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Seoul Mayor Park Won-soon speaks during an interview with The Korea Times at his office on Thursday. Park said he will take long-term projects to make the capital more attractive to foreigners and tourists. / Korea Times photo by Shim Hyun-chul |
By Kang Hyun-kyungSeoul Mayor Park Won-soon has been pressing ahead with a variety of projects to make Seoul a more livable city.His style is a stark contrast to that of his predecessors. While former mayors Lee Myung-bak and Oh Se-hoon left large construction projects as their legacies, Park is doing his work without making much noise and causing as little conflict as possible with residents and interest groups.Park said he places top priority on listening to citizens and reflecting their opinions on city planning."My top goal is to make Seoul a city for the citizens themselves. And that is possible only when citizens actively participate in the planning," Park said in an interview.He said he will continue to communicate with citizens."Don't you feel that Seoul is quiet these days in terms of projects causing conflict or noise in communities? That's because we are implementing things after thorough consultation with residents," he said. "That's why communication is important and that's how residents are actively participating in various projects."Park said one of the most important tasks facing the capital is the widening development gap between the southern and northern regions of Seoul."We are preparing long-term plans to develop northern districts as a means to narrow the gap with the more affluent southern districts. Chiefs of four northern districts are collecting residents' opinions on how to develop their towns," Park said. "Process toward reaching a consensus is far more important than the content of any projects."Park has a far-sighted vision to transform the city into a culture-friendly, modern urban space with a well-thought-out plan.One such plan is to restrict the height of new apartments to be built alongside the Han River."We've lowered the maximum height of new apartments to 35 stories from 70 stories. Although there was some resistance against these kinds of restrictions, they will ultimately raise the quality of residents' lives," Park said.The 57-year-old mayor said his long-term urban planning guidelines will help future generations recreate a livable city while leaving cultural heritage intact.The city will hold a series of hearings on its long-term comprehensive urban planning guidelines.Park said his mayoralty signals the beginning of Seoul entering a modern age. Having taken office through the Oct. 26 by-election in 2011, the activist-turned-mayor has almost a year left in the job. The next mayoral election is scheduled for June of next year.Park characterized the period from 1945 to October 2011, before he was sworn in as mayor, as pre-modern days featuring urban development at the expense of cultural heritage."I think so because, before I assumed the position, there were lots of quick fixes and short-sighted plans dominated urban planning. The city authorities were overwhelmed by the influx of population from the rural areas to the capital city over the past decades," he said. "Now is the time for us to look in retrospect at what we did in those days and think seriously where we should be in 100 years, and put our thoughts into the urban planning."He said the city would list its historic sites and restore and preserve them to push for registering them as UNESCO cultural heritage items.Park lamented the disappearance of "Igansumun," a hundreds-of-years old water gate under the Cheonggyecheon (Cheonggye Stream) designed to steer the direction of waterways so they were diverted out of the city, during the restoration project while Lee Myung-bak was in office."We lost precious cultural heritage because of the hasty project," he said. Park seems energetic and tries to pay attention to every detail of the city.
He told a story highlighting his endeavors to fix inconveniences facing foreigners.
"One day, I saw a sign reading, ‘Under construction' in Korean, somewhere in Seoul while driving my car. It was written only in Korean. What the heck? Does that mean we do not care if foreigners who don't speak Korean fall in the hole that is under construction?"
The experience prompted the mayor to direct his staffers to change all signs, including road signs, so they are also marked in English, Japanese and Chinese.
Immigration
Park said Seoul, by any standards, is a global city as some 400,000 expats reside here but there are barriers that made it difficult for foreigners adjust to the city.
Park pledged the city will provide support for ethnic groups.
"I was told that a Japanese town is set to form in Sangam-dong near a Japanese school there. We are trying to figure out if there is need for our policy support for them," he said.
He said the city will try to help immigrants preserve their own culture and language.
The mayor made the point that it's time to upgrade current policy. "I think that we have done relatively well for people from the West. But I feel that we have not done enough for marriage migrants and migrant workers," he said. "We need to pay more attention to their children and education."
Park said foreigners who stop over at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for hours before they head to their final destination are one target group he would like to attract to Seoul.
Legacy
Unlike his predecessors, Park rarely uses big words but he seems talented at pitching his achievements.
