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total amount of damage reported by victims of phone fraud in Seoul jumped 10 times this year compared to five years ago, police said Thursday, warning against the risks of new scams.
About 37.4 billion won ($32.4 million) worth of damage was reported this year in Seoul, up from 3.8 billion won in 2006, according to the Seoul Metropolitan Police Agency. The number of phone fraud cases, also known as voice phishing, increased from 475 to 3,252 over the same period.
More damage was reported in the second half than in the first half of this year, with the average amount reaching 15 million won per case from 10 million won in the first half, the police said. This was due to a series of new scams, which included the use of Web sites disguised as those of public organizations, they said.
In recent months, scammers also posed as university admissions officials, ordering victims by phone to transfer money as they had been admitted to the school.
In most cases, victims of voice phishing receive random phone calls from swindlers who pose as officials and alert them to problems with their bank accounts. They are then ordered to transfer their entire account balances to other accounts, which scammers siphon off. Most of the scam operators are ethnic Koreans in China who speak fluent Korean.
Victims are now able to retrieve their stolen money more easily under a special law that took effect in September, but only before the money has been withdrawn. (Yonhap)

보이스피싱 피해액 5년새 10배…수법도 진화
서울지역 올해 374억 사기
"대학수시 추가합격했으니 송금.." 전화도
경찰과 당국의 보이스피싱 단속에도 피해는 계속 늘고 있어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29일 서울지방경찰청에 따르면 4분기(12월16일 기준) 서울 지역 보이스피싱 피해 발생 건수는 전 분기 864건보다 17% 늘어난 1천12건에 달했으며 피해액은 총 152억원이 넘는 것으로 집계됐다.
하반기 발생 건당 피해액은 평균 약 1천500만원으로 상반기 1천만원보다 500만원 가량 늘어난 것으로 파악됐다. 이는 가짜 공공기관 사이트와 결합한 신종 카드론 사기 수법으로 피해가 많이 발생한 데 따른 것이라고 경찰은 설명했다.
보이스 피싱은 2006년도 475건이 발생, 피해액이 약 38억원에 그쳤지만 2011년에는 건수가 3천252건으로 늘어났고, 피해액도 10배 정도로 증가한 374억원에 달했다.
또 최근 대학 입시철을 맞아서는 대학입학처를 사칭한 전화로 '수시모집에 추가 합격했으니 지정계좌로 돈을 입금하라'고 속이는 사례가 등장하는 등 수법이 점점 교묘해지고 있다.
경찰은 공공기관이나 금융기관에서 절대 전화로 개인정보나 금융정보를 묻지 않는다며 현금인출기로 유도하는 전화는 100% 보이스피싱 전화이므로 곧장 112에 신고할 것을 당부했다.
경찰은 ▲기관 홈페이지 주소를 알려줘 접속을 유도하면 포털사이트 등을 통해 주소를 다시한번 확인하고 ▲평소 사용하지 않는 신용카드의 카드론을 차단하거나 한도를 '0원'으로 설정하며 ▲계좌 입·출금 통보서비스에 가입해야 한다고 안내했다.
또 112에 신고하면 돈을 입금한 계좌에 대해 지급정지를 신청할 수 있으며, 범인이 인출 못 한 피해금은 '전기통신금융사기 피해금 환급에 관한 특별법'에 따라 3개월 내에 돌려받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경찰은 국내에서 활동하는 송금·인출책을 소탕하기 위해 추적수사를 벌이는 한편 발신번호 변조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업체를 지속적으로 단속하는 등 보이스피싱 범죄 예방 활동을 계속할 방침이다.
한편 서울경찰청 수사과는 이날 중국 전화금융사기 조직에 속은 국내 피해자 20여명이 송금한 돈 12억원을 인출해 사기단에 전달한 대가로 1천200만원을 받은 혐의로 A(18)군과 B(16)군 등 10대 2명을 구속했다. (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