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Members of Active Refugee Korea rally in front of Seoul Station on March 19 to commemorate International Day for the Elimination of Racial Discrimination. Courtesy of ARK 3월 19일 국제인종차별철폐의 날을 기념하기 위해 ‘행동하는 난민(Active Refugee Korea)' 회원들이 서울역 앞에서 집회를 하고 있다. 행동하는 난민(ARK) 제공 |
By Ko Dong-hwan
Social networking sites are ARK's main communication channels with the public.
소셜 네트워킹 사이트는 ‘행동하는 난민(ARK)'이 대중과 소통하는 주요 창구다.
The three Korean facilitators from ARK posted an ad on Facebook looking for foreign activists and met Bereket from Ethiopia, Dorcas from the Congo and Musab and Mariam from Egypt in 2021.
‘행동하는 난민(이하 ARK)'의 한국인 퍼실리테이터 3명은 2021년 페이스북에 해외 활동가 구인 광고를 올렸고, 에티오피아 출신 베레켓, 콩고 출신 도르카스, 이집트 출신의 무사브와 마리암을 만났다.
"We work as a team so everyone participates and shares ideas," Dorcas told The Korea Times at Dongjak FM, a public underground space run by Seoul's southern district office of Dongjak where, according to Bereket, foreign residents of the city often visit for private meetings.
도르카스는 서울 남부 동작구청이 운영하는 공공 지하 공간이자 외국인 거주자들이 사적인 회의를 위해 찾는다는 동작 FM에서 코리아타임스에 "우리는 팀으로 일하기 때문에 모두가 참여해 생각을 공유한다"고 전했다.
She declined to share with The Korea Times why she came to Korea 13 years ago, because she was "tired of repeatedly speaking about her dark past publicly."
도르카스는 자신이 13년 전 한국에 온 이유를 코리아타임스에 밝히기를 거부했는데 "공개적으로 자신의 어두운 과거를 반복적으로 이야기하는 것에 지쳤기" 때문이었다.
Stand up and fight
맞서 싸워라
ARK, which describes itself as an "ark for refugees from different countries," stands up to fight for their rights rather than conform to Korea's immigration system and local society, which can at times be relatively unaccepting and difficult to assimilate into.
스스로를 "여러 나라 난민들의 방주"라고 표현하는 ARK는 한국의 이민 제도와 현지 사회에 순응하기보다는 종종 상대적으로 수용하기 어렵고 동화되기 어려운 난민의 권리를 위해 싸운다.
"This is probably the first initiative in Korea which is jointly laid out by refugees and local Koreans," said Bereket.
베레켓은 ARK가 "난민과 현지 한국인이 공동으로 마련한 한국 최초의 시도"이라고 말했다.
A professional photographer and a freelance journalist for Pressenza, an international press agency, Bereket fled political usurpation in Ethiopia where he took part in a movement against a rising faction and came to Korea in 2014.
전문 사진작가이자 국제 뉴스통신사인 프레센자의 프리랜서 기자인 베레켓은 부상하는 파벌에 반대하는 운동에 참여했던 에티오피아에서의 정치적 강탈을 피해 2014년 한국에 들어왔다.
The Koreans and the foreign activists have different roles. The facilitators, using their familiarity with the country, arrange an "empty space" in the country, like a framework, for the rest of the members to fill with their own perspectives and values. This is how ARK strives to be strictly refugee-oriented instead of being planned and orchestrated by Koreans who support refugees.
한국인과 외국인 활동가가 맡은 역할은 각각 다르다. 퍼실리테이터는 자국에 대한 친숙함을 활용해 나머지 구성원들이 자신의 관점과 가치로 채울 수 있는 한국의 "빈 공간"을 찾아 틀로서 제공한다. 이것이 바로 ARK가 난민을 지원하는 한국인에 의해 계획되고 조정되는 대신 철저히 난민 중심으로 단체를 운영하는 방식이다.
"Sometimes it feels time-consuming, but we make some consensus where we can all do it together," Kang Eun-sook, one of the facilitators and the bookkeeper of ARK, said.
강은숙 ARK 진행자 및 회계 장부 담당자는 "때로는 시간이 많이 걸린다고 느끼지만 다 함께 할 수 있다는 공감대를 형성하고 있다"고 말했다.
KEY WORDS
■ channel (의사소통) 경로[수단]
■ decline (정중히) 거절하다, 사양하다
■ repeatedly 반복적으로
■ refugee 난민, 망명자
■ conform to ~에 따르다
■ assimilate into ~에 동화되다
■ jointly 합동으로
■ usurpation 강탈, 찬탈
■ faction 파벌, 파당
■ -oriented ~경향의[위주의]
■ orchestrate (세심히) 조직하다
기사 원문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