Park stressed he felt no pressure from his over-achiever predecessors. Former President Lee Myung-bak renovated Cheonggyecheon. Oh strove to position Seoul as a global city by making huge investments in massive development projects.
Park downplayed his predecessors' legacy by using a rain analogy, noting that he felt no need to seek a signature project.
"Showers may cool people during summertime. But hours later they will soon feel it's scorching again," he said. "What drizzles do is quite the opposite. It takes time for people to know their clothing is wet because drizzle works slowly but helps the entire earth revive. This is what I would do as a mayor."
He indicated his legacy is to encourage people to be part of the metropolitan city, although he didn't use the term, legacy.
He called his leadership style "Wikipedia-like management" referring to the role of empowerment to pull the power of collective intellectualism together.
Who is Park Won-soon? Park Won-soon, 57, became mayor of Seoul after winning an election on Oct. 26, 2011, following the resignation of his predecessor Oh Se-hoon, who stood down after a failed referendum on providing free school meals for all students.
He was supported by Ahn Cheol-soo, an independent candidate currently running in a by-election for a seat in the National Assembly representing Nowon, Seoul slated for April 24.
Before becoming Seoul mayor, Park led the progressive civic group, the People's Solidarity for Participatory Democracy (PSPD), and its sister charity foundation, dubbed the Beautiful Foundation, for more than a decade.
As an activist, he was critical of conglomerates and attacked their unfair business practices.
He is the winner of numerous awards, including the Ramon Magsaysay Award.
Park passed the state bar exam and served as a prosecutor for a year before practicing law as a lawyer in 1983. He earned a bachelor's degree in history at Dankook University. |

박원순 서울 시장 인터뷰
Q: 벽면이 메모지로 꽉 차 있습니다. 서울 시민의 소망과 바람이 담겨 있는 메모지인데 가끔 보십니까?
A: 메모지가 굉장히 많습니다. 사실 여기에 붙어있는 것 보다 훨씬 많은데, 이걸로 벽을 다 덮어도 벽이 좁을 것 같아서 모두 붙이진 못하고 이번에 신 청사로 옮기면서 한번 교체한 것입니다. 시민들의 소중한 의견이니 오며 가며 보게 됩니다.
Q: 메모지뿐만 아니라 책상 위에 서류도 굉장히 많습니다. 워낙 컴퓨터를 잘 다루시니 그걸로 정리하시진 않습니까?
A: 서류가 많아서 정신이 없긴 합니다. 컴퓨터로 정리하기도 하지만 그래도 어쨌든 아직까지 우리 사회가 종이 문서 사회인 것 같습니다. 책이나 자료가 대부분 이렇게 서류의 형태로 옵니다. 이렇게 서류가 많아도 제가 보지 않는 문서는 여기에 없습니다.
박 시장은 책상 위의 문서탑을 직접 흔들어 봤다. “이게 이래 보여도 잘 안 넘어 갑니다. 아마 천장에 닿을 수 있게 쌓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Q: 정리를 잘 안 하시는 것은 아닌가요? 도저히 아래쪽 서류는 볼 수가 없을 것 같습니다.
A: (웃음) 사실 맞습니다. 앉을 시간도 잘 없어요. 그래도 이 서류들은 다 본다는 확신을 가지고 있습니다. 안 볼 것 같으면 이렇게 쌓아 놓을 이유가 없지 않습니까?
Q: 그럼 저게 다 무슨 서류인지?
A: 서울시에 관련된 기사들입니다. 서울시에 관련된 기사는 대변인실에서 정리를 해주지만, 그렇지 않은 기사들도 봐야 하기에 신문이 이렇게 쌓여있다.
Q: 신문 얘기가 나와서 말씀인데, 평소에 코리아타임스도 즐겨 보십니까?
A: 집에서 챙겨 봅니다. 영어 공부라는 생각도 하면서 봅니다. 아무래도 코리아타임스를 보니 영어 공부가 자동으로 되는 것 같습니다.
Q: 현재 취임 하신지 약 1년 반 정도가 지났는데 소감이 어떠십니까? 꼭 맞는 옷을 입고 계신 기분 입니까?
