스거부(디도스.DDoS) 공격에 대해서도 북한과의 연관성에 주목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