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Korea Times close
National
  • Politics
  • Foreign Affairs
  • Multicultural Community
  • Defense
  • Environment & Animals
  • Law & Crime
  • Society
  • Health & Science
Business
  • Tech
  • Bio
  • Companies
Finance
  • Companies
  • Economy
  • Markets
  • Cryptocurrency
Opinion
  • Editorial
  • Columns
  • Thoughts of the Times
  • Cartoon
  • Today in History
  • Blogs
  • Tribune Service
  • Blondie & Garfield
  • Letter to President
  • Letter to the Editor
Lifestyle
  • Travel & Food
  • Trends
  • People & Events
  • Books
  • Around Town
  • Fortune Telling
Entertainment
& Arts
  • K-pop
  • Films
  • Shows & Dramas
  • Music
  • Theater & Others
Sports
World
  • SCMP
  • Asia
Video
  • Culture
  • People
  • News
Photos
  • Photo News
  • Darkroom
  • The Korea Times
  • search
  • Site Map
  • E-paper
  • Subscribe
  • Register
  • LogIn
search close
  • The Korea Times
  • search
  • Site Map
  • E-paper
  • Subscribe
  • Register
  • LogIn
search close
National
  • Politics
  • Foreign Affairs
  • Multicultural Community
  • Defense
  • Environment & Animals
  • Law & Crime
  • Society
  • Health & Science
Mon, August 15, 2022 | 06:33
Naver
Nine N. Korean defectors originally headed for US, not S. Korea
"북송 탈북청소년 애초 목적지는 미국"
Posted : 2013-06-04 09:12
Updated : 2013-06-04 09:12
Print Preview
Font Size Up
Font Size Down
The United States was the original destination for nine North Korean defectors who were eventually sent back to their communist homeland, a human rights activist here said Monday, refuting a claim that they hoped to seek asylum in South Korea.

Controversy persists over who is responsible for the forced repatriation of the nine North Koreans, mostly in their teens, last week. After crossing the border to China in 2011, they moved to Laos, a usual stop for North Korean defectors hoping to resettle in the U.S. or South Korea.

But they were caught by the Lao authorities in May and deported to China, which regards North Korean defectors as economic migrants, not asylum seekers.

In Seoul, Korean activist Kim Hee-tae claimed that the nine defectors initially planned to seek asylum in the U.S. but the destination was changed to South Korea after they were arrested in Laos.

Kim said Suzanne Scholte, the head of the Defense Forum Foundation and the North Korea Freedom Coalition in Washington, is partly to blame for the failed attempt to help the defectors, as she advised them to try to enter the U.S. Embassy in Laos.

"That's just not true, and I can actually provide the written emails that prove that what he's saying is absolutely untrue," Scholte told Yonhap News Agency by phone.

If the nine people wanted to come to the U.S., they could have sought asylum in the U.S. along with a group of three other North Koreans who arrived here in February, she added.

Scholte said she joined the project to help 15 North Koreans holed up in China, many of whom are orphans.

Three of the youngest - 12, 13 and 16 years old - arrived in the U.S. through Thailand. Three others managed to resettle in the South last year.

"The determination was made with this group, there were three that we thought would be better off for settling in the U.S. and those three came here after a great deal of effort and work, but the remainder we felt were better off settling in South Korea. That was their destination," Scholte said.





"북송 탈북청소년 애초 목적지는 미국"

라오스에서 추방돼 강제 북송된 탈북 청소년 9명의 애초 목적지는 한국이 아니라 미국이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김희태 북한인권개선모임 사무국장은 3일 서울 중구의 한 음식점에서 하태경 새누리당 의원실과 북한인권개선모임 등이 주최한 기자간담회 직후 연합뉴스 기자와의 인터뷰에서 이같이 밝혔다. 

김 사무국장은 '이번에 (탈북 청소년들을 안내한) 주 목사는 탈북 청소년들을 라오스 주재 미국대사관을 통해 미국에 보내려고 계획했었다'라며 '하지만 지난달 10일 라오스 경찰에 체포되면서 계획을 한국행으로 급작스레 바꾸었다'고 주장했다.

그는 주 목사와 지난달 8일과 9일에도 통화를 했었다며 라오스 경찰에 체포되기 직전인 지난달 10일 오전까지 주 목사는 탈북 청소년들을 미국 대사관에 진입시킬 계획이었다고 말했다. 

그러나 주 목사는 일행이 라오스 경찰에 체포되고 나서 10일 오후께 한국행으로 계획을 바꿨다는 것이 김 사무국장의 주장이다. 

김 사무국장은 '한국 단체가 돈을 대는 애들은 한국에 데려오고, 미국에서 돈을 대는 애들은 미국에 데려가는 것이 원칙'이라며 '이번에 북송된 애들 9명도 미국의 수전 솔티 대표가 중국에서 먹이고 입히는 비용부터 이동 비용까지 다 댔기 때문에 미국행이 틀림없었다'고 주장했다.

이와 관련, 지난 4월 중순 중국 단둥 지역에 있는 주 목사의 거처를 방문해 탈북 청소년들을 만난 적이 있다는 한 대북 소식통도 '주 목사를 만났을 때 9명의 아이가 모두 미국으로 목적지가 결정됐다고 밝혔다'고 전했다.