A: 꼭 맞는 옷을 입은 기분이라기 보다는 시장의 업무가 서울시의 온갖 사항을 매일 의논하고 고민하는 것이다 보니 몰입이 많이 필요합니다. 그런 의미에서 한 10년은 한 것 같습니다. 아까 그 서류탑이 전부 서울시에 관련한 업무입니다. 사무실에 저렇게 높게 서류탑을 쌓은 시장이 있을까요? 기네스 북에 올려도 괜찮을 것 같습니다. (웃음)
Q: 유명한 책장이 눈에 띕니다. 책장이 기울어져 있는데 본인께서 직접 디자인 하신 건가요?
A: 저 책장이 비스듬히 기울어진 게 양쪽으로 중심을 잡고 있습니다. 양쪽의 갈등을 조정하는 조정자의 역할이 서울 시장으로써 가장 중요하니까요. 물론 사무실 모든 가구를 제가 다 디자인 한 것은 아닙니다. 이 책장은 윤성근 “이상한 나라의 헌 책방” 사장께서 만들어 주신 겁니다. 사실 이 사무실에 있는 가구는 모두 스토리가 있습니다. (사무실 벽에 그림: 은평 씨앗학교 학생들이 바라본 서울 그림) 저게 서울을 그린 지도입니다. 제목이 “시민이 주인인 서울” 이렇게 되어 있는데, 아이들이 참 잘 그렸다고 생각합니다. 은평씨앗학교 아이들인데 천재들입니다.
Q: 그 “시민이 주인인 서울”이 되어가고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A: 쉽지는 않지만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취임 이후에 시민들이 시정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가 굉장히 많이 늘어났습니다. 시민 한 분 한 분이 정책 입안가 입니다. 참여 예산제를 포함해서 모든 서울의 정책이 그런 원리에 의해서 움직입니다.
A: 지난 3월 27일에 “서울, 꽃으로 피다 (Seoul in blossom)”라는 캠페인을 진행하고 식목월을 3월 20일부터 4월 20일까지로 지정 했습니다. 제가 영국에 있을 때 “Britain in blossom” 이라는 캠페인이 있었습니다. 동네 정원, 화단 등 집집 마다 꽃을 키워서 밖에 내놓는 캠페인입니다. 우리도 그렇게 해야 한다고 생각했습니다. 전부 새롭게 꽃과 나무를 심는 것입니다. 주민들이 나무를 한 그루씩 입양하고, 거리를 하나씩 입양하는 개념(adopt a tree, adopt a street campaign)이죠. 나무 하나를 자식의 미래를 기원하는 나무로, 돌아가신 부모님을 추모하는 나무로 입양하는 겁니다.
Q: 좋은 아이디어인 것 같습니다.
A: 주민들의 참여 없이 가능한 것이 별로 없습니다. 그래서 시민이 주인이라는 말은 시민이 시장이고, 시민에게 권리가 있고, 시민에게 책임이 있다는 뜻입니다. 서울이 서울시 공무원들에 의해서만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지 않습니까? 나무, 길거리, 가로수, 공원 이런 모든 것들이 시민들이 중심이 되어 운영하는 것입니다. 새로운 것을 심을 수 있는 곳에는 심고, 기존의 나무는 잘 가꾸는 이런 프로젝트를 서울시 전역에 걸쳐서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는 가장 최근의 예이고, 모든 분야가 시민 참여, 시민 주도의 행정으로 이루어 집니다.
A: 다르게 말씀 드리자면 “집단 지성,” “위키피디아 식 행정,” “트위터 행정”이라 부를 수 있습니다. 예컨대, 시민들이 애로사항을 트위터로 글을 올리면 바로 반영이 됩니다. 며칠 전 어떤 분이 경희궁 화장실 전등이 어두워 위험하다고 트윗을 하셔서 제가 경희궁 어디 화장실이냐 했더니 어디라고 말씀을 하셨습니다. 그게 밤 11시쯤이었는데, 문화재과 김수정 팀장이 내일 가서 확인해 보겠다고 하고 그 다음날 바로 고쳤습니다.
Q: 트위터를 얼마나 자주 보시는지?
A: 낮에는 잘 못하고, 밤이나 주로 주말에 합니다. 매일 하나씩 일부러 올리진 않습니다. 짬이 날 때 틈틈이 올립니다. 아마 자치 단체장 중에는 그래도 제가 트위터 제일 잘 하지 않나 싶습니다.
Q: 작은 일, 디테일한 것에 강하신 것 같습니다. 그런데 전임 시장들과 비교해보면 상징적인 프로젝트가 없는 것 같습니다. 시장님께서는 자세하고 중요한 일을 하고 계시는 것 같은데 딱 떠오르는 큰 것은 없는 것 같습니다.
