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United States and North Korea are likely to hold their second round of nuclear disarmament talks later this month, after a summit meeting between the South Korean and U.S. presidents, a senior government official in Seoul said, stressing the allies' close cooperation on the issue.
Media speculation has been rife over the timing of the next meeting between Washington and Pyongyang, as multilateral efforts are underway to revive the long-stalled six-party talks on ending the North's nuclear weapons programs. Since July, South Korea and the U.S. have engaged in a series of bilateral talks with the North to discuss preconditions for the resumption of the six-way forum.
South Korea and the U.S. demand a halt to all nuclear weapons activities, including the North's recently revealed uranium enrichment program (UEP); a moratorium on nuclear and missile testing; and the return of U.N. inspectors to North Korea's nuclear sites. North Korea, meanwhile, is pushing for the unconditional resumption of the talks, which offer economic and political aid to the North in exchange for its nuclear disarmament.
The six-party negotiations, also involving China, Japan, and Russia, have been dormant since Pyongyang quit in April 2009 and conducted its second nuclear test a month later.
"I expect the U.S. and North Korea to hold their second round of talks (in October), but I don't think the date has been fixed yet," the South Korean official said Friday, speaking on condition of anonymity.
"I think they'll decide on the date after summit talks are over between President Lee and President Obama, and after the two nations coordinate their position," the official said during a workshop with reporters in Hwaseong, some 45 kilometers southwest of Seoul.
President Lee Myung-bak is scheduled for summit talks with his U.S. counterpart in Washington on Oct. 13. The two sides are expected to discuss their countries' alliance, economic cooperation and North Korea, according to the South Korean presidential office.
The official noted that if the six-party talks reopen, North Korea's UEP will be at the top of the agenda. Many fear that the facility gives North Korea a second way to build atomic bombs, in addition to its known plutonium-based program.
"North Korea argues it is part of its peaceful use of nuclear energy, but in fact the program allows them to (develop nuclear weapons) far more secretly than the plutonium-based program, so it is an important issue that needs to be resolved," the official said.
He also said the North's nuclear weapons drive affects the Koreas' reunification in the long run.
"Our country's economy ranks among the world's top 20 and the two Koreas' combined population is around 70-80 million. If (such a nation) possesses nuclear weapons, I don't think our neighbors will accept reunification," he said. (Yonhap)

"북미 후속대화, 한미 정상회담 이후 열릴듯"
이 달 초 열릴 것으로 예상돼 온 북미 후속대화가 중순 개최될 예정인 한미 정상회담 이후로 미뤄질 가능성이 큰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의 핵심 소식통은 "미국은 현재 북한과의 대화에 대해 서두르는 분위기가 아니다"라면서 "한미 정상회담까지 시일이 많지 않은 점을 고려해볼 때 정상회담 이후로 대화시기가 미뤄질 가능성이 커 보인다"고 말했다.
북미 양국은 당초 지난 21일 중국 베이징(北京) 제2차 남북 비핵화 회담 종료에 따라 이달 초 베를린, 제네바 등 유럽과 싱가포르 등 아시아의 제3국 도시에서 개최하는 방안을 협의해왔던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미국 측은 아직 대화 시기와 장소에 대해 정리된 입장을 밝히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미국 측은 북미 후속대화에서 한ㆍ미ㆍ일이 제시한 비핵화 사전조치에 대해 북한이 구체적으로 진전된 입장을 보여야 6자회담 재개가 가능하다는 입장을 정리한 것으로 알려졌다.
캐슬린 스티븐스 주한 미국대사는 27일 임기중 국내 언론과는 마지막으로 연합뉴스와 한 인터뷰에서 북미대화와 관련해 "말보다 행동이 중요하다"면서 "버락 오바마 대통령이 '목적의 진정성'(seriousness of purpose)이라고 부르는 진지함을 북한은 보여줘야 하며, 그것이 6자회담에 있어서 의미 있는 결과를 가져올 것"이라고 말했다.
우리 측 6자회담 차석대표인 조현동 외교통상부 북핵외교기획단장과 에드워드 케이건 미 국무부 한국과장은 지난 23일 서울에서 회동해 북미 후속대화의 방향에 대해 긴밀히 조율했다.
한편 북한 리용호 외무성 부상이 지난 21일 제2차 남북 비핵화 회담에서 경수로를 제공받을 경우 우라늄 농축 프로그램(UEP)을 중단할 수 있다는 뜻을 내비쳤다는 관측에 대해 정부 당국자는 "사실과 다르다"면서 "UEP 중단과 경수로 제공은 서로 등가 교환할 수 있는 성질의 것이 아니다"라고 부인했다.
이 당국자는 "UEP 중단은 6자회담이 열리기에 앞서 북한이 취해야 할 사전조치이며 경수로 제공은 북한의 핵포기 조치가 마무리된 이후 제공될 수 있는 카드"라면서 "서로 대가관계에 있지 않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