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Taking cues from Korean woodcut techqniues and their critical role in documenting democratic movements of the past, Malaysian collective Pangrok Sulap reinterprets similar images depicting collective resistance with fabric at the 14th edition of the Gwangju Biennale. Yonhap 말레이시아 작가 그룹 팡록 술랍은 한국 목판화 기술이 과거 민주화 운동 기록에 중요한 역할을 한 점에서 착안해 제14회 광주 비엔날레에서 천으로 집단 저항을 묘사하는 유사 이미지를 재해석했다. 연합 |
By Park Han-sol
GWANGJU ― Fluid and pliable, water yields to whatever change comes its way, ready to take on any form at all times. Its ability to embrace even seemingly impossible contradictions is what ultimately makes it an irresistible force of change.
광주 ― 유동적이고 유연한 물은 어떤 변화에도 적응하며 언제나 어떤 형태로든 변할 준비가 되어 있다. 불가능해 보이는 모순도 포용할 수 있는 물은 궁극적으로 저항 불가능한 변화의 힘으로 작용한다.
Perhaps it was only natural for this year's Gwangju Biennale, inspired by the chapter of a classical Chinese Daoist text that speaks of the transformative and embracive power of water, to be greeted by pouring rain during its opening ceremony held in Korea's southwestern city last week.
물이 가진 변화와 포용의 힘을 담은 도가 사상 기반 ‘도덕경'에서 영감을 받은 올해 광주비엔날레가 지난 주 한국 서남부 도시에서 쏟아지는 비와 함께 개막식을 맞이한 것은 어쩌면 자연스러운 일이었다.
Helmed by artistic director Lee Sook-kyung, senior curator of international art at London's Tate Modern, the 14th edition of Asia's longest-running survey of contemporary art uses "soft and weak" water as a glue to invite 79 artists who each strive to offer alternative views of history, breathe life into near-forgotten traditions or envision the future of humanity's relationship with nature.
영국 런던 테이트모던에서 국제미술 수석큐레이터로 일하는 이숙경 예술감독이 맡은 제14회 아시아에서 가장 오래된 현대미술 전시는 "부드럽고 여린" 물을 매개로 각각 작품을 만든 79명의 작가를 초청하여 제공된다. 역사에 대한 대안적인 관점, 거의 잊혀진 전통에 생명을 불어넣거나 인류와 자연과의 관계의 미래를 상상하면 된다.
The result is a tightly organized show that becomes a watery feast for both the eyes and ears.
결과적으로 눈과 귀가 모두 즐거운 축제와 같은 짜임새 있는 전시가 탄생했다.
At "Soft and Weak like Water," water, both real and digital, flows everywhere ― the main Gwangju Biennale Exhibition Hall, Gwangju National Museum, Mugak Temple, Horanggasy Artpolygon and Artspace House.
이번 전시회 ‘물처럼 부드럽고 여린'에서는 실제와 디지털의 물이 광주비엔날레전시관, 국립광주박물관, 무각사, 호랑가시나무 아트폴리곤, 아트스페이스 하우스 등에서 펼쳐진다.
Buhlebezwe Siwani's multimedia piece, unfurled at the exhibition hall as an overture of the biennale, is born from her practice as a "sangoma," or a spiritual healer in South Africa. Her three-channel video installation, "The Spirits Descend," surrounded by aromatic soil and vine-like wool ropes that take cues from the belts worn by Zion church members, is submerged in a clear pool of water, adding a poetic layer of blurriness to the filmed bodily performance.
이번 비엔날레의 서곡으로 제1전시관에서 펼쳐지는 불레베즈웨 시와니의 영상 작품은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영적 치유자 ‘상고마' 전수자인 작가의 실천에서 탄생했다. 3개의 영상으로 이뤄진 시와니의 영상 작품 ‘영혼강림'은 향기로운 흙과 시온 교인들이 착용한 허리띠에서 착안한 덩굴 같은 양털 밧줄로 둘러싸인 채 맑은 물에 잠겨 있어 신체적 움직임을 촬영한 작품에 시적 흐릿함을 더한다.
KEY WORDS
■ pliable 유연한
■ contradiction 모순
■ helm 지휘하다
■ feast 연회, 잔치
■ unfurl 펼치다
■ overture 서곡
■ take one's cue from ~가 하는 것을 보고 배우다
■ submerge 물 속에 잠기다
기사 원문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