A: 그런 걸 꼭 해야 합니까? 비유를 하자면 소나기는 더운 여름에 한번에 시원한 감을 주지만 몇 시간이 지나면 금방 말라 버립니다. 그런데 가랑비는 옷 젖는 줄도 모르게 만물에 스며들어서 솟아나게 합니다. 저는 그런 “가랑비, 이슬비 행정”을 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Q: 그런 “이슬비 행정”을 통해 서울시를 어떤 모습으로 바꾸고 싶으신가요? 그리고 그 과정에서 가장 심각한 문제는 무엇이라 생각하십니까?
A: 서울시의 비전은 이미 시민들이 그를 위해 진행하고 계시리라 생각합니다. 다만 그 과정에서 중, 장, 단기적 과제들이 산적해 있을 뿐입니다. 단기적인 것부터 말씀 드리자면, “사람”이 피폐해 있고 힘들다는 것 입니다. 이 “사람”들을 끌어안고, 위로하고, 살아갈 수 있는 힘을 주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노숙자 정책에서부터, 재래시장, 골목상권의 부활 등 현상적으로 생존하는 것에만 서로 만족할 수 없지 않습니까? 이는 하나의 시작에 불과합니다. 우리 사회가 새로운 성장, 미래 경제를 튼튼히 하려면 이런 “사람”을 부축하는 것에서부터 시작해서 창조적 경제, 미래 먹거리가 만들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그런데, 그 과정에서 하나에 너무 집중하면 다른 것을 소홀히 하게 됩니다. 또 하나를 너무 과도하게 하면 그것이 왜곡될 가능성이 많습니다.
A: 대표적인 예로 청계천을 들 수 있습니다. 조선시대 토목기술의 총화인 청계천을 하루아침에 버린 꼴이 되었습니다. 유네스코 문화 유산 하나를 버린 것입니다. 이게 다 욕심을 내서 이렇게 된 거라 생각합니다. 그래서 이런 일들을 너무 서두르거나 집중하면 안됩니다. 그리고 상징적 프로젝트를 하지 않느냐는 시민들의 질문 내용이 바뀌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시장의 일은 서울 시민의 삶을 총체적으로 담당하고 미래를 고민하는 것인데, 한 가지 일에 집중해서 눈에 보일 정도로 인상을 주려면 여러 왜곡현상이 일어날 수 밖에 없다고 봅니다.
Q: 청계천에 대해서 좀 더 자세히 설명해 주세요.
A: 많은 학자들이 지적하는 부분이 청계천은 조선 초기에 만들어진 하천 정비, 유지 시스템이라는 것입니다. 아름다움은 말할 것도 없고 여러 기술들이 녹아 있습니다. 그런데 이 청계천을 공사하면서 그 유산들을 모조리 드러내 버렸습니다. 특히 이간수문이 없어진 것에 대해서는 통곡이라도 하고 싶은 심정입니다.
Q: 복구는 불가능한가요?
A: 이미 드러내버린 것들이기 때문에 불가능합니다. 대신에 며칠 전에 보니 중학천을 포함해서 청계천으로 들어오는 지천들이 몇 개가 있는데 거기에는 여전히 옛 것이 그대로 남아 있거나 적어도 일제시대의 모습이 남아 있다고 합니다. 향후에 이를 시간을 두고 충분히 연구해서 하나하나 복원하여 유네스코 문화유산으로 등록 가능 여부를 타진해 보려 합니다.
Q: 그 맥락에서 보면 옛 것을 보존하는 것이 서울시의 관광자산으로서 중요할 것 같은데, 피맛골도 사라진 가운데 서촌 등지의 한옥마을에 대한 계획이 있으십니까?
A: 저는 선배 시장들이 잘 하신 것이 북촌 관련 정책이라고 봅니다. 역대 시장들이 많은 재원과 노력을 기울여서 지금의 북촌 한옥마을을 만들어낸 것입니다. 거기에 많은 관광객들이 몰리고 있습니다. 그래서 저는 서촌 역시 북촌과 같은 명소로 만들어야겠다는 판단 하에 마스터플랜을 만들고 있습니다. 피맛골은 사라졌지만 아직도 골목길은 남아 있습니다. 이 골목들을 전부 목록화 해서 보전하자는 것 입니다. 또한 현재 서울시가 한양도성 유네스코 등재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그렇지만 도성만 복원하는 것이 아니라 주변 마을의 집들을 사서 마을 박물관으로 만들고 있습니다. 거기에 카페, 동네 도서관, 주민 공방을 만들어서 이 18.6 km에 걸친 한양도성과 그 인근에 있는 다양한 점들을 연결해서 하나의 선으로, 면으로 연결하여 서울의 관광 명소로 만들고자 많이 고민하고 있습니다.