이 소식통은 '솔티 대표는 구체적인 전략 없이 주 목사에게 '라오스에 가서 미국 대사관에 들어가기만 하면 된다'고 무책임하게 지시했다'라며 '주 목사는 경험이 없는 초행길로 애들을 데리고 가다가 경찰에 체포된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에 앞서 하태경 의원과 북한인권단체 관계자들은 이날 기자간담회에서 라오스 등에서 한국 재외공관이 탈북자들을 방치했던 사례 10여 건을 공개했다.

이 사례들 가운데 김 사무국장은 '2006년 12월 말 라오스 주재 한국대사관에 진입했던 탈북 여성 2명은 무장한 라오스 공안 3명에게 끌려갔다'며 '당시가 휴일이어서 닫혀 있던 대사관 청사 현관 손잡이를 20여분 잡고 있다가 체포됐다'고 주장했다.

그는 또 '2006년 11월 라오스 공안 당국에 붙잡힌 탈북 청소년 3명이 5개월 동안 비엔티안 감옥에 수감됐지만 한국대사관 관계자는 한 번도 면회를 하지 않았다'며 '언론에 보도된 이후에야 대사관이 움직이기 시작했다'고 비판했다.

하 의원은 '외교부에서 보고받은 바로는 라오스 주재 우리 공관 아무것도 하지 않은 것은 아니고 과거에 하던 매뉴얼대로 했다'고 밝혔다. 

하지만 그는 '아쉬운 것은 북한의 탈북자 정책이 강화되는 추세라는 것을 알았으면 새 정부 들어와서 새로운 지침을 세워 공관에 지시했어야 했다'라며 '(우리 공관이) 타성대로 했던 것이 문제'라고 지적했다.

외교부는 이같은 북한인권단체들의 주장에 대해 이날 외교관계 등을 고려해 평소 노출을 꺼리던 탈북자 사건을 이례적으로 상세히 공개하며 조목조목 반박했다.

외교부 당국자는 탈북자들이 대사관에서 문전박대를 당하다 무장한 라오스 공안에게 잡혀갔다는 주장에 대해 '공관 경비원들이 신분증이 없는 외부인사 진입을 제지하려다 탈북자들의 완강한 저항으로 관련국 경찰 협조를 얻어 강제 퇴거시킨 것'이라면서 '이후 이들의 신분을 파악해 안전하게 국내로 이송했다'고 설명했다.

외교부는 다른 사례에 대해서도 당시 필요한 조치를 충분히 취했으며 이에 따라 국내 이송도 이뤄졌다고 밝혔다.
 
LG
  • Korean blockchain operators urged to enhance vigilance against accidents
  • City goes into festival mode during Seoul Festa
  • Yoon set to unveil 'audacious plan' for North Korea's denuclearization
  • Traveling on the Han River in the 19th Century: Part 2
  • Fears of lengthy COVID-19 resurgence loom large
  • More tourists opt to visit Jeju Island by ferry
  • Ex-USFK commander rejects China's claims over THAAD
  • Will Samsung heir be promoted to chairman?
  • Seoul E-Prix thrills racing fans in Korea
  • KOICA seeks support for Busan's bid to host World Expo
  • Interactive News
  • With tough love,
  • 'Santa dogs' help rebuild burnt forests in Andong
  • 'Santa dogs' help rebuild burnt forests in Andong
  • A tale of natural wine
    • Death of young webtoon artist sparks controversy over harsh working conditions Death of young webtoon artist sparks controversy over harsh working conditions
    • Reality shows go abroad again amid eased COVID-19 travel restrictions Reality shows go abroad again amid eased COVID-19 travel restrictions
    • Late Samsung chairman's collection highlights painter Lee Jung-seop as family man Late Samsung chairman's collection highlights painter Lee Jung-seop as family man
    • From P1Harmony to Zico, K-pop hotshots to perform in Abu Dhabi next month From P1Harmony to Zico, K-pop hotshots to perform in Abu Dhabi next month
    • [INTERVIEW] Actor Ko Kyoung-pyo explains why he doesn't obsess over lead roles [INTERVIEW] Actor Ko Kyoung-pyo explains why he doesn't obsess over lead roles
    DARKROOM
    • Ice is melting, land is burning

      Ice is melting, land is burning

    • Tottenham 6-3 Team K League

      Tottenham 6-3 Team K League

    • Afghanistan earthquake killed more than 1,000

      Afghanistan earthquake killed more than 1,000

    • Divided America reacts to overturn of Roe vs. Wade

      Divided America reacts to overturn of Roe vs. Wade

    • Namaste: Yogis to celebrate International Yoga Day

      Namaste: Yogis to celebrate International Yoga Day

    The Korea Times
    CEO & Publisher : Oh Young-jin
    Digital News Email : webmaster@koreatimes.co.kr
    Tel : 02-724-2114
    Online newspaper registration No : 서울,아52844
    Date of registration : 2020.02.05
    Masthead : The Korea Times
    Copyright © koreatimes.co.kr. All rights reserved.
    • About Us
    • Introduction
    • History
    • Location
    • Media Kit
    • Contact Us
    • Products & Service
    • Subscribe
    • E-paper
    • Mobile Service
    • RSS Service
    • Content Sales
    • Policy
    • Privacy Statement
    • Terms of Service
    • 고충처리인
    • Youth Protection Policy
    • Code of Ethics
    • Copyright Policy
    • Family Site
    • Hankook Ilbo
    • Dongwha Grou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