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Ui Stream in northern Seoul, previously a barren land, left, is now forested with trees. The trees form one of the wind paths which extends from Mount Bukan in northern Seoul. Courtesy of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서울 북부 우이천은 척박한 땅이었으나 지금은 나무로 우거져 있다. 사진 속 나무는 서울 북부 북악산에서 시작되는 바람길의 일부다. 서울시 제공 |
By Ko Dong-hwan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plans to expand the size of forested areas in the sprawling capital by 2025.
서울시는 점차 확산하는 수도권의 산림 면적을 2025년까지 확대할 계획이다.
The latest project is the city government's second bid to make the air in the metropolis cooler and cleaner by expanding forested areas. The first phase of the project was completed in 2021.
최근 사업은 도심 공기를 더 차갑고 신선하게 만들기 위한 시의 2차 산림 확장 사업이다. 1차 사업은 2021년에 완료됐다.
The main goal of the project is to create so-called wind paths consisting of trees that connect the mountains outside of Seoul to the city's inner regions dotted with buildings. According to the city government, fresh air generated from the mountains can be carried down to the inner city that often suffers from trapped heat, resulting in a lowering of temperatures and air pollutants.
사업 핵심 목표는 나무로 구성된 이른바 ‘바람길숲'을 조성해 서울 외곽 산림과 건물이 늘어선 도시 내부를 연결하는 것이다. 시에 따르면 산에서 생성된 신선한 공기는 열섬 현상에 종종 시달리는 도심으로 유입돼 기온은 낮추고 대기 오염물질은 줄일 수 있다.
The second project expands the number of trees planted in the first phase in two city zones ― from Mount Gwanak to Anyang Stream in southern Seoul, and from Mount Bukan to Ui Stream in northern Seoul. Starting this month, planning for the second project began and will be followed by the tree planting process during 2024-25.
2차 사업은 1차 사업에 이어 서울 남부 관악산에서 안양천까지, 북한산에서 서울 북부 우이천까지 2개 도시권에 심은 나무 수를 확대한다. 이번 달부터 2차 사업 계획이 시작됐고 2024~25년까지 나무 심기가 이어진다.
With 5 billion won ($3.76 million) in central government funding and another 5 billion won from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the second project will introduce new trees in 11 city districts amounting to 7.3 hectares. In the first phase, over 540,000 trees were planted in 6 city districts. The first wind paths were created on more than 189 hectares of land in the capital.
중앙정부 50억원과 서울시 50억원이 투입되는 2차 바람길숲 조성 사업은 11개 자치구 7.3㏊에 달하는 면적에 나무를 심는다. 1차 사업에서는 6개 자치구에 관목 54만주가 식재됐다. 최초의 바람길숲은 수도권 지역 189㏊ 넓이에 조성됐다.
According to the Environmental Planning Bureau under the city government's Climate and Environment Headquarters, there are three different types of wind paths. "Wind generating forests" indicate mountains where the paths scoop up the clean air.
서울시 기후환경본부 산하 기후환경정책과에 따르면 ‘도시 바람길 숲'은 세 가지 유형으로 조성된다. ‘바람생성숲'은 바람길이 신선한 공기를 끌어오는 산을 말한다.
"Path forests" act as a pipeline of trees (alongside streams, for example) between the mountains and the inner-city. "Expansion forests" spread the clean air delivered from the mountains throughout the city through parks, forested buildings and other trees in public facilities like schools.
‘연결숲'은 나무들이 (예를 들어, 개울을 따라) 형성하는 산림과 도심 사이 연결 통로 역할을 한다. '확산숲'은 산에서 유입된 맑은 공기를 공원, 건물 사이 나무, 학교 등 공공 시설에 있는 나무를 통해 도심 곳곳으로 확산시킨다.
KEY WORDS
■ expand 확장하다
■ sprawl 넓은 지역에 걸치다
■ bid 노력
■ consist of ~으로 이루어지다[구성되다]
■ generate 발생시키다
■ trap 가두다
■ amount to (합계가) ~에 이르다[달하다]
■ public facilities 공공 시설
기사 원문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