A: 아까 큰 프로젝트를 왜 안 하냐고 하셨는데 지금 매우 큰 걸 준비하고 있습니다. “100년의 서울 역사 도시”계획을 준비해서 곧 발표할 것입니다. 지금 현재 서울은 난개발 상태라고 봅니다. 이 상황을 제가 임기 중 몇 년 안에 다시 옛 흔적을 복원한다거나 강산과 어우러지게 만드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합니다. 하지만 100년을 놓고 본다면 충분히 가능한 일입니다. 이 건물을 100년 후에 다시 헐고 새로 지을 때는 우리가 미리 정해놓은 도시계획에 맞춰서 하는 거죠. 저는 제가 취임하기 전 지난 1945년부터 2011년 10월 까지를 전근대화, 지금 시기가 새로운 서울의 근대화라고 부르고 싶습니다. 이전에는 급증하는 인구 유입을 막기 위한 임시방편 식의 도시발전이 이루어진 것입니다. 그러나 비로소 우리가 과거의 모든 것을 성찰하고 또 미래 100년을 생각하면서 도시계획을 짜는 것입니다.
Q: 역사와 전통의 조화를 말씀하시는 건가요?
A: 그렇습니다. 역사와 전통의 적절한 조화를 통해 4대 도성 내에 역사 도시가 자리잡고, 청계천을 따라 하천변과 용산까지 연결 되고, 이것이 동대문 DDP와 만나는 것입니다.
Q: 강남과 강북간의 격차 문제나 홍릉벤처밸리 도 짚고 넘어가야 할 부분인 것 같습니다.
A: 그렇습니다. 강북, 강남 같은 경우는 강북 4개구 구청장님들이 어떻게 하면 강남과 강북의 격차를 줄일 수 있는지 구 단위에서 직접 느끼고 겪는 바를 연구해 달라고 요청했습니다. 그래서 현재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고, 그 결과가 도출되면 서울시가 함께 고민해서 “강북 발전 10개년 계획,”을 발표할 수 있습니다.
A: 홍릉은 1970년 대 이후의 국가 발전을 견인했던 기술의 요람이었습니다. 그러나 요즘은 많은 것들이 위축 된 것이 사실입니다. 그 시절처럼 홍릉 밸리의 부활을 꿈꾸는 포럼이 있는데, 마찬가지로 그 포럼에서 직접 겪고 연구한 바를 서울시와 함께 이루어 나가는 형태입니다. 과거에는 서울시가 주도해서 몇몇 공무원과 몇몇 전문가가 독단적으로 해서 발표하지 않았습니까? 하지만 마스터 플랜이나 컨텐츠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그것을 만들어가는 과정이 훨씬 더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이것이 앞서 말했던 위키피디아식 집단 지성의 힘입니다. 제가 취임한 이후에 어떠한 새로이 등장한 갈등 보다 기존의 갈등이 많이 해소 되고 서울이 과거 보다 조용해졌습니다. 이것이 과정에서의 소통의 힘이라고 생각합니다. 예를 하나 더 들자면 한강변 개발계획을 지금 새로이 만들어서 얼마 전에 청문회를 했습니다. 청문회가 아주 조용하게 진행됐습니다. 그렇지만 거기에 만족하지 않고 해당되는 지역 여의도, 압구정, 성수 등 주민에게 가서 직접 설명할 계획입니다. 이 한강변은 본래 오세훈 시장님이 만드셨고, 거기에 대략 70층 높이의 주상복합을 짓는 계획이었는데, 현재 이를 35층 수준으로 낮추고 한강에서 조금 뒤로 물렸습니다. 일부 언론에서 이것이 상당한 개인재산 피해를 불러올 것이라고 미리 비판했었는데, 서울시에서 (해당하는 분들께) 기부체납을 줄여드렸습니다. 따라서 재산세 손해는 없고, 주거의 질은 훨씬 높아졌습니다.
