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Korea Times close
National
  • Politics
  • Diplomacy
  • Defense
  • Labor & Environment
  • Law & Crime
  • Health & Welfare
  • Embassy
  • Seoul & Provinces
  • Education
  • Foreign Communities
  • Obituaries
Biz & Tech
  • Auto
  • IT
  • Game
  • Manufacturing
  • Retail & Food
  • Energy
  • Construction
  • Airlines
Finance
  • Policies
  • Economy
  • Markets
  • Banks
  • Non-banks
Opinion
  • Editorial
  • Columns
  • Thoughts of the Times
  • Cartoon
  • Today in History
  • Blogs
  • Tribune Service
  • Blondie & Garfield
  • Letter to the Editor
Lifestyle
  • Arts
  • Books
  • Travel & Cuisine
  • Trend
  • Fashion
  • Around Town
  • Fortune Telling
Entertainment
  • K-pop
  • K-dramas & Shows
  • Movies
  • Music
  • Performances
  • Asia Model Festival
Sports
  • Football
  • Golf
  • Baseball
  • Other Sports
World
  • Asia Pacific
  • Americas
  • Europe & Africa
  • SCMP
Video
  • On the Spot
  • Feature
  • News
Photos
  • Photo News
  • Darkroom
Community
  • The Korea Times
  • search
  • Site Map
  • E-paper
  • Subscribe
  • Register
  • LogIn
search close
  • The Korea Times
  • search
  • Site Map
  • E-paper
  • Subscribe
  • Register
  • LogIn
search close
National
  • Politics
  • Diplomacy
  • Defense
  • Labor & Environment
  • Law & Crime
  • Health & Welfare
  • Embassy
  • Seoul & Provinces
  • Education
  • Foreign Communities
  • Obituaries
Sat, April 24, 2021 | 02:45
Naver
남성 정자수 절반 감소…인류 멸종의 원인
Posted : 2017-07-26 15:04
Updated : 2017-07-26 15:04
Mail
Print Preview
Font Size Up
Font Size Down
美·이스라엘 공동연구…"출산지연과 맞물려 자연수정에 이중 타격"



서구 남성의 정자 수가 지난 40년간 절반 넘게 감소했고, 이런 감소 추세가 이어질 경우 인류가 종국에 멸종에 이를 수 있다는 충격적 연구결과가 나왔다.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와 BBC방송 등에 따르면 미국 마운트 시나이 의대와 이스라엘 예루살렘 히브리대학 공동연구팀은 이런 내용이 담긴 논문을 생식의학 분야의 국제저널인 '휴먼 리프로덕션 업데이트'에 최근 게재했다.

연구팀은 지난 1973년∼2011년 발표된 정자 관련 논문 7천500건 중 185건을 뽑아 통합 분석(메타 분석)한 결과 지난 40년간 북미와 유럽, 호주 등 산업화한 서구에 사는 남성들의 정자 농도가 52.4% 감소했고, 정자 수는 59.3% 줄었다고 밝혔다.

반면 남미와 아시아, 아프리카 지역 남성들의 정자 수와 정자 농도에선 중대한 감소가 나타나지 않았는데 연구진은 이들 지역에 대한 연구가 상대적으로 적었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이어 서구 지역 남성의 정자 감소 속도가 더 빨라질 가능성이 있다며 이런 추세가 이어진다면 인류는 결국 멸종에 이를 수 있다는 경고도 함께 내놨다.

연구를 이끈 하가이 러바인 히브리대 교수는 이번 연구결과는 남성의 생식 건강에 경종을 울리고 있다며 "우리가 사는 방식과 환경, 노출되는 화학물질을 바꾸지 않을 경우 미래에 무슨 일이 벌어질지 우려된다"고 주장했다.

이어 "결국 남성의 일반적인 생식기능에 문제가 생길 수 있고, 이는 인류의 멸종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러바인 교수는 정자 감소 속도가 더 빨라질 수 있는 가능성을 언급하며 "지난 1995년 이후로 연구 범위를 좁혀도 정자 감소 속도가 안정화될 조짐은 보이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에서 정자 감소 원인에 대해선 분석하지 않았다.

하지만 러바인 교수는 "이전 논문들은 적은 정자 수가 환경과 생활습관과 연관이 있다고 봤다"며 "태내 화학물질 노출과 흡연, 스트레스, 비만이 이에 포함된다"고 밝혔다.

이런 연구결과에 전문가들은 "정자 수 감소 속도가 충격적이다"라며 우려를 쏟아냈다.

영국 에든버러대학의 리처드 샤프 교수는 "정자 수 감소는 출산지연 추세와 맞물려 현대 서구 사회의 자연수정 능력에 이중 타격을 줄 것"이라고 경고했다.

반면 몇몇 전문가들은 연구의 섣부른 일반화를 지양해야 한다며 의문을 제기하기도 했다고 BBC방송은 전했다.(연합)










 
LG
 
  • New COVID-19 infections nearing 800
  • City of Seoul seizes cryptocurrencies from tax delinquents
  • Korea, Japan lock horns over sharing info on Fukushima water
  • Bitcoin prices plunge amid heightened warning from regulators
  • Korea faces dilemma over cryptocurrency taxation
  • Public skeptical of November herd immunity goal
  • US House passes bill to make Washington DC the 51st state
  • 'Samsung is strong competitor': TSMC founder
  • Korea approves 2 COVID-19 self-testing kits amid spiking cases
  • Lotte close to decision on purchasing eBay
  • [INTERVIEW] Behind-the-scenes stories: How BTS concerts come to life [INTERVIEW] Behind-the-scenes stories: How BTS concerts come to life
  • Korean stars vulnerable to excessive public outrage Korean stars vulnerable to excessive public outrage
  • [INTERVIEW] How Kang Ha-neul invokes feelings of youthful innocence [INTERVIEW] How Kang Ha-neul invokes feelings of youthful innocence
  • Actress Kim Seo-hyung on choosing her role in upcoming series 'Mine' Actress Kim Seo-hyung on choosing her role in upcoming series 'Mine'
  • KOCCA to expand online market platforms to promote Korean content KOCCA to expand online market platforms to promote Korean content
DARKROOM
  • Ending 'Endless War'

    Ending 'Endless War'

  • Locust outbreak

    Locust outbreak

  • Death toll rises as protests continue in Myanmar

    Death toll rises as protests continue in Myanmar

  • Say 'NO' to racism (Part 2)

    Say 'NO' to racism (Part 2)

  • Say 'NO' to racism (Part 1)

    Say 'NO' to racism (Part 1)

The Korea Times
CEO & Publisher : Oh Young-jin
Digital News Email : webmaster@koreatimes.co.kr
Tel : 02-724-2114
Online newspaper registration No : 서울,아52844
Date of registration : 2020.02.05
Masthead : The Korea Times
Copyright © koreatimes.co.kr. All rights reserved.
  • About Us
  • Introduction
  • History
  • Location
  • Media Kit
  • Contact Us
  • Products & Service
  • Subscribe
  • E-paper
  • Mobile Service
  • RSS Service
  • Content Sales
  • Policy
  • Privacy Statement
  • Terms of Service
  • 고충처리인
  • Youth Protection Policy
  • Code of Ethics
  • Copyright Policy
  • Family Site
  • Hankook Ilbo
  • Dongwha Group