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Chilsanbong Cheonnyeonho of the North was hijacked near Somali waters on March 31 last year and has since been detained,” the Washington-based shortwave radio reported, quoting a report on ships taken by pirates in 2010 published by the International Maritime Bureau (IMB). “Nine sailors suffered wounds from armed pirates, while resisting their attack.”
Another North Korean freighter, Limho, was hijacked on its voyage through the Bay of Aden on Feb. 3 last year and was released after four months of negotiations, according to the report.
A total of nine North Korean merchant ships were captured or attacked by pirates since 2006 _ one each in 2006 and 2008, five in 2008 and two in 2010.
During the same period, as many as 12 South Korean ships suffered similar fates _ four in 2006, three in 2008, one in 2009 and four in 2010.
“Close international cooperation is urgently needed to cope with growing damage from pirates,” said RFA. “However, North Korea, which joined the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 (IMO) in 1986, has failed to pay annual fees of 30,000 euros since 2009, saying, ‘It is hard to actively work due to a change of diplomats at the embassy.’”

"北선박 1척, 소말리아 해적에 10개월째 억류중"
북한 선박 1척이 소말리아 해적에 납치돼 10개월째 억류 중이라고 미국 자유아시아방송(RFA)이 28일 전했다.
이 방송은 국제해사국(IMB)의 '2010년 해적과 무장강도에 의한 선박납치 보고서'를 인용, "지난해 3월31일 소말리아 근해를 지나던 북한의 칠산봉청년호가 해적에 납치돼 현재까지 억류 중"이라면서 "이 배의 선원 9명은 무장한 해적들에 저항하다가 부상했다"고 밝혔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2월3일에는 북한 선박 '림호'가 아덴만을 통과하다 역시 해적에 납치됐으나 4개월여만에 협상을 통해 풀려났다.
2006년 이후 해적에 의해 납치되거나 공격받은 북한 선박은 2006ㆍ2007년 각 1척, 2009년 5척, 2010년 2척으로 모두 9척이었다. 같은 기간 한국 선박은 2006년 4척, 2008년 3척, 2009년 1척, 2010년 4척 등 모두 12척이 해적 피해를 봤다.
RFA는 "해적 피해가 증가하고 해적들의 수법도 지능화돼 국제사회의 긴밀한 협력이 절실해졌다"면서 "하지만 지난 1986년 국제해사기구(IMO)에 가입한 북한은 '대사관 인사로 활동을 하기 어렵다'면서 2009년부터 3만 유로의 연회비를 내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