Q: 조용한 서울이 가능한 이유는 계속적인 소통에 있다는 말씀이네요.
A: 그렇습니다. 원칙은 원칙대로 세우면서, 관계한 분들의 말씀을 충분히 듣고 서로 협의하는 것입니다. 그렇게 되면 그 원칙이 서울의 발전 뿐만 아니라 개인에게도 도움이 되는 결과가 자연히 따라 온다고 생각합니다.
대변인에 따르면 4월 1일 서울 도시 선언 100년을 선언문 형태로 박원순 시장이 직접 발표할 예정이라고 한다. 4월 2일에는 한강변 관리계획의 발표가 있을 예정이다.
Q: 서울 시민 중에도 외국인들이 많은데 외국인들의 국내 생활, 다문화 정책, 관광객 유입 등에 대한 의견은 어떠십니까?
A: 현재 서울에 40만 명의 외국인이 살고 있습니다. 이미 서울은 다문화 도시, 글로벌 도시입니다. 그런데 아직 이에 대한 인프라가 국제도시로서의 면모를 갖추는데, 특히 외국인이 와서 살기에, 아직 미흡한 상태입니다. 물론 전임 시장들께서 좋은 행정을 하신 부분을 간과할 순 없습니다. 글로벌 센터를 만들어서 서울에서의 일상에 도움을 주는 시스템이 만들어졌고, 외국인 학교들이 많이 지어졌습니다. 그렇지만 지금 목표로 두어야 할 것은 에스닉 커뮤니티 (ethnic community)의 형성에 대한 지원이라고 생각합니다. 현재 상암동에 일본인 학교가 만들어지면서 거기에 일본인 타운이 형성되고 있습니다. 그래서 이 형성 과정에서 서울시 차원에서 지원할 수 있는 것이 무엇인지 고민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옛날 화교 타운들을 보면 그 쪽 주민들은 차이나 타운을 만드는 것 자체는 반대하는 입장입니다. 즉, 중요한 것은 그 분들이 원하는 범위 안에서 지원을 하는 것입니다. 용산, 이태원 쪽 이슬람 사원 인근 지역이 도시 재개발로 다 헐릴 예정이라고 합니다. 그렇지만 그 과정에서 골목 등이 좀 배려될 수 없는지 고민하고 있습니다. 이런 식으로 에스닉 그룹과 에스닉 타운이 유지 발전되는 것이 그 도시의 다양성을 확보하는데 굉장히 중요하다고 봅니다. 특히 중국 동포들이 많이 살고 있는 대림동, 영등포 일대의 학교, 경로당에 서울시에서 많은 지원을 하고 있습니다.
A: 또한 우리의 다문화 정책에 대한 반성을 꼽고 싶습니다. 우리가 말로는 다문화라고 하지만 사실은 동화 정책을 쓰고 있습니다. 한글을 가르치고 한국 문화를 가르치는 것은 좋은데, 그들이 원래 가지고 있던 문화를 포기하고 한국문화만 갖게 하고 있다는 말입니다. 제가 독일에서 문화궁전이라는 곳을 보았습니다. 그 곳에는 60~70년대에 건너간 한국인 광부, 간호사의 2세들이 많이 계십니다. 그 분들이 사물놀이를 하는데, 사실 사물놀이는 시끄러워서 동네에서 하긴 힘들지 않습니까? 그런데 그 곳에는 연습공간이 있었습니다. 그런 식으로 자기가 가져온 문화를 유지, 발전 시키는 것이 핵심이라고 생각합니다. 해당 언어로 된 도서관 건립, 교육 등의 지원을 하는 것이죠. 이분들은 한국에 잠깐 방문한 사람이 아닌 영원히 살 분들입니다. 특히, 서양에서 오신 분들에 대해서는 지금까지 잘 해왔던 것 같은데, 결혼이나, 노동을 위해서 온 이주민들, 이런 분들에 대해서는 우리가 아직 제대로 하지 못했던 것 같습니다. 이 분들의 2세에 대한 교육, 창업할 수 있는 시스템 이런 것을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A: 차를 타고 가다 보면 “공사중”이라는 표지판이 있는데, 이게 다 한글로만 써 있습니다. 외국인들은 다 공사 구멍에 다 빠지란 말인가요? 그래서 그것부터 시작해서 시내 표지판 전체를 외국인들이 읽을 수 있도록 바꾸는 작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A: 이런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 언어문제라고 봅니다. 물론 제가 서울 시장이지, 교육감이나 교육부 장관이 아닌 탓에 이 부분을 해결하는 데에 장애가 좀 있습니다만, 저는 우리나라 사람들이 비행기로 3시간 거리 내에 있는 언어는 배워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대학에서 강의를 할 때 학생들이 러시아어, 중국어, 일본어, 영어, 따갈록어 등 언어를 젊을 때 배워야 한다고 항상 강조하는 편입니다.
A: 제가 제2외국어로 불어를 했습니다. 과거에는 불어신문 정도는 읽었는데, 안 쓰니까 다 잊게 되더라고요. 중국어도 배웠는데 나이를 먹은 탓인지 기억이 잘 안 납니다. 저 같은 사람이 노구를 이끌고도 이렇게 공부를 하는데 젊을 때 하는 공부는 정말 중요하지 않겠습니까? 제가 20대 사법 연수원 시절에 일본어를 공부했었습니다. 그런데 20대 시절에 한 공부는 잊어먹지 않는 다는 걸 실감한 것이, 쉰 때 일본 동경에 석 달 있었습니다. 처음에는 전화가 오면 일본어가 무서워서 전화를 끊어 버리고 그랬는데, 석 달 째 되니 일본어로 강의를 할 수 있었습니다. 그만큼 젊을 때 하는 공부는 피와 살이 된다고 생각합니다.
A: 지리적으로 보면 우리나라는 일본, 중국, 러시아 사이에 낀 나라 입니다. 이런 상황에서 언어를 잘 하는 것은 굉장한 득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예를 들어, 네덜란드에서는 식당 종업원이 자기가 할 수 있는 언어를 명찰에 같이 붙이고 다닙니다. 그만큼 관광에 신경 쓴다는 얘기입니다. 우리가 성장하는데 있어서 미래 전략으로 삼아야 하는 것은 딱 두 가지 입니다. 하나는 관광, 하나는 지식산업입니다. 서울시에 무슨 공장을 짓겠습니까? 홍릉이 새로 살아나야 하고, 마곡에 건설중인 R&D 융복합 산업 단지가 제대로 조성되어야 합니다. 서울에는 현재 58개 대학이 있어 박사가 가장 많은 도시입니다. 그러나 이 지적 역량과 산업 사이의 연결이 현재 안 되고 있습니다. 그걸 연결할 수 있는 레버리지를 마련하는 것이 핵심이라고 생각합니다. 이를 이룬다면 서울은 세계최고의 경제적 번영을 이룰 수 있을 것 입니다. 물론 문화 예술 산업도 발전해야 합니다. 모름지기 창조란 것은 심적, 상상력이 뒷받침 되어야 하니까요.
Q: 대선에 관심이 있으신가요? 만약에 출마하신다면 시장 재선 시 겹치게 되는데 이에 대한 계획은 어떻게 가지고 계신가요?
A: 현재에는 시장 직에 충실하고 있습니다. 향후에 어떤 결정을 내리더라도 시장의 임기를 채우는 것은 당연하지 않겠습니까?
Q: 우리나라 인구의 1/4가 살고 있고, 북한과 지리적으로 가까운 서울시의 시장으로서 현재의 북한 문제에 대한 우리 정부의 접근 방식은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A: 이명박 대통령 시절에는 잘못 하고 있다고 생각 했습니다. 그런 반면 박근혜 대통령은 ‘신뢰 프로세스’에 대한 언급을 하셨습니다. 물론 북한의 여러 도발 징후에 대해서는 강력히 대응하고 만반의 태세를 갖춰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김대중 정부 이후의 햇볕 정책은 진작에 공고화되고 확산되었어야 한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래야 북한의 도발적 정책을 우리가 무마시킬 수 있을 거라고 봅니다. 예를 들면 현재 남북 관계가 악화 일변도로 치닫고 있는 와중에서도 개성공단은 문을 닫지 않았습니다. 만약에 개성 공단이 10개가 있다면 북한은 우리 말을 안들을 수가 없습니다. 외화의 주 공급원을 우리가 결정할 수 있다면 북한에 막대한 영향력을 행사 할 수 있는 것입니다. 사실 따지고 보면 굉장히 상식적인 생각인데, 이명박 대통령 시절에는 이를 잘하지 못했습니다. 저는 남북관계가 발전하고 진전할 수록 우리 정부의 영향력이 훨씬 더 커지기 때문에, 독일처럼 우리가 밀어주고 도와줄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Q: 현 정치를 대체할 새로운 정치 문화, 대체 정치가 아직도 필요하다고 보십니까?
A: 물론입니다. 저는 우리 시민들의 새로운 정치에 대한 열망이 정말 간절하고 절박하다고 생각합니다. 현재 무당파 시민들이 30~40%에 육박하지 않습니까? 그리고 나머지 시민들도 어쩔 수 없이 특정 정당을 지지하는 것이지 새로운 정치, 새로운 정치 세력, 새로운 정치 문화 등에 대해서는 고대하고 있다고 봅니다. 따라서 지금까지의 대결적인, 말로 하는 정치가 아니라 시민의 삶을 실제로 변화시키는 그런 정치를 해야 하는 것이 아닌가 생각합니다. 그래서 저는 딴 것 보다 서울 시장 직에 충실해서 서울이 반듯한 도시가 되도록 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Q: 앞서 관광이 서울시의 두 가지 비전 중의 하나라고 말씀하셨는데, 현재 서울시 관광 산업에서 역점이 되는 분야는 무엇입니까?
A: 가장 먼저 얘기하고 싶은 것이 MICE (기업회의: Meeting, 인센티브 관광: Incentive Travel, 국제 회의: Convention, 전시회: Exhibition) 산업입니다. 현재 서울시에서 MICE의 인프라를 구축할 준비를 하고 있습니다. 국제적으로 보면 현재 MICE분야는 싱가포르가 세계 최고 입니다만, 서울시에서 싱가포르를 완전히 압도할 수 있는 준비를 하고 있습니다.
Q: 그럼 그 MICE에는 카지노도 들어가 있는 것인가요?
A: 원래는 들어가야 하는데, 국민 여론이 워낙 강하지 않습니까? 그래서 저는 현재 외국인 전용 카지노 까지는 가능하다고 봅니다. 이미 서울 시내에 3군데나 있습니다.
Q: 추가적으로 더 많이 만들 수 있을 것으로 보십니까?
A: 현재 중국인 관광객들이 국내에 많이 들어오고 있지 않습니까? 이 관광객들을 타겟으로 하면 가능하다고 봅니다.
A: 현재 서울이 이미 세계 컨벤션 5위 입니다. 하지만 싱가포르를 제대로 벤치마킹 하여 결국에는 따라 잡아야 하지 않겠습니까? 이를 위해 의논하는 과정에서 MICE 벨트라든지 여러 가지 제안들이 나오고 있습니다. 카지노도 고민이 있습니다. 없는 건 아닙니다. 해외 관광 마케팅, 의료 관광 굉장히 중요합니다. 호텔도 최고급 호텔부터 B&B에 이르기 까지 호텔 숙박도 중요합니다. 쇼핑 역시 매우 중요한데, 현재 서울시에 면세점들 개혁해야 합니다. 왜 면세점을 재벌들에게만 줍니까? 더 많이 생겨야 하지 않겠습니까? 또한 인천에 오는 환승 고객들, 관광 안내소 정비 사업, 서울의 브랜드와 이미지 구축, 관광 식당 개선 이 모든 걸 다 하고 있습니다. 저 이렇게 노력하고 있습니다.
A: 앞서 제가 서울시의 미래가 국제 도시라고 말씀 드리지 않았습니까? 지금은 약 30개 정도의 도시와 자매관계를 맺고 있는데, 관계가 시장단끼리의 피상적인 관계 입니다. 이를 확실히 해서 local to local, people to people의 관계가 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또한 이것이 이루어진다면 우리의 도시 경험을 전문적으로 수출할 수 있도록 그에 대한 준비 역시 현재 하고 있습니다.
A: 현재 우리나라가 국제 경쟁력이 대체로 10위 안에는 들어와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렇지만 삶의 질 분야는 아직 60~70위 수준에 그치고 있습니다. 제가 취임하고 난 뒤 복지 등 삶의 질과 밀접한 연관이 있는 분야에 대한 많은 강화를 했기 때문에 앞으로 이는 더 개선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이 뿐만 아니라 앞서 말씀 드렸던 것들을 실현 시키기 위해서 동분서주 열심히 뛰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더 